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조척” 에 대한 검색결과 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6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목공과 건축에 사용하던 척도(尺度). [내용] 목공척(木工尺)이라고도 불렀다. 척도의 다른 체계들이 정치적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시대에 따라 변화를 많이 겪은데 반하여 은 그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특징 때문에 그 길이가 별로 변하지
    이칭별칭목공척(木工尺)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목수가 쓰는 자. 은 건물을 지을 때 사용하는 척도이다. 전통적인 척도 단위는 용도에 따라 크게 음률을 재는 데 사용하는 황종척(黃鐘尺), 옷감 등의 재단을 위해 사용하는 포백척(布帛尺), 전답과 토목공사 등의 측량에 사용하는 양전척(量田尺), 건축과 목공, 조...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척(尺) 주척(周尺), 황종척(黃鐘尺), 포백척(布帛尺) 경제도량형|문화/예술/건축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김왕직 [정의] 조선시대에 부피의 측정, 병기(兵器)·선박의...
    상위어척(尺) | 관련어주척(周尺), 황종척(黃鐘尺), 포백척(布帛尺)
  • 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는 ()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곤으로 형을 가하는 곤형은 중국에서는 없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영조 때 제정된『속대전』에서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고유의 형벌로 곤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장은 오형(五刑...
  • 목척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나무로 만든 자. 을 달리 이르던 말이다. 은 목수들이 쓰던 자로 나무를 T자형으로 잘라 만들었기 때문에 정자척(丁字尺)이라고도 한다. 一本房雜物捧上時所用鍮斗升合木斗升各一分數稱子五十兩稱子三十斤稱子木尺各一各色匹段入盛大樻二彩色入盛中樻一畵員所用二層大樻一竝具鎖...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0)

  • 新註無寃錄 新註無寃錄 卷上 論辯 檢驗用 최치운(崔致雲) 등 33 虞書曰同律ᅳ度量衡【律六律也謂黃鍾大簇姑洗蕤賓夷則無射也度徒古切卽五度詳見下文量五量謂龠合升斗斛也衡秤也所以正斤兩也】所以齊遠近立民信也孔子述古帝王之政以示後世則曰謹權【秤鏵也】量審法度四方之政行焉國朝權衡度尺已有定至若...
    서명新註無寃錄 | 저자최치운(崔致雲)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正典刑, 新除授獻納金若鍊, 時在慶尙道榮川地, 正言金驥燦, 時在善山地, 正言李鼎秉, 時在慶州地, 司憲府執義李龜雲, 時在慶尙道禮安地, 掌晦, 時在安東地, 持平姜碩龜, 時在仁同地,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答曰, 不允。 下諭事依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臺啓與情犯甚重, 深係國家, 强盜贓汚及承傳定配外, 徒流以下定配罪人, 特爲放送事, 命下矣。 取考徒流案, 則長興李恩植, 和奸村婢, 以致其舅之自裁罪, 機張閔禧哲, 宣薦內禁衛取才時, 代射罪, 丹城金承業, 宮奴擊鼓, 常有不飭罪, 軍威金U+28A7F陳疏投畀罪, 載龜, 科擧外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2897 B05289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憲宗 5年 7月 11日_021 翊會, 執義韓宓履, 掌亨, 持平趙徽林等啓曰, 噫嘻痛矣, 世道詿誤, 義理晦塞, 至於今番秋曹罪囚而極矣。 渠以鄙悖之流, 潛蓄凶憯之計, 肆發通文, 投諸賢關, 遣辭陰險, 引用凶悖, 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1_尺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尺 《大典》曰: “以周尺準黃鍾尺, 則周尺長六分六釐; 以準黃鍾尺, 則長八寸九分九釐; 以造禮器尺準黃鍾尺, 則長八寸二分三釐; 以布帛尺準黃鍾尺, 則長一尺三寸四分八釐.” 周尺便是黃鍾, 貳之者, 何也? 所謂造禮器尺者, 又不知何從而起也. 準於布帛尺, 則周尺不過四寸有奇也. 世...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타자료(7)

