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예기대문언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예기대문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예기대문언두 예기대문언두 ≪예기≫의 경본문에 한글로 구결을 단 책. 무신자로 된 활자본.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성삼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던 제도)를 했고, 세종의 명에 따라 ≪예기대문언두 禮記大文諺讀≫를 펴냈다. 세종이 훈민정음 28자를 만들 때 정인지(鄭麟趾)‧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이개(李塏) 등과 함께 이를 도왔다. 특히 신숙주와 같이 명나라 요동을 여러 번 왕래하면서, 그...이칭별칭 근보(謹甫)| 매죽헌(梅竹軒)| 충문(忠文)
- 예기(禮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身)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초기에 이미 전해져서, 통일신라 이후로는 관리 등용 시험의 필수 과목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저술된 『예기』 관계 문헌으로는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과 권근(權近)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 등...
고서·고문서(1)
-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주제어사전(1)
-
예기대문언두 / 禮記大文諺讀 [언어/언어/문자]
『예기』의 경본문(經本文)에 한글로 구결을 단 책. 6권 6책. 발문에 의하면, 세종이 성삼문(成三問)·신숙주(申叔舟) 등에게 『예기』에 구결을 달게 하여 『예기집설대전(禮記集說大全)』의 난 위에 얹어 간행하게 하였는데, 홍문관의 계품(啓禀)으로 강연(講筵)의 참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