[전체] “오두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53)
- 오두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24(인조 2)∼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원징(元徵), 호는 양곡(陽谷). 병마절도사 정방(定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겸(士謙)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상(翔)이며, 어머니는 ...이칭별칭 원징(元徵)| 양곡(陽谷)| 충정(忠貞)
- 오두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숙종이 인현왕후를 폐하려 하자, 팔십여 인과 함께 의논하여 임금께 상소를 올린 후, 관가에 잡혀간다. 박태보가 상소를 짓고 쓴 이를 물으면 자신의 이름을 말하라고 여러 번 당부하나, 대답하지 않는다. 숙종이 상소를 짓고 쓴 이를 심문하나, 한 사람이 주장한 것이 아니라...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오두인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숙종의 신하로, 박태보, 이세화 등과 함께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오두인(吳斗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두인 오두인 吳斗寅 정치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인조~숙종 홍연주 박종국 2012 원징(元徵) 양곡(陽谷) 충정(忠貞) ...
- 오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덕을 칭송하는 글을 옥에 새겨 놓은 작은 책)과 신판(神板 : 神位를 새긴 판)ㆍ유지(幽誌 : 남기는 글) 등을 많이 썼다. 또한 시문에도 능하여 숙종의 많은 총애를 받았다. 전하는 묵적으로는 행서체로 쓴 간찰이 다소 있으며, 금석문으로는 「오두인석비(吳斗寅石碑...이칭별칭 도장(道長)| 취몽헌(醉夢軒)| 문효(文孝)
고서·고문서(57)
- 추안급국안 : 기사년(1689, 숙종 15) 오두인(吳斗寅) 친국(親鞫) 신문기록{親鞫推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334 010 己巳 親鞫推案 기사년(1689, 숙종 15) 오두인(吳斗寅) 친국(親鞫) 신문기록{親鞫推案} ○ 오두인 등의 상소 내용 己巳四月二十五日 前行司直吳斗寅費誠惶誠恐頓首頓首謹百拜上言于 主上殿下伏以臣等竊惟人君之有后妃所以共承祖宗之統並臨衆庶之 上治化之...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0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79 B210979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6年 10月 14日_007 ○侍講院啓曰, 新除授司書吳斗寅, 以海運判官時, 在全南道, 書筵入番事緊,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傳曰, 依啓。 姑勿乘馹, 可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해운(海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10980 B210980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6年 10月 14日_007 ○侍講院啓曰, 新除授司書吳斗寅, 以海運判官時, 在全南道, 書筵入番事緊, 請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傳曰, 依啓。 姑勿乘馹, 可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리포(加里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284 B001284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7年 4月 15日_003 ○謝恩, 咸鏡監司尹趾善, 同義禁吳斗寅, 淸州縣監韓翊昌, 韓山郡守睦昌遇, 典籍金瑜, 漆浦萬戶金勉哉, 加里浦僉使閔碩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리포(加里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304 B001304 가리포 加里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7年 4月 15日_003 ○謝恩, 咸鏡監司尹趾善, 同義禁吳斗寅, 淸州縣監韓翊昌, 韓山郡守睦昌遇, 典籍金瑜, 漆浦萬戶金勉哉, 加里浦僉使閔碩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오두인 / 吳斗寅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정방 증손, 할아버지는 사겸, 아버지는 상, 어머니는 이효길의 딸이다. 숙부 숙에게 입양되었다. 1648년(인조 26)에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공조참판, 호조참판,
-
벽진서원 / 碧津書院 [교육/교육]
액되었다. 그 뒤 1694년에 오두인(吳斗寅)과 1788년에 김덕홍(金德弘)·김덕보(金德普)를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단(壇)을 설치하고 매년 향사를 지내오다가 1986년에
-
간정기사 / 艮廷記事 [역사/조선시대사]
정월 원자책봉과 같은해 5월의 민비폐출사건이 기술되어 있고, 제2책은 박태보(朴泰輔)·오두인(吳斗寅) 등의 폐비반대소(廢妃反對疏)와 왕이 친국한 기사가 실려 있다. 끝으로, 1701년 왕비 민씨가 죽은 뒤 장희빈이 무녀(巫女)를 시켜 민비를 저주한 사실이 발각되자, 장
-
노덕서원 / 老德書院 [종교·철학/유학]
94년 민정중과 오두인을, 1708년에 이상진과 이세화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
서종태 / 徐宗泰 [종교·철학/유학]
위되자, 오두인·박태보 등과 소를 올리고 은퇴하여 저술에만 전념하였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다시 관직에 나와 승지·대사간·대제학·공조판서·대사헌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만정당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