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대산” 에 대한 검색결과 6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3)

사전(3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의 고봉들이 있다. 가운데 있는 중대(中臺)를 복판으로 하여 북대‧남대‧동대‧서대가 오목하게 원을 그리고 있는데, 다섯 개의 연꽃잎에 싸인 연심(蓮心) 같은 산세라 하여 으로 부른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며, 주요 산정이 대부분 평정봉을 이룬...
  • 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月精寺) 북쪽 10리 남호암(南虎巖) 기슭에 있었던 사고. [내용] 외사고(外史庫)로서 사고가 설치된 것은 1606년(선조 39)이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1605년 10월에 재 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내용]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삼연집 三淵集≫ 권24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강릉에 가 있을 때 을 돌아보고 쓴 기행문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검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밑의 초암에서 사는 무명의 검객이다. 같은 스승 밑에서 배운 동문이 무고히 살해되자, 다른 동문과 함께 10년을 벼르다가 하늘의운세를 살펴, 원수인 영남 아무 곳의 아무 부자를 암살한다. 일을 끝내고 돌아와 자는 척하는 서생을 깨워 일의 전말을 알려 주고 아무...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상왕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섯 봉우리가 고리처럼 벌려 섰고, 크기와 작기가 고른 까닭에 오대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현재 상왕봉이 속한 에 대한 기록으로, 당시까지는 상왕봉이 상왕산이 불렸으나 언제 상왕봉으로 바뀌었는지에 대해 전해지는 바가 없다. [자연환경]
    이칭별칭상왕산

논문(2)

  • 新罗信仰的特点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敖英(延邊大學) | 게재정보 : 세계종교문화 , 게재일 : 2011.12
    신라오대산신앙의 특점 (아오잉) 본 논문은 삼국지에 기록된 신라 오대산 신앙과 관련되는 내용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오대산 신앙과 부동한 특징을 연구한 논문이다. 즉 신라의 오대산신앙은 일정한 독창성 및 포용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힘으로서 한중 두 나라의 오대산...
    유형논문
  • 신라신앙의 특점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아오잉 | 게재정보 : 세계종교문화  
    유형논문

고서·고문서(181)

  • 사고목록(史庫目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서목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일대 3중 포위망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일대 3중 포위망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경향신문』: 1946년 10월 6224일 창간 무장공비,...
    대표표제어오대산 일대 3중 포위망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무장공비, 침투, 간첩
  • 暴徒四名射殺(포도사명사살) 戰果(전과)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暴徒四名射殺(포도사명사살) 戰果(전과)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
    대표표제어暴徒四名射殺(포도사명사살) 五臺山戰果(오대산전과)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폭도, 사살, 이북, 피살, 교전
  • 共匪(공비)도 大部分(대부분)을殲滅(섬멸)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共匪(공비)도 大部分(대부분)을殲滅(섬멸)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
    대표표제어五臺山共匪(오대산공비)도 大部分(대부분)을殲滅(섬멸)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오대산, 공비, 소탕, 사살, 교전, 섬멸
  • 再游()石澗踏雪【己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再游()石澗踏雪【己巳】 01_090_077.jpg 再游()石澗踏雪【己巳】 四月山中踏雪崖, 大風吹袂空中擧。 羣峯擁翠寂無聲, 松下幽泉向人語。 再游石㵎踏雪【己巳】 ▶1569년(己巳, 선조 2, 34세) 4월,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7)

