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예산은자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6)
- 예산은자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했다고 하였다. 평소에 부도(浮屠)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마침내는 절의 전호(佃戶)가 되었다고 하였다. 탁전이라는 글의 형식이 가탁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저자도 이 글의 제목을 ‘예산은자전’이라 하고, 은자의 이름과 성을 전혀 다른 사람처럼 꾸몄으나, 글의 전...
- 猊山隱者傳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0_D_0192 猊山隱者傳 경서·경학 崔拙翁 D_16_01_75 대동운부군옥 16권 1장 7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1장 7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輒斥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784 輒斥 관직 善惡, 輒擧 崔拙翁 猊山隱者傳 D_20_01_10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0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0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崔拙翁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811 崔拙翁 인물 農隱, 志奇, 才高, 不遇 獅子山 猊山 猊山隱者傳, 風雅 D_10_06_13 대동운부군옥 10권 6장 1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6장 1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崔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367 崔瀣 인물 登第, 元朝制科, 不事產業, 文章, 不資師友, 超然自得, 不惑異端, 務合於古人, 性亢, 喜說人善惡, 志奇, 才高, 不遇於時, 檢校大司成, 有藳二卷, 行于世 雞林 彥明, 壽翁, 拙翁, 孤雲, 忠烈王 猊山隱者傳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
- 동북면(東北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329 B077329 동북면 東北面 정치행정 輿地圖書 慶尙道 慶州 人物 ... 至安東瑄聞之怒命猛將三四追之得傔從一人歸械立門外瀣潛踰竹嶺還京大爲儒林所笑後居城南獅子山下晩從獅子岬寺僧借田而耕開園田取足自號猊山農隱有座右銘及猊山隱者傳) 李達衷(忠肅朝登第累官成均祭酒恭愍元年拜典理判書...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현전한다.가 지었다. 시호는 문청이다. 『삼한귀감』 1질. 예산 최해 최해(1287~1340). 고려시대 문신. 자는 彦明父 또는 壽翁로 알려져 있고, 호는 拙翁 또는 猊山農隱이다. 『猊山隱者傳』이라는 자서전을 지었으며, 고려 명현의 명시문을 뽑아 『東人之文』 25권을...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주제어사전(2)
-
예산은자전 / 猊山隱者傳 [문학/한문학]
, 은자가 이음(夷音)이 늘어지므로 그 이름까지 합쳐서 바꾸어 창괴(蒼槐)라고 한다고 하였다. 탁전이라는 글의 형식이 가탁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저자도 이 글의 제목을 ‘예산은자전’이라 하고, 은자의 이름과 성을 전혀 다른 사람처럼 꾸몄으나, 글의 전체적 내용을 상고
-
최해 / 崔瀣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예산은자전』, 『졸고천백』 등을 저술한 문인. 최치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민부의랑(民部議郎) 백륜(伯倫)이며, 어머니는 대호군(大護軍) 임모(任某)의 딸이다. 최해는 평생을 시주(詩酒)로 벗을 삼았다. 이제현(李齊賢)·민사평(閔思平)과 가까이 사귀었다.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