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예원좌”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21)

  • 김춘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극단 ()를 조직하여 공연활동을 벌이는 한편, 극본을 자신이 혼자 대다시피 하여 <남북애화>‧<독초>‧<암흑가>‧<교정> 등 수많은 작품을 쓰면서 광복될 때까지 를 이끌었다. 광복이 되자 1945년 10월에 해산된 단원을 재정비하...
    이칭별칭김조성
  • 전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단 ()의 창립동인, 1941년 라미라가극단(羅美羅歌劇團)‧백조가극단(白鳥歌劇團) 등에서 활동하였다. 광복 후에는 악극단을 조직하여 전국을 누비기도 하였으나, 주로 영화에 전념하였다. 그녀가 출연한 영화는 <옥녀>‧<사랑을 찾아서>(1928)‧<목포...
  • 이충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 즉위년)에는 필선에 올랐으며, 사간ㆍ장령 등을 역임하고 1621년 통례원좌통례(通通禮)가 되었고, 이듬해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이칭별칭 효숙(孝叔)| 후계(後溪)
  • 이후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官)이 되어 현지에 가서 장례를 관리하였다. 1647년 병조정랑 재직 때 가족에게 나례(儺禮)를 구경시키기 위해 수직군(守直軍)을 동원, 사사로이 가마꾼[轎軍]으로 사용(私用)한 사실이 드러나 파직되었다. 뒤에 재기용되어 상의원정(尙衣院正)ㆍ통례원좌통례(通...
    이칭별칭 군보(君保)
  • 모달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올렸다. 그뒤 1812년 예조좌랑, 1813년 사헌부장령과 전주의 복시관(覆試官)을 역임하였으며, 1814년 통례원좌통례(通通禮)‧대정현감(大靜縣監)을 지내면서 청백한 관리생활로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졌다. 1817년 관직에서 물러나 자연과 경전(經傳) 속에 묻혀...
    이칭별칭 선보(善甫)| 중심당(中心堂), 두암(?庵)

고서·고문서(21)

  • 1573년 윤복 증조고 윤사보(尹思甫)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9월 29일에 윤복의 증조고 윤사보를 通訓大夫 通通禮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69643 B06964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0年 7月 5日_005 ○有政。 以南銑爲同副承旨, 李厚源爲左副承旨, 尹絳爲司憲府執義, 李晦爲昆陽郡守, 金瑨爲通通禮, 李大奇爲長水縣監, 金霱爲同副承旨, 金繁爲安州牧判官, 沈東龜爲宗簿正, 鄭維城爲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9763 B06976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0年 7月 5日_005 ○有政。 以南銑爲同副承旨, 李厚源爲左副承旨, 尹絳爲司憲府執義, 李晦爲昆陽郡守, 金瑨爲通通禮, 李大奇爲長水縣監, 金霱爲同副承旨, 金繁爲安州牧判官, 沈東龜爲宗簿正, 鄭維城爲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이 通訓大夫行通通禮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통례원은 국가의례를 관장하던 관서였는데, 좌통례는 통례원은 정3품 당하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었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이 通訓大夫行通通禮兼中學敎授實錄編修官別兼春秋奎章閣檢校待敎知製敎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辭令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연극]

    1935년 2월 창단된 극단. 이 극단의 특색은 막간에 여흥을 넣는 것이었는데, 공연은 부민관과 우미관을 주로 이용했으며 각 지방 순회공연도 가졌다. 이들은 촌극, 넌센스, 노래, 만담, 조선영화, 해설극 등을 전문으로 공연했으며, 194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다.

  • 김춘광 / 金春光 [예술·체육/연극]

    1901년∼1949년. 극작가 겸 연출가. 본명은 김조성(金肇盛), 황해도 평산 출신이다.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연극과 영화를 공부했다. 1935년 극단 ()를 조직하여 「남북애화」‧「독초」‧「암흑가」‧「교정」 등 수많은 작품을 쓰면서 공연활동을

  • 부민관 / 府民館 [예술·체육/영화]

    비롯하여 상업극단들인 중앙무대, 화랑원, 인생극장, 등 동양극장 전속이 아닌 극단들이었다. 1937년부터 동양극장 전속극단인 청춘좌와 호화선도 부민관을 공연장으로 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