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주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3)
- 영주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국, 1977) 영주향교 대성전 경북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향교. 1368년(공민왕 17)에 창건되었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3호로 지정된 대성전과 명륜당, 동서무, 동서재, 존현당, 횡루...
- 이만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晩燾) 등과 더불어 향음주례 의절을 강론하여 정하였다. 1892년에는 예천의 오천사(浯川榭)에서 『대학』을 강하고, 1893년에는 영주향교에서 『소학』을 강하였다. 이후 1894년의 동학농민운동, 1895년의 을미사변(乙未事變)을 목도하는 과정에서 세가(世家)의...이칭별칭 군택(君宅)| 용산(龍山)|만호(晩濩)
- 영주시(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교문화재와 고건축물로는 풍기읍 교촌리의 풍기향교(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하망동의 영주향교대성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3호), 순흥면 내죽리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사적 제55호), 이산면 용상리의 칠성루 및 휴계재사(七星樓―休溪齋舍,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
고서·고문서(5)
- 1905년 영천향교(榮川鄕校)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영천향교(영주향교)에서 손이시비와 관련하여 손씨측의 행위에 대하여 비판하는 내용을 이씨측의 경산단소로 보낸 것이다. 이들은 대산 이상정이 찬술한 동강서원 상량문의 ‘의방’이라는 두 글자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으로 이언적이 외숙부인 손중돈을 위해 지은 제...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동우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받고 감사하는 뜻을 밝힌 글이다. 慰族從正燮 30 先府君의 喪事에 위로함과 함께 故人을 회상하는 내용이다. 答玄風鄕校代榮州鄕校 31 故 士人 李義淳의 지극한 효성을 기려 귀향의 어른들이 한 목소리로 표창하고자 하니, 어찌 인륜에 한 목소리를 내지 않겠는가. 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 금남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것이라고 하면서 科業을 폐하고 名利의 길을 끊었더라도 배움을 계속해야 한다는 뜻을 전하고 있다. 序 居接錄後序 14 榮州鄕校의 「居接錄」과 관련된 後序이다. 金啓鎭이 榮州 郡守로 부임하여 明倫堂과 尊賢堂 등 學舍를 수리하고 學田을...분야문학 | 유형문헌
- 병산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윽하고 龜川이 물길이 둘러가는 佳境處라 했다. 祭文 30 1891년 移葬緬禮에 三溪書院 儒生 金昌世 權相耆 등이 썼다. 저자의 일생을 4字句 로써 三溪書院의 主享인 權橃에 견주어 말했다. 又 31 榮州鄕校 儒生 朴遇尙 李炳商 金奎永 등이 썼다. 4字句로 저자의...분야문학 | 유형문헌
- 수촌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70∼1954, 字世玄, 號源泉, 本貫 冶城)의 묘도에 비석을 세우고 이를 고하는 글이다. 處士宋公(容燦)墓道立石告由文(代本孫) 94 송용찬의 묘도에 비석을 세우고 이를 고하는 글이다. 上梁文 榮州鄕校詠歸樓移建上梁文 95 1577년에 당시 영주군수 이희득이...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영주향교 / 榮州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향교. 1368년(공민왕 1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학덕 있는 사람의 신주를 모시는 것)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33년(세종 15)에 군수 반저(潘渚)가 중수하고, 1577년(선조 10)에
-
금남집 / 錦南集 [종교·철학/유학]
금남 박규양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권상익(1863~1934)이 1917년에 쓴 권수의 서문이 있다. 권1에는 25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18편의 서를 비롯하여 영주향교의 「거접록」과 관련된 후서와 6편의 기, 5편의 발, 권3에는 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