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예학” 에 대한 검색결과 8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9)

사전(50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장에 흔히 “철저하게 가례를 지켰다(一遵家禮).”고 한 것이 바로 이를 말한다. ≪가례≫의 내용은 통례‧관례‧혼례‧상례‧제례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복잡한 예제가 관‧혼‧상‧제의 사례(四禮)로 축소, 정비되었던 것이다. 조선의 은 대체로 이 사례를 중심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리학의 발달로 나타난 예법에 관한 학문
    정의성리학의 발달로 나타난 예법에 관한 학문 | 문광부표기yehak | MR표기ye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학(儒學) 가례(家禮), 강례박사(講禮博士), 성리학(性理學), 예(禮), 예송(禮訟), 예치(禮治) 문화인문학/유학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태조~고종 이영춘 [정의] 유학...
    상위어유학(儒學) | 관련어가례(家禮), 강례박사(講禮博士), 성리학(性理學), 예(禮), 예송(禮訟), 예치(禮治)
  • 정술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785년에는 보덕(輔德)으로서 세자를 위하여 『집요(輯要)』를 올렸다. 그 내용은 정국본(定國本)ㆍ양덕성(養德性)ㆍ이연모(貽燕謨 : 후손에게 깊은 계책을 물려준 것)ㆍ돈효제(敦孝悌)ㆍ택빈료(擇賓僚)ㆍ근교도(謹敎導)ㆍ면학문(勉學問)ㆍ계태일(戒怠逸)이...
    이칭별칭 효선(孝善)
  • 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서상숙(徐相肅)이 세자를 교육하기 위하여 성현들의 문헌에서 긴요한 것을 발췌하여 편집한 교육서. [내용] 2권 1책. 필사본. 이이(李珥)의 『성학집요(聖學輯要)』의 체재를 본받았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

고서·고문서(173)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本朝鄭述祚進輯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340 本朝鄭述祚進輯要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전통 용어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전통 용어사전 인문학 철학 한국철학 전통 용어사전 李源均 編著 일청기획 경산 2010 전문사전; 동양사상; ...
    대표표제어전통 예학 용어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철학 | 소분류한국철학
  • 4641 중국 문집 지정집 004 기타 至正集36 先施堂記 遼東控地數千里 樂浪實古朝鮮 由箕子教以禮義 田蚕織作 民不相盜 東京失御公孫氏威行海外管㓜安以人中之龍蟠然歸之講詩書習俎豆三十七年民化其徳遼金崛起遂為内地雖教不逮古而士生其間蔚為名俊者多矣聖元建路治列...
    국가중국 | 서명지정집 | 왕대기타  
  • ,渭原;連香,理山定配。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69)

  • 과 영화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육현승, 게재일 : 2006
    24035 육현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6 문과 영화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17세기 호서파의 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기범, 게재일 : 2004
    09393 한기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04 17세기 호서파의 사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星湖 의 展開와 變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백도근
    10989 백도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星湖 의 展開와 變容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7841011248ad413e4c
    유형논문
  • 정현 의 이론구성적 성격 - 정현 三과 古禮의 재구성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례경, 게재일 : 2016
    26735 박례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태동고전연구소 2016 정현 의 이론구성적 성격 - 정현 三과 古禮의 재구성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근기남인 실학파 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백도근
    08942 백도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근기남인 실학파 관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7841011248e1b016
    유형논문

신문·잡지(34)

  • 女子技校 展覽會 (여자기교 전람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女子技藝學校 展覽會 | 기사명_한글여자기예학교 전람회 | 부제_원문成績品一千三百五十 | 부제_한글성적품 1350 | 게재일19180224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4-5
  • 校の展覽會 (기교의 전람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技藝學校の展覽會 | 기사명_한글기예학교의 전람회 | 게재일19240224 | 게재판 | 게재면05 | 게재단6-8
  • 校の展覽會 (기교의 전람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技藝學校の展覽會 | 게재일19240224 | 게재판 | 게재면05 | 게재단4-5
  • 生活改善の手藝品展覽會 (생활개선의 수예품 전람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生活改善の手藝學藝品展覽會 | 기사명_한글생활개선의 수예학예품 전람회 | 부제_원문來る十七日から三日 本社大田支局主催 | 부제_한글오는 17일부터 3일 본사대전 지국 주회 | 게재일19241008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7-8
  • 藝品展覽會 空前の盛況を呈す (수예품 전람회 공전의 성황을 거둬)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手藝學藝品展覽會 空前の盛況を呈す | 기사명_한글수예학예품 전람회 공전의 성황을 거둬 | 게재일19241019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3-4

기타자료(61)

  • (탐방) 부산공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탐방) 부산공교 (탐방) 부산공교 교육 문헌 중등교육 실업교육 잡지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월보
  • (꿈의) 꿈 이야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꿈의) 꿈 이야기 (꿈의) 꿈 이야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홍순례 | 사료철명강원교육
  • (지방교육) 부산 공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방교육) 부산 공교 (지방교육) 부산 공교 (地方敎育) 釜山 工校 교육 문헌 중등교육 실업교육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사료철명교육평론
  • (학교방문) 한국 농업 교육의 전형으로-한독 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학교방문) 한국 농업 교육의 전형으로-한독 원교 (학교방문) 한국 농업 교육의 전형으로-한독 원교 교육 문헌 중등교육 실업교육 중등교육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사료철명부산교육월보
  • (가정과 학습을 통한 창조력 개발 실천사례) 수습 지도법에 관한 일연구-프랑스 자수를 중시믕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가정과 학습을 통한 창조력 개발 실천사례) 수습 지도법에 관한 일연구-프랑스 자수를 중시믕로 (가정과 학습을 통한 창조력 개발 실천사례) 수습 지도법에 관한 일연구-프랑스 자수를 중시믕로 교육 문헌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경자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33)

  • / [종교·철학/유학]

    예법에 관한 학문. 조선시대의 기본 예전 ≪국조오례의≫이다. 그 내용은 길례·가례·빈례·군례·흉례의 순서로 되어 있다. 길례는 종묘와 사직에 제사 지내는 의식 및 농사와 관계되는 제사 의식 56가지를, 가례는 중국을 섬기는 의식, 명절에 하례하는 의식, 왕비를 책봉하

  • 김집 / 金集 [종교·철학/유학]

    1574-1656. 조선 효종때의 자. 성리학자. 김장생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송익필에게서 을 전수받았다.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어 효종과 함께 북벌을 계획하였다. 부친 김장생과 함께 조선의 기본적 체계를 완비하였다. 저서로는 <신독재유고>, 편서로는

  • 황경원 / 黃景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자(1709∼1787). 1740년 증광문과 병과급제 후 이조참판 겸 대제학·예조판서·공조판서·중추부판사 등을 지냈다. 서예에 능하고, 에 정통, 고문에도 밝았다. 저서로《남명서》·《명조배신전》등이 있다.

  • 안명하 / 安命夏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682∼1752).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오직 성리학과 에 전념하였다. 이황의 학통을 이었으며 저서로《배운록》·《송와집》등이 있다.

  • 권구 / 權絿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31(영조 7). 조선 후기의 학자. 절충장군 권임도의 아들로 작은아버지 권임정에게 입양되었다. 조지겸에게 학문을 배웠고, 뒤에 윤증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에 밝았다. 저서로는『오복편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