  • 이가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수래산, 순위도, 신동, 신촌, , 옥당, 옥산, 옹진, 옹진군청, 우산, 유달국민학교, 유달산, 장천제, 장흥, 장흥국민학교, 장흥군, 장흥철공소, 창린도, 태백산, 학도대, 황해도, 회진, 흥업회 한글 연세대학교 간척
    구술자이가영 | 직업간척사업장 근무 | 지역황해도
  • . 구절이 금강산에서 으로 이 어지는 길목이기 때문이다. 군인들이 공비를 잡기 위해 전투가 일어났는데 시체들 중 김달삼의 시 체가 있었다. 보통 공비와 달리 권총을 차고 있었고, 김달삼인지 확인하기 위해 김달삼의 목을 잘 라 비행기에 태워 보내 확인했다고 한다.
    조사지역강원 정선 | 조사일2014년 4월 8일
  • 저는 쫌 잘 못하는 것도 있고 억양이 이게 중국어를 계속 하니까 억양이 잘 안 고쳐져요. [조사자1: 결혼은 어떻게 해서 언제 어떻게 했는지?] 아, 저는 한국에 와서 등산을 너무 좋아하다보니까 등산을 갔다가 정상에서 만났어요. [조사자1: 어느 산에서?] .
    국가중국 | 제보자리칭후아(이청화) [중국,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눈 감고 따라가다가 앞에 사람이 딱 서면 탁 받아갖고 끄떡하고 탁 받아갖고 끄떡하고. 이래가지고. [청중 : 지금하면 잠이 제일인기라.] 그래가지고 그게 참 갔는데. 가다가 본께 어디로 또 어디로 갔 는가 모르겠는데. 처음에는 싸우기를 에서 싸웠지. .
    조사지역경북 상주 | 조사일2012년 6월 9일
  • 구 움직이 구. 그러고는 저 휴전이 어디와 됐는가 하면은 으로 걸쳐서 저 어디루 왔는가 하면은 평창군 대화면 응계리인가? 웅계리 계천 위에가 아주 웅계리에요. 지금도 웅계가 있어. 그 자리여. 웅계리 경계에 와서 휴전이 됐어 휴전이. 그 전엔 어딜 집이 암만
    조사지역강원 원주 | 조사일2012년 2월 23일

기초학문(1)

  • 唐末五代‧宋初의 文殊信仰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노준, 게재일 : 2000
    04775 박노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송요금원사연구회 2000 唐末五代‧宋初의 文殊信仰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0

신문·잡지(90)

  • 117 한효 인민유격대, 유격대, 국방군 유격대는 인민들의 열렬한 지지 원호 속에 태백산 우군 부대와 긴밀히 호응하여 홍정 강릉 등 각지를 강력히 장악하고 적극적인 맹진공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4월 13일 이래 홍천군하 불발령 일대에서...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8_03_01 | 책임주필한효
  • 5 한효 평양특별시 투사신문사 인민유격대 방면 중무장 유격대 □□한 인민유격대는 의 □봉인 □□봉 □인봉 황□산 재방산 매봉산 □□산 □□령 등 이날 강원도 중부지대를 관통한 여러 산악지대를 교묘히 리용하여 강릉 평창...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6_05 | 책임주필한효
  • 29 림상준 함남인민보사 지이산, 덕유산, 강원도, , 태백산, 정선군 건천리 림계면 【평양 30일발 조선중앙통신】지이산 덕유산과 더부러 호남일대에서 전개되고 있는 남반부 인민들의 영용한 인민무장항쟁에 호응하여 강원도(이남지역)일대에서 자기...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602_03 | 책임주필림상준
  •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은 남조선에서 대표적인 심산이다. 높이에 있어서 지리산에 □지못하여 경승에 있어서 가야 내장에 비견키 어려우나 태백주계기세를 받아 관동에 웅좌한 이 산의 산좌 그리고 계곡의 심도는 남조선의 산군에서는 능히...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12_03 | 책임주필한효
  • 117 한효 노력자, 유격대 최근호 노력자지 보도에 의하면 지난 4월 20일 밤 10시경 이남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모사리 서방 924고지에서 유격대의 한 부대는 살인 군경 약 1백50명을 포착하여 가감 무쌍한 전투를 개시하였다. 적들은...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518_03_01 | 책임주필한효

멀티미디어(2)

  •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s1-0105_#1 유구 원색사진 1. 유적전경(남에서) 2013-12-10_0.301388_원색사진 1. 유적전경(남에서).jpg s1-0105_#2 유구 도면 1
    제목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s1-0106_#1 유구 도면 1. 유적 위치도 2014-12-02_0.9328577_도면 1. 유적 위치도.jpg s1-0106_#2 유구 도면 3. 월정사 경내 조사 현황
    제목오대산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3)