  • 이며, 방향은 東北一南西向으로 바다 쪽을 향하고 있다. 실측결과 ()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 건물이 처음 지어진 연대도 성벽과 같이 이조초 성종연간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동헌지 뒤 북벽에 망루가 있다. 성 내에 우물자리가 세 곳이 확인되고 있으며...
    발행연도1977 | 발굴기관발포충무공유적고흥보존위원회 | 발굴지역전라남도
  • 고양벽제관 건축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Ⅴ.유구 해석 및 건축형식 고찰 1.객사 형식과 규모 2.세부 구성 3.기단과 계단 4.마당 형식 5.종합 / Ⅶ.복원계획 1.복원 기준의 설정 2.사용 검토 3.복원계획설계 / Ⅷ.유물 1.주건물지 2.문지 3.마당 4.지표 5.종합 / 부록 발굴조사의 유...
    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고양시/경기도박물관,연세대학교건축과학기술연구소 | 발굴지역경기도
  • 진주성 공북문지 시굴조사(제3차) 결과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축의 크기는 8×8m 가량 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으로 환산하면 사방 27척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공북문 복원의 가장 기본이 되는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 것이다. 신안식
    발행연도2000/05 | 발굴기관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창원읍성 - 창원읍성 추정 동문지 주변 문화재 시굴조사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용된 용척을 검토한 결과 4,920척은 황종척(黃鐘尺), (), 황종율관(黃鐘律管)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4,401척은 황종척(黃鐘尺), 포백척(布帛尺), 오례(五禮)의 척도(尺度)가 사용되었다. 지승 이후의 문헌에 사용된 2,004척은 일등양전척(一等量...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창원시/우리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김춘추가 청포(靑布) 300보(步)를 고구려 선도해에게 주었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조에 “고구려 사람들이 백첩포를 만드는데 청포(靑布)가 특히 아름답다.”라고 하였다. 300보(步) 보(步): 길이의 단위. 주대(周代)에는 8자⦗尺⦘, 진대(秦代)에는 6자, ()으로는 5자 등 시대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를 주었다. 이윽고 저들의 경내에...
    대표표제어김춘추가 청포(靑布) 300보(步)를 고구려 선도해에게 주었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42년(壬寅/신라 선덕왕 11 仁平 9/고구려 영류왕 25, 보장왕 1/백제 의자왕 2/唐 太宗 貞觀 16/倭 皇極天皇 1)

주제어사전(6)

  • / [과학기술/과학기술]

    목공과 건축에 사용하던 척도. 은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특징 때문에 길이가 변하지 않고 다른 척도 체계의 고증에 중요한 참고가 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1척이 황종척으로 0.899척에 해당된다고 하였으며, ≪증보문헌비고≫에는 1이 0.899황

  • 전석 / 全石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초기에 곡식 등의 양을 재던 단위. 고려 문종 때 제정된 4종류의 제가이량기제도(齊價異量器制度)가 조선 세종 28년에 개혁되어 단일 양기제도로 되었다. 전석의 용적은 세종으로 3,920입방촌이었는데 그것은 11만9285㎤에 해당하였다. 15두를 1석으로

  • 조례기척 / 造禮器尺 [과학기술/과학기술]

    왕실의 제사용 그릇을 만들 때 쓰던자. 태종때에 예기를 규격에 맞게 제조하기 위하여 이 자를 만들어 쓰기 시작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예기척 1척의 크기는 황종척으로 8촌 2분 3리이다. 황종척은 악기에 쓰는자로 그 1척은 주척으로는 1.126척, 으로는

  • 평상 / 平床 [생활/식생활]

    넓은 널로 된 천판을 가진 상. 국장과 같은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서 사용되었던 상으로 넓은 널로 된 천판을 가지고 있으며 난간은 없는 형태이다. 국장 시에 사용되었던 평상은 을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상의 길이가 8척, 넓이는 4척이었다. 높이는 족부까

  • 평석 / 平石 [과학기술/과학기술]

    고려·조선시대에 쓰던 양의 계량 단위. 고려 문종 때부터 통용해온 괵 단위명을 계속 사용하게 함으로써 혼란을 막기 위하여 이 15두량을 소괵이라고도 하였다. 이때부터는 양기척도의 길이가 31.220㎝인 으로 바뀌었으며, 그 용적도 2,940입방촌인 8만9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