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풍창”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부성(富城 :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내용]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의하면 그 위치는 성연면 명천(鳴川)에 있었다고 하였으니, 현재의 서산시 성연면 명천리이다. 본래 이곳은 부곡(部曲...
  • 초마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때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사용된 조운선(漕運船). [내용] 고려는 초기부터 남도수군(南道水郡)에 아산의 하양창(河陽倉), 서산의 (), 부안의 안흥창(安興倉), 임피(臨陂)의 진성창(鎭成倉), 나주의 해릉창(海陵倉), 영...
  • 조창(漕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창 조창 漕倉 조운(漕運) 통양창(通陽倉), 석두창(石頭倉), 해룡창(海龍倉), 장흥창(長興倉), 해릉창(海陵倉), 부용창(芙蓉倉), 안흥창(安興倉), (), 하양창(河陽倉), 덕흥창(德興倉), 안란창(安瀾倉), 흥원창(興元倉) 등...
    상위어조운(漕運) | 하위어통양창(通陽倉), 석두창(石頭倉), 해룡창(海龍倉), 장흥창(長興倉), 해릉창(海陵倉), 부용창(芙蓉倉), 안흥창(安興倉), 영풍창(永豊倉), 하양창(河陽倉), 덕흥창(德興倉), 안란창(安瀾倉), 흥원창(興元倉) 등 | 관련어관선 조운(官船漕運), 사선 조운(私船漕運), 전세(田稅), 조운선(漕運船), 조졸(漕卒)
  • 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구 安興倉 濟 安 浦 전북 부안의 줄포만 연안 聖淵部曲 충남 서산의 남양만 연안
  • 서산시(충청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곳집) 유적이 발견되는데 지, 봉생리 서창지, 창리 조창지, 명천리 조창지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운산면 용현리에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 서산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 사적 제316호)가 있고, 보원사지에는 보원사지석조(보물 제102호)‧보원사지...

고서·고문서(11)

  • 內洞里 牛山里 山业里 金谷里 馬山里 東山里 竹寺里 葛歭里 麻田里 西距十五里 面 墻业里亭子洞 古城里 漁隠洞 西距二十里 文峴面 松峙里 古波島 方吉里 芿卜里 乕頭里 徳洞里 大洞里 ...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898 B025898 고파도 古波島 도서 충청남도 忠淸道邑誌 瑞山郡誌 瑞山郡 坊里 ... 星山里芒峙里 內洞里 牛山里 山业里 金谷里 馬山里 東山里 竹寺里 葛歭里 麻田里 西距十五里 面 墻业里亭子洞 古城里 漁隠洞 西距二十里 文峴面 松峙里 古波島 方吉里 芿卜里 乕...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지역분류충청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5595 B025595 고성리 古城里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瑞山郡誌 瑞山郡 坊里 ... 毛洞 沙塲里 芒歭里 渴馬串 江境里 柯田里 西距二十五里 蘆㫖面 星山里芒峙里 內洞里 牛山里 山业里 金谷里 馬山里 東山里 竹寺里 葛歭里 麻田里 西距十五里 面 墻业里亭子洞 古城里 漁...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1266 B041266 대동리 大洞里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瑞山郡誌 瑞山郡 坊里 ... 金谷里 馬山里 東山里 竹寺里 葛歭里 麻田里 西距十五里 面 墻业里亭子洞 古城里 漁隠洞 西距二十里 文峴面 松峙里 古波島 方吉里 芿卜里 乕頭里 徳洞里 大洞里 把洞里蓮花里 黒石里 西...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河陽倉在牙州今稷山慶陽浦海倉前號打伊浦又改便涉浦在瑞山今鳴川浦倉安興倉在保安縣之濟安浦前號無浦今扶安鎭城倉在臨陂西十里朝宗浦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고려시대 부성에 설치되었던 조창. 세곡의 운송을 위하여 적재량이 1,000석(石)인 초마선 6척이 배속되어 있었고, 외관록 20석을 받는 판관이 주재하면서 창고 관리인인 향리와 뱃사공인 초공·수수들의 조운을 지휘, 감독하였다. 이곳에서는 충청남도 서부지역의 세곡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