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예빈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서사
연구성과물(66)
사전(43)
- 예빈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전기에 외국의 빈객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921년(태조 4)에 예빈성을 설치, 995년(성종 14) 객성(客省)으로 고쳤다가 뒤에 다시 예빈성으로 복구하였다....
- 객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초기 외국의 빈객(賓客)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을 담당하던 관청. [내용] 921년(태조 4)에 예빈성(禮賓省)을 설치, 995년(성종 14)에 객성으로 고쳤다가 후에 예빈성으로 복구되었다. →예빈성
- 공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의 서리직. [내용] 문반계통의 입사직(入仕職)에 해당되며, 예빈성(禮賓省)에 15인이 소속되어 문서를 검토하고 사증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고려사(高麗史)』
- 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예빈성에 각각 1인, 삼사에 4인을 비롯하여 제서(諸署)에 1인씩 소속되어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서리직(胥吏職)」(김광수,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4, 1969)...
- 봉빈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태봉의 관서. [내용] 광평성(廣評省)에 예속되어 있다. 신라시대 사성부(司省府) 및 고려시대의 예빈성(禮賓省)과 같은 관청으로 빈객(賓客)‧연향(宴享)을 맡아보았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고서·고문서(23)
- 1079년 고려 예빈성(禮賓省) 첩(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079년에 고려 예빈성(禮賓省)에서 일본 대재부(大宰府)에 보낸 외교문서이다. 풍질을 잘 고치는 의료인을 선발하여 고려에 보내 달라는 내용이다. 당시 풍질로 고생하고 있던 고려 국왕 문종이 고려와 일본을 오가는 상인으로부터 일본에 풍질을 잘 고치는 의사가 있다는 말...내용분류정치‧행정-외교-외교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외교문서류-외교문서
- 1259년 고려 예빈성(禮賓省) 첩(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259년에 고려 예빈성(禮賓省)에서 남송(南宋)의 경원부(慶元府)에 보낸 외교문서이다. 몽고군에 붙잡혀 있다가 고려로 도망해 온 중국인 세 사람을 상인의 배편으로 송환한다는 내용이다. 경원부는 남송의 지방관부 가운데, 하나로 중국 남동부 동해 연안 지역이다. 원문서...내용분류정치‧행정-외교-외교문서 | 형식분류고문서-외교문서류-외교문서
- 가량잉(加良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034 B001034 가량잉 加良仍 정치행정 高麗史10卷, 世家10 宣宗 宣宗七年[庚午] 春正月 己丑 禮賓省據乇羅勾當使申狀奏 星主游擊將軍加良仍死母弟陪戎副尉高福令繼之賵賻之物宜準舊例支送 制可출처전거高麗史10卷, 世家10 宣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보경사명지_寶慶四明志6 郡志6 敘賦下 市舶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5049 중국 지방지 보경사명지 012 문종(文宗) 23 1069 寶慶四明志6 郡志6 敘賦下 市舶 熙寧二年 前福建路轉運使羅拯言中國重輕 據泉州商人黄慎所具状 慎嘗以商至髙麗 髙麗舍之禮賔省 見其情意欣慕聖化 兼云 祖彌以來 貢奉朝廷 天聖遣使之後 久...국가중국 | 서명보경사명지 | 왕대문종(文宗) 23
- 朝野群載_朝野群載20 承曆四年 大宰府解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218 일본 편저 朝野群載 131 문종(文宗) 34 1080 3 5 朝野群載20 承曆四年 大宰府解 申請官裁事 言上高麗國牒壹通狀 右商人往反高麗國 古今之例也 回玆去年當朝商人王則貞 爲交關罷向彼州之間 禮賓省牒壹通 相副錦綾麝香等所送也 是...국가일본 | 서명朝野群載 | 왕대문종(文宗) 34
주제어사전(2)
-
예빈성 / 禮賓省 [정치·법제/외교]
고려 전기에 외국의 빈객을 맞이하고 접대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고려사≫ 백관지에 의하면 921년(태조 4)에 예빈성을 설치, 995년(성종 14) 객성으로 변경, 뒤에 예빈성으로 복구하였다. 문종 때의 관제에는 판사(정3품)·경(종3품) 각 1인, 소경(종4품
-
서사 / 書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리의 차위직. 고려 태조 때부터 있던 실무·행정 담당의 말단 이속이었으며, 국자감에 2인, 예빈성에 8인, 위위시와 사재시에 각 6인, 대복시에 4인, 대부시에 12인이 배속되었다.한편, 서사는 입사직으로 998년(목종 1) 개정전시과에 제17과로 해당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