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예원좌”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21)

  • 김춘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과 극단 ()를 조직하여 공연활동을 벌이는 한편, 극본을 자신이 혼자 대다시피 하여 <남북애화>‧<독초>‧<암흑가>‧<교정> 등 수많은 작품을 쓰면서 광복될 때까지 를 이끌었다. 광복이 되자 1945년 10월에 해산된 단원을 재정비하...
    이칭별칭김조성
  • 전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극단 ()의 창립동인, 1941년 라미라가극단(羅美羅歌劇團)‧백조가극단(白鳥歌劇團) 등에서 활동하였다. 광복 후에는 악극단을 조직하여 전국을 누비기도 하였으나, 주로 영화에 전념하였다. 그녀가 출연한 영화는 <옥녀>‧<사랑을 찾아서>(1928)‧<목포...
  • 이충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 즉위년)에는 필선에 올랐으며, 사간ㆍ장령 등을 역임하고 1621년 통례원좌통례(通通禮)가 되었고, 이듬해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이칭별칭 효숙(孝叔)| 후계(後溪)
  • 이후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官)이 되어 현지에 가서 장례를 관리하였다. 1647년 병조정랑 재직 때 가족에게 나례(儺禮)를 구경시키기 위해 수직군(守直軍)을 동원, 사사로이 가마꾼[轎軍]으로 사용(私用)한 사실이 드러나 파직되었다. 뒤에 재기용되어 상의원정(尙衣院正)ㆍ통례원좌통례(通...
    이칭별칭 군보(君保)
  • 이제(李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문과(文科) 을과(乙科)에 합격하였고, 통례원좌통례(通通禮) 등을 역임하였다. 1680년 9월에는 병조정랑(兵曹正郞)으로 있던 이제(李璾)가 경접위관(京接慰官)으로 임명되어 관백고경차왜(關白告慶差倭) 히라타 나오에몬(平田直右衛門, 平眞賢) 일행을 접대하였다. 경접...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21)

  • 1573년 윤복 증조고 윤사보(尹思甫) 추증교지(追贈敎旨)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73년(宣祖6) 9월 29일에 윤복의 증조고 윤사보를 通訓大夫 通通禮로 추증하는 문서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69643 B06964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0年 7月 5日_005 ○有政。 以南銑爲同副承旨, 李厚源爲左副承旨, 尹絳爲司憲府執義, 李晦爲昆陽郡守, 金瑨爲通通禮, 李大奇爲長水縣監, 金霱爲同副承旨, 金繁爲安州牧判官, 沈東龜爲宗簿正, 鄭維城爲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9763 B06976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0年 7月 5日_005 ○有政。 以南銑爲同副承旨, 李厚源爲左副承旨, 尹絳爲司憲府執義, 李晦爲昆陽郡守, 金瑨爲通通禮, 李大奇爲長水縣監, 金霱爲同副承旨, 金繁爲安州牧判官, 沈東龜爲宗簿正, 鄭維城爲東萊府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通訓大夫 行司贍寺 直長 趙禧를 通訓大夫 通禮院 左通禮에 追贈하는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贍 寺直長趙禧贈通 訓大夫通 通禮者 崇德七年閏十一月二十九日 嘉善大夫○○中樞府事趙享遠曾祖考依大典追贈 조정 종가 상주박물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崇禎 三年 十月 二十一日 全彭祖 追贈 敎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3895 2331_02 崇禎 三年 十月 二十一日 全彭祖 追贈 敎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전식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교지 한자 고문서 JS038.hwp 敎旨 成均生員全彭 祖贈通訓大夫 通通禮 者 崇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전식 종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연극]

    1935년 2월 창단된 극단. 이 극단의 특색은 막간에 여흥을 넣는 것이었는데, 공연은 부민관과 우미관을 주로 이용했으며 각 지방 순회공연도 가졌다. 이들은 촌극, 넌센스, 노래, 만담, 조선영화, 해설극 등을 전문으로 공연했으며, 1940년대 초반까지 활동했다.

  • 김춘광 / 金春光 [예술·체육/연극]

    1901년∼1949년. 극작가 겸 연출가. 본명은 김조성(金肇盛), 황해도 평산 출신이다.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연극과 영화를 공부했다. 1935년 극단 ()를 조직하여 「남북애화」‧「독초」‧「암흑가」‧「교정」 등 수많은 작품을 쓰면서 공연활동을

  • 부민관 / 府民館 [예술·체육/영화]

    비롯하여 상업극단들인 중앙무대, 화랑원, 인생극장, 등 동양극장 전속이 아닌 극단들이었다. 1937년부터 동양극장 전속극단인 청춘좌와 호화선도 부민관을 공연장으로 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