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오가작통” 에 대한 검색결과 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 [내용] 이 언제부터 실시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28년(세종 10)의 ≪세종실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세종실록≫에 “주(周)‧...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
    정의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oga jaktong | MR표기oga chakt’o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목(事目) 향약(鄕約), 호패법(號牌法) 경제재정/역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손병규 17세기 후반 [정의] 다섯 집을 하나로 묶어 공동체...
    하위어오가작통사목(五家作統事目) | 관련어향약(鄕約), 호패법(號牌法)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정구역제도(行政區域制度) 오호담당제(五戶擔當制), 오호작통제(五戶作統制) 법(法), 지방행정(地方行政), 통수(統首), 호적대장(戶籍臺帳), 준호구(準戶口), 호구단자(戶口單子...
    상위어행정구역제도(行政區域制度) | 동의어오호담당제(五戶擔當制), 오호작통제(五戶作統制) | 관련어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지방행정(地方行政), 통수(統首), 호적대장(戶籍臺帳), 준호구(準戶口), 호구단자(戶口單子), 호패(號牌), 인보정장제(隣保正長制), 이정(里正), 통주(統主)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
    정의조선시대 다섯 집을 한 통(統)으로 묶은 행정자치조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oga jaktongbeop | MR표기oga chakt’ong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9)

  • ,十家作牌,因其舊法,申以新約,則奸宄無所容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60 牧民心書 卷六 ITKC_MP_0597A_1260_010_0110 ,十家作牌,因其舊法,申以新約,則奸宄無所容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
    권차명牧民心書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揭壁上, 常常在目。 及酗酒之禁, 亦爲申明, 廟堂亦爲時時提飭事, 命下, 而起鬧之院隷金秀淵·張德鉉, 勒縳之捕校金永福·趙明赫等, 自御營廳嚴棍後, 移送臣曹矣。 謹依傳敎, 金秀淵全羅道康津縣古今島, 張德鉉康津縣薪智島, 金永福珍島郡金甲島, 趙明赫羅州牧智島, 竝絶島勿限年充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蔚山甲子式戶籍大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대장은 이전 식년들과 달리 5家를 하나의 統으로 하는 法을 적용하여 기재하였다. 󰡔經國大典󰡕에 규정되어 있는 법은 이전 시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확히 지켜지지 않다가 1675년(숙종 원년) 윤휴의 건의에 따라 事目이 정해지면서 강화되었다....
    작성연대1684년(숙종 10) | 권수1권
  • 五家統事目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相聞, 呼召相應, 無得獨自離群索居. 一, 每, 而如或有餘戶未準五數, 不必越合他里作統, 只以餘戶添統. 一, 每一里, 自五統以上至十統者, 爲小里; 自十一統至廿統, 爲中里; 自廿統至卅統, 爲大里. 里中差里正、有司, 以掌一里之事. 一, 有統有里矣以屬本面, 面有都副...
    대표표제어五家統事目 | 목차七事考
  • 慶尙道蔚山府乙酉式戶籍大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을유식울산호적대장은 갑자식울산호적대장과 마찬가지로 법으로 작성되었다. 을유식울산호적대장(규14999-1)과 비교하면 청량면이 빠져 있고, 온양면에도 일부 결락이 있고, 확인할 수 있는 里도 8개밖에 없어 정확하게 비교하기 어렵다. 양자를 비교하면 당시 온양면의...
    작성연대1684년(숙종 10) | 권수1권

신문·잡지(10)

  • 경부에셔 각셔에 다시훈칙야 동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부에셔 각셔에 다시훈칙야 동에 야 쟝명등 켜라든얼은 물시가되엿다더라
    게재일1900년 10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連日閣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작 졍부에셔 회의 안건은각디방에 도젹의 소쟈 부에셔훈령야각기을실시야 금즙△고 대젹은 △△에셔 훈령야 진위병뎡으로 진△케고 무명잡셰 농상공부에셔 각군에훈령야 일쳬혁파기로 엿고 일본에잇 국△ △△건도 상의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경상도 경쥬군 사 리장언등이 부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상도 경쥬군 사 리장언등이 부에 호소 기를 본군 상납젼 칠십만량을 젼군슈 권상문씨가 건톄 야 밧치지 못것슬 상부에셔 쵹훈이 나려와셔 상납을 쵹즉 양 셩에게 밧지 못 거시라고 핑계 고 지금 군슈 죠의현씨 통 머리에 엽젼 량닷돈식 가렴...
    게재일1900년 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報請賑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함경북도 관찰 셔뎡규씨가 부로 질품기를 북도는 본 토디가 쳑박와 마다 쥬림을 면치 못더니 작년에는 팔월이십일에 셔리가오고 눈이 이넘게와셔 각곡이 실염치 못야 흉을 당와 셩이 쳥국과 아국지경으로 건너가는쟈 길에 상속기로 야 임의로 가지...
    게재일1903년 3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츙훈부 소텽에서 셔울과 십삼도에 향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훈부 소텽에서 셔울과 십삼도에 향약텽을 셜시 단 말은 이왕에도 긔 엿거니와 지금 향약 졀목과 규례를 만드 젼 감익 김젹제씨로 선뎡 고 지금 각아문에 통야 졍부에 회의고 셜시케 여 달나고 다 향약이란 것슨 무어신고 니 무론 경향 고 ...
    게재일1898년 8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다 관령을 둔다.”는 것이다. 법은 향약의 실시 또는 호패법의 실시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실시되고 있었다. 그 기능은 강도·절도방지, 풍속의 교화와 유민방지, 호적작성에 있어서의 탈루자 방지 등이었다.

  • 한성북부호적대장 / 漢城北部戶籍大帳 [사회/촌락]

    1663년(현종 4)에 조사, 작성된 한성부 북부관 내의 호적책. 1책. 완본(完本)으로 필사본. 책의 크기는 세로 43㎝, 가로 42.5㎝이며, 분량은 150매이다.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일반의 기재양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계(契)별로 ()하지 않고

  • 인보법 / 隣保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였다. 그러나 세종조 이후의 편호 조직은 인보법 대신에 법으로 정비되어 ≪경국대전≫에 법규로 제정되었다.

  • 헌종 / 憲宗 [종교·철학/유학]

    조선 제24대 왕(1827∼1849). 순조의 손자. 익종의 아들이다. 8세에 즉위하자 순원왕후가 수렴청정을 했다. 친정할 때는 삼정의 문란 등 국정이 혼란했고, 수재의 발생으로 민생고가 가중됐다. 기해박해와 법으로 천주교를 탄압했다. 23세로 후사 없이 죽

  • 산음현호적대장 / 山陰縣戶籍大帳 [사회/촌락]

    내의 호구 전부를 면(面)별로 수록하고 있다. 1606년의 것에는 산음현의 임내(任內)로 단성현(丹城縣)이 있었던 데서 단성현의 호적이 첨부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호적대장 일반에서 보는 기재양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里)별로 이 되어 있지 않다. 현존하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