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오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0)
사전(76)
- 오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21(중종 16)∼1574(선조7).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강(子强), 호는 덕계(德溪). 종은(從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식(軾)이고, 아버지는 세기(世紀)이며, 어머니는 성주도씨(星州都氏)로 ...이칭별칭 자강(子强)| 덕계(德溪)
- 吳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473 吳健 인물 登第, 銓郞, 公道, 棄官, 生徒 星州 子強, 德溪, 南冥, 明廟 D_15_04_16 대동운부군옥 15권 4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소오건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세자 가례 시 사용되는 관모. 소오건(小烏巾)은 소오관으로 왕세자의 가례 시 사용된 검은색의 비단으로 만든 관모이다. 1627년 소현세자가례도감의궤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에는 소오건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651년 현종명성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后嘉禮都監儀軌에는 소오...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豪放奧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D_1301 豪放奧健 시 博覽, 強記, 手不釋卷, 詩文, 法度 成眞逸 本集 D_15_04_16 대동운부군옥 15권 4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4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오건조약청체전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장지연(張志淵, 1864-1921)이 을사5조약의 부당성과 체결과정 전말을 밝힌 기사.정의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장지연(張志淵, 1864-1921)이 을사5조약의 부당성과 체결과정 전말을 밝힌 기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Ogeon joyak cheongche jeonmal | MR표기Ogŏn choyak ch’ŏngch’e chŏnm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818)
- 仲尼曰:“古也有志,‘克己復禮,仁也。’ 信善哉!楚 靈王若能如是,豈其辱於乾谿?”【昭十二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40 論語古今注 卷十 ITKC_MP_0597A_0440_050_0140 仲尼曰:“古也有志,‘克己復禮,仁也。’ 信善哉!楚 靈王若能如是,豈其辱於乾谿?”【昭十二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京畿道庄土文績_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51. 奴五巾處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548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63-051 51. 奴五巾處 패지 1 49-57 27.6x35cm 한지, 관인, 수결 1장, 27.6x35cm(가로x세로),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52. 丁未十一月十一日財主李直長宅奴五建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655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63책 : 京畿道安山郡仍火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63-052 52. 丁未十一月十一日財主李直長宅奴五建 초사 1 49-57 22.2x36.8cm 한지, 관인, 당상의 押 1장,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義昌君房(1755)_황해도 연안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7594 18877_0026 奎18877 義昌君房(1755) 황해도 연안부 石串坊 황해도 연안부 石串坊 217 217결 김악건(金惡巾) 김악건(金惡巾)자료번호18877_0026 [奎18877]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義昌君房(1755)_황해도 연안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17595 18877_0027 奎18877 義昌君房(1755) 황해도 연안부 石串坊 황해도 연안부 石串坊 24 24결 김악건(金惡巾) 김악건(金惡巾)자료번호18877_0027 [奎18877]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70)
- 진쥬부 총슌 오건영은 셩의 송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쥬부 총슌 오건영은 셩의 송를 로이 쳐결다고 일삭 감봉엿더라게재일1900년 2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대구부총슌 오건영씨 공화를지고 일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대구부총슌 오건영씨 공화를지고 일홈이 소지에 올으기로 면본관엿고 경부에 갓쳔 동 경무관 김홍제씨 몸이 경무관이되여셔 진즉 금지지 못야 샹민민요를 닐으킨 죄로 면본관엿더라게재일1901년 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去四月二十七日各私立小學校聯合大運動時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去四月二十七日各私立小學校聯合大運動時에有志僉員이學徒의賞與를爲야寄付物品을左開揭佈노라 學部 紙貨十圜 玄暎運 紙貨十圜 朱翰榮 鉛筆五打 初學地誌五件 漢文地球全圖五件 筭術册[新訂筭術)五件 金相天 鉛筆 打 空册二部 雨傘一柄 紙石板一部 毛筆十柄 金相萬 中地球一坐大韓地誌十五件게재일1907년 5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委員選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부에셔 법률위원 십오인을션뎡야법률졍으오건에야각기의견셔를지어목요일에일졔졔츌케얏 그위원은 부관리와 평한량판소관리와 법관양셩소교관과 변호즁에셔 뎡얏다더라게재일1906년 7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경무 리유인으로 평리원 판쟝 림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 리유인으로 평리원 판쟝 림시셔리를 명고 비셔랑 리상셜 리병소에 륙품 리죵영 구품 민병셩으로 임고 슌릉참봉 졍환긔에 류셕규로 임고 후릉참봉 리윤슈에 김규현으로 임고 강릉참봉 류붕에 셔샹우로 임고 츙쥬총슌 오건영과 대구총슌 졍익죠 상환다게재일1900년 5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16)
- 오건영;吳建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3845 남한 경성 관립한성외국어학교 1-46 관립한성외국어학교일람 1909 64면 1 제6장 졸업생 (합병전);6)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졸업생;(2) 영어부 오건영;吳建泳 (졸업일자)190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관립한성외국어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건영;吳建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30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9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7) 제3학년생 36인 오건영;吳建泳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문촌동 423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건영;吳建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0917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2호 1923―06―08 17면 1. 본 신학교 재학생 씨명;1) 제3학년생 39명 오건영;吳建泳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 文村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건영;吳健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오건영;吳健泳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오건영;吳健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6450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05면 오건영;吳健泳 제15회 194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오건 / 吳健 [종교·철학/유학]
1521(중종 16)∼1574(선조7). 조선 중기의 문신. 종은 증손, 할아버지는 식, 아버지는 세기, 어머니는 도영강의 딸이다. 1571년(선조 4) 이조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기사관을 겸해『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저서로는『덕계문집』·『정묘일기』 등이 있다
-
두건 / 頭巾 [생활/의생활]
머리에 쓰는 헝겊으로 된 간단한 모자. 두건의 형태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으며, 복두 일색이던 통일신라를 지나 고려에 들어오면 ≪고려도경 高麗圖經≫·≪고려사≫ 등의 문헌에도 나타난다. 이에 기록된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오건사대(烏巾四帶)·문라두건(文羅頭巾)
-
이천배 / 李天培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04년(선조 3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 이침과 모친 이수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흥우의 딸이다. 오건과 정구의 문인으로 수학, 장현광‧서사원‧여감호 등과 서신왕래로 교유하였다. 평생 경전을 연구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다 47세
-
증청평이거사 / 贈淸平李居士 [문학/한문학]
고려 중기에 곽여(郭輿)가 지은 한시. 작자가 이자현(李資玄)에게 준 칠언율시로, 『파한집 破閑集』·『삼한시귀감 三韓詩龜鑑』·『동문선』·『신증동국여지승람』에 전하며 서로 글자의 이동이 있다. 곽여는 예종의 초치에 오건(烏巾)과 학창(鶴氅)을 걸친 도가 행색으로 나타나
-
문위 / 文緯 [종교·철학/유학]
1554(명종 9)∼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정대부 산두, 어머니는 함양선교랑 오세평의 딸이다. 조식·오건·정구의 문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에서 의병들을 모집하고, 의병장 김면과 함께 고령에서 왜군을 맞아 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