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예의문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2)
사전(11)
- 예의문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유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승려들과 정학연(丁學淵, 1783-1859)의 예에 관한 질문에 답변한 내용을 정리한 책.정의조선 후기 유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승려들과 정학연(丁學淵, 1783-1859)의 예에 관한 질문에 답변한 내용을 정리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Yeui mundap | MR표기Yeŭi munda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석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說)」에는 본문과 소주(小註)까지 자세하게 해설을 붙이고 있다. 「예의문답(禮疑問答)」에서는 사상의 의식, 혼서(婚書), 존장에 대한 예절 등을 논하였다.
- 우암예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규장각본은 권1에 가례도(家禮圖)‧가례서(家禮序)‧통례(通禮), 권2에 관례‧혼례‧상례 등 주자의 『가례』에 대하여 문답한 내용이 그 편집체재에 맞추어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소장본은 ‘예의문답(禮疑問答)’이라는 표제로 권수 구분 없이 편집되었고, 권말에...
- 유심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3에 서(書) 87편, 권4에 경의문답(經疑問答) 5편, 예의문답(禮疑問答) 12조, 권5에 잡저 9편, 고문(告文) 4편, 제문 7편, 권6에 행장‧지문(誌文) 각 3편, 부록으로 묘갈명‧묘표‧묘지명‧제...
- 나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1에 시 18수, 예의문답(禮疑問答) 24편, 권2에 기 4편, 사(辭) 1편, 명 1편, 논 2편, 서(序) 1편, 지(誌) 1편, 묘표 2편, 제문 2편, 권3은 부록으로 첩(牒) 4편, 계문(啓聞)‧인명록‧행장‧갈명(碣銘)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22-상의절요 외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喪儀節要 卷一 2.喪儀節要 卷二 3.嘉禮酌儀 4.禮疑問答 5.風水集議
고서·고문서(120)
- 問 今人收尸用㪷子,以當足掌,又用米豆等重物,以鎭其外,亦所以防辟戾也。此法何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10_0080 問 今人收尸用㪷子,以當足掌,又用米豆等重物,以鎭其外,亦所以防辟戾也。此法何如?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問 卓之高只二尺,則何不用髹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10_0140 問 卓之高只二尺,則何不用髹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問 宗子之母旣在,則宗廟之重,未及傳於宗子之妻,又何爲而伸禫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10_0400 問 宗子之母旣在,則宗廟之重,未及傳於宗子之妻,又何爲而伸禫耶?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問 中酒死者,祭不當用酒否?【男學淵】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20_0210 問 中酒死者,祭不當用酒否?【男學淵】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初喪稱卒逝。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00 禮疑問答 ITKC_MP_0597A_1000_060_0010 初喪稱卒逝。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禮疑問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예의문답 / 禮疑問答 [종교·철학/유학]
예류(禮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3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30.0×20.2cm, 반곽은 21.0×15.2cm이다. 표제는 예의문답류편(禮疑問答類編), 판심제는 예의문답(禮疑問答)이다. 곽종석(郭鍾錫)이 저술하였고, 서문(序文)은
-
나암집 / 懶菴集 [종교·철학/유학]
수, 예의문답(禮疑問答) 24편, 권2에 기 4편, 사(辭) 1편, 명 1편, 논 2편, 서(序) 1편, 지(誌) 1편, 묘표 2편, 제문 2편, 권3은 부록으로 첩(牒) 4편, 계문(啓聞)·인명록·행장·갈명(碣銘)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몇 수 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