  • (시) 시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시) 시초 (시) 시초 (詩) 詩抄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인수 | 사료철명강원교육
  •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1-0106 유구 2013-12-18_0.6629602_대한불교조계종문화유산발굴조사단_월정사-석조보살좌상주변지역발굴조사보고서Ⅱ-_2005_고려,조선,근현대_표지.jpg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발굴조사 보고서 II 月精寺 石造...
    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s1-0105 유구 2013-12-08_0.9709131_대한불교조계종문화유산발굴조사단_월정사-석조보살좌상주변지역문화유적시발굴조사보고서-_2004_고려,조선_표지.jpg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주변지역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보고서 月...
    발행연도2004/07/27 | 발굴기관(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 | 발굴지역강원도
  • 일본이 발해 국왕에게 국서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1000속(束)을 지급하였다. 그러나 828년 정소가 에 갔을 때 영선은 이미 사거한 뒤였으며, 841년 발해사 하연복 등에 의해 이 사실이 일본에 전달되었다. 일설에는 독살에 의한 사망이라고 전해진다. 의 표물(表物)을 가지고 왔다. 계(啓)를 보니 자세함을 알...
    대표표제어일본이 발해 국왕에게 국서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26년(丙午/신라 헌덕왕 18, 흥덕왕 1/발해 宣王 建興 9/唐 敬宗 寶曆 2/日本 淳和天皇 天長 3)
  • 발해국 승려가 일본국 승려를 위해 시를 짓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습득하였으며, 『심지관경(心地觀經)』 번역에 필수(筆受)・역어(譯語)로 참여하여, 그 공적으로 811년 삼장의 칭호를 받았다. 당 헌종(憲宗)의 총애를 받았으나, 820년 헌종이 암살당하자 박해를 우려해 으로 옮겨간다. 825년 차아천황(嵯峨天皇)으로부터 발해승...
    대표표제어발해국 승려가 일본국 승려를 위해 시를 짓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3년(癸巳/신라 헌덕왕 5/발해 僖王 朱雀 2/唐 憲宗 元和 8/日本 嵯峨天皇 弘仁 4)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0)

  • /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 은 설악산과 더불어 태백산맥에 속하는 고산준령으로 주봉인 비로봉(1,563m)을 중심으로 호령봉(虎嶺峰)·상왕봉(象王峰)·두로봉(頭老峰)·동대산(東臺山) 등의 고봉들이 솟아 있다. 산의 가운데에 있는 중대(中臺)를

  • 기 / 遊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창흡(金昌翕)이 지은 기행문. 『삼연집 三淵集』 권24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강릉에 가 있을 때 을 돌아보고 쓴 기행문이다. 이 글은 작자가 유명한 학자이면서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처지이므로 자연을 남보다 참되게 엿볼 수 있었을 것이라

  • 국립공원 / 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홍천군과 평창군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국립공원의 면적은 약 304㎢이고 1975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565.4m)은 태백산맥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서쪽으로 그 분기점에 이룩해 놓은 명산이다. 주봉인 비로봉(1,565.4m

  • 국립공원습지 / 國立公園濕地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와 홍천군 내면 명개리 일대의 소택지. 국립공원습지는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일대의 소황병산늪(2,300㎡)·질뫼늪(12,341㎡)과 홍천군 내면 명개리 일대의 조개동늪(3,000㎡) 등 3개소의 습지를 일컫는다. 질뫼늪과 소황병산늪

  • 오만진신설화 / 五萬眞身說話 [문학/구비문학]

    신인(神人)의 현현(顯現)을 다룬 진신설화(眞身說話). 『삼국유사』 권3 오만진신조에 실려 있다. 이 이야기 중 특히 보천·효명 두 태자가 5만 진신을 뵙는 이야기는 『삼국유사』의 ‘오만진신’조뿐만 아니라 다음에 이어지는 「명주 보질도 태자 전기(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