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대진언”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陀羅尼) 등이다. 이 한문본은 조선 초기에 간행되었는데, 여기에 한글의 음역을 추가로 대조하여 간행한 ≪≫이 따로 있다. 그 책에 있는 학조(學祖)의 발문에 의하면,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에 따라 일반민중이 진언을 쉽게 익혀 암...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불교/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성종(成宗) 성낙수 박종국 2014 소혜왕후(昭惠王后) 쌍계사 1485년(성종 16) 성암문고, 소창문고...
  • 대불정다라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본일체여래대불정백솔개총지(正本一切如來大佛頂白率蓋摠持)』가 있다. 조선조에 와서는 이 다라니 등 5개의 다라니를 모은 『집(集)』이 널리 유통되었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동산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動産文化財指定調査報告...
    연계항목대불정다라니(大佛頂陀羅尼)
  • 영험약초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에 수록된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등 진언의 영험을 모은 『영험약초』를 언해한 책. [내용] 원래 1485년(성종 16) 을해자로 간행되어 『』에 합철된 것이나, 지금은 경상...
  • 치역의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민간신앙에서 수용한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석문의범(釋門儀範)』 『()』

고서·고문서(1)

주제어사전(6)

  •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학조(學祖) 찬, 불공(不空) 역, 목판본, 1954, 불분권 1책(110장). 관세음보살여의주수진언(觀世音菩薩如意珠手眞言) 등 불교의 진언을 범자(梵字)로 쓰고 그 옆에 범어를 음역한 한자와 한글로 쓴 책이다. 해인사장판을 경북대학원에

  • 영험약초언해 / 靈驗略抄諺解 [언어/언어/문자]

    ()』에 수록된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 등 진언의 영험을 모은 『영험약초』를 언해한 책. 이 책은 본문 18장에 학조(學祖)의 발문 2장, 복각시의 간기(刊記) 1장을 함께 갖추고 있다. 학조의 발문은 성종판 『

  • 수구다라니 / 隨求陀羅尼 [언어/언어/문자]

    당나라 불공(不空)이 번역한 다라니경전. 이 다라니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오래인 듯하나, 문헌으로 남아 있는 것은 고려말이나 조선초의 간행으로 보이는 범자(梵字)와 한자의 대역인 ≪ ≫에 다른 다라니와 함께 수록된 예가 가장 빠르다. 한글 창제 이

  • 관음보살주경언해 / 觀音菩薩呪經諺解 [언어/언어/문자]

    ()』의 한글 음역과 일치한다. 난 위의 수인도는 매우 정교하다. 그러므로 이 책은 국어사와 판화의 역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번역 / 飜譯 [언어/언어/문자]

    . 우리 나라에서도 한글창제 이후 한글로 다라니를 전사한 1485년(성종 16)의 ≪ ≫ 등 각종 진언집(眞言集)이 간행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번역은 소재언어의 어휘·문법 요소를 합치고 부분적으로 음운 요소를 고려하여 행해지는 작업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