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예성제”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기 위하여 위판(位版)을 조성하여 승배(陞配)한 뒤에 올리는 의식. [내용] 를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대성전에 승배의 사유를 고하는 고유제(告由祭)를 올리고 동ㆍ서무(東西廡)에 승배시킨 뒤에 다음날 거행하...
  • 함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서면으로 신문하는 것이나 그에 대해 대답하는 말. 侍生以不參 重被推切 才送緘辭 可以因此脫濕 良幸良幸, 한영(韓.), 21(禮)-122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김인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 김해지방의 세력가. [개설] <봉림사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 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文>에 의하면 지김해부진례성제군사명의장군(知金海府進軍事明義將軍)의 칭호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 세력가로서 김해읍에서
  • 창원진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동국여지승람≫ 권32 <김해군도호부 고적>조에는 “進禮城 佐府西 三十五里 有古址 新羅以金仁匡爲 進軍事(진례성 좌부면 35리 유고지 신라이김이광위 진례성제군사)”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시대에 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성내에는 동문지와 서문지 등...
    이칭별칭진례산성 | 연계항목창원진례산성(昌原進禮山城)
  • 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해의 서쪽에 선림(禪林)이 있음을 듣고 경상남도 창원으로 옮겼는데, 그곳에서 진례성제군사(進軍事) 김율희(金律熙)가 성안에 정진할 수 있는 처소를 지어 머물러 있게 하였다. 이 때 효공왕은 특사를 파견하여 경배의 뜻을 표하였다. 그곳은 수선(修禪)에 가장...
    이칭별칭 진경대사(眞鏡大師)|법응대사(法膺大師)|보월능공(寶月凌空)

고서·고문서(8)

  • 32574 B032574 김인 金仁 인물 大東地誌 권5 경상도 金海 城池 邑城辛禑時本府使朴葳築周四千六百八十三尺瓮城四泉二十八溪一池一盆山城周一千五百六十尺井二盆城土築周八千六百八十三尺進禮城西三十五里○新羅時以金仁匡爲進軍事漕轉城東十八里周二百六十五尺歌谷山城西二十里周六百尺井一...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東·巨濟·咸陽·居昌·淸道·草溪·永川·醴泉·榮川·興海·豐基·梁山·咸安·昆陽·陜川·金山等二十九邑, 二賢尙未陞配云, 上頃各邑, 二賢陞配之意, 今秋釋菜大成殿兼告由番祝及香祝, 令該司急速磨鍊下送,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金浦·交河·楊根·安山·安城·高陽·麻田·朔寧·加平郡等邑鄕校, 只四賢陞配云, 二賢今八月初四日秋釋菜, 當爲陞配, 一依甲午年四賢陞配時例, 大成殿秋釋菜兼告由香祝及陞配後香祝, 令該司分排磨鍊, 急速下送之意, 分付,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煙塵欻離雲水投溟州而駐足託山寺以栖心千里乂安一方消息無何遠聞金海西有福林忽別此山言歸南界及乎達於進禮暫以踟躕爰有■■進軍事金律熙慕道情深聞風志切候於境外迎入城中仍葺精廬諮留法獻猶如孤兒之逢慈父衆病之遇毉王■■■■■■■■■■■■■孝恭大王特遣政法大德如奐逈降綸言遙祈法力佐紫泥而兼送薰鉢憑專介而...
    연대923 | 서체해서 | 소재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하여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陞院時告由文 18 大司憲 李世澤(1~1)이 쓴 고유문이다. 龜灣書堂이 書院으로 승격된 뒤에 올린 글이다. 陞院祝文 18 大司憲 李世澤(1~1)이 陞院禮를 마치고 제사...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기 위하여 위판(位版)을 조성하여 승배(陞配)한 뒤에 올리는 의식. 를 올리기 위해서는 먼저 대성전에 승배의 사유를 고하는 고유제(告由祭)를 올리고 동·서무(東西廡)에 승배시킨 뒤에 다음날 거행하게 된다. 이때는 동·서무의 각 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