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산재” 에 대한 검색결과 1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

사전(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불교에서 영혼천도를 위하여 행하는 종교의식.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내용] 49재의 한 형태이다. 49재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 만에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인데, 이 의식에는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각배재(各拜齋)‧ 등이 있다....
    연계항목영산재(靈山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불교의 영혼천도 의례 중 가장 대표적인 재인 영산작법. [내용] 불교의 영혼천도 의례 중 가장 대표적인 재인 영산작법. 는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던 영산회상(靈山會相)을 상징화하여 오늘날에 재현하는 의미를 지닌 의식절차이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불교에서 영혼천도를 위하여 행하는 종교의식.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불교에서 영혼천도를 위하여 행하는 종교의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eongsanjae | MR표기Yŏngsanj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영산대회작법절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4년(인조 12) 철원 용복사(龍腹寺)에서 간행한 찬자미상의 불교의식집. [내용] 목판본. 1권 1책. 모두 50장이다. ()를 거행하는 작법절차를 위주로 하여 소례결수작법절차(小禮結手作法節次), 중례문작법절차(中禮文作...
  • 부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통도사와 범어사를 중심으로 전해 오는 . [내용] 통도사와 범어사를 중심으로 전해 오는 .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 통도사‧범어사 두 절의 스님들을 중심하여 조직된 어산회는 백여 년의 전통이 있으며, 범패와 작법무...
    연계항목부산영산재(釜山靈山齋)

고서·고문서(9)

  • 33962 B033962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忠淸道 泰安 山川 山川八峯山(在東二十里瑞山鼠南山來脈) 白華山(在郡北脈自八峯山甲卯落) 金堀山(在郡北自白華山甲卯落巽已行) 興住山(在郡東脈自白華山坤申落) 勿金山(在郡東脈自五率山乾落) 智(郡西脈自白華山甲卯落艮丑行) 大小...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9476 B039476 달산 達山 산악 新增東國輿地勝覽 京畿道 高陽郡 山川 長嶺山 在郡北十八里 大慈山 在郡東十里 高郡西十五里 星知山 在郡南五里 巾子山 在郡西十五里 見達山 在郡西十里 巾之山 在郡南五里 惠陰嶺 在郡南十五里 鴨島 在郡南十五里周回二十二里生葭薍繕工監歲取...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7594 B037594 녹도 鹿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興陽縣邑誌 興陽縣 山川 撼之猶然八巓山自智來山來一名八縣東三十里八峯聳翠影落滄海故名○東麓海上有龍湫有聚沙儲水之異以此占龍之出入禱雨輒驗雲嵐山自八巓山來上有修道菴靈異最著傍有祈雨壇所伊山自雲嵐山來在縣北三里縣之鎭山一名舟越...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045 B049045 대화도 大和島 도서 평안북도 平安道邑誌 宣川郡誌 宣川郡 山川 栖雲山 菩提山俱在郡北六十里劍山在郡西二十里峯巒嵳峩如劍芒故名無骨山在郡東十里所山在郡北六十五里古宣州鎭山香山峴在郡北九十里郡東南海在郡南東路江在郡東五十里出龜城馬仇于里山東流經郡東又南流入于海淸...
    출처전거平安道邑誌 | 지역분류평안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外邑無可考冊子, 今姑下去, 秋後卽爲上來修納云矣。 上曰, 關防屬兵營, 鎭堡屬水營乎? 書九曰, 兵營在於一處, 水數處, 恐難分屬矣。 上曰, 然則別爲營?一目, 同屬兵水營, 好矣。 上曰, 島嶼入於何條乎? 書九曰, 屬之山川關防矣。 上曰, 何以別山川關防乎? 書九曰, 島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9)

  • 봉원사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봉원사 현장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43 241 서울 현장녹음자료 1) 1976년 현충일 봉원사에서 있었던 작법 중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송암
  • 봉원사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봉원사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10 235 서울 현장녹음자료 1) 봉원사에서 행해진 현장녹음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일흥
  • 봉원사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봉원사 현장녹음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10 235 서울 현장녹음자료 1) 봉원사에서 행해진 현장녹음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성광
  • 봉원사 현장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봉원사 현장녹음 ③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32 221 서울 현장녹음자료 1) 봉원사에서 행해진 현장녹음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송암
  • 봉원사 현장녹음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봉원사 현장녹음 ③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32 221 서울 현장녹음자료 1) 봉원사에서 행해진 현장녹음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오송강

신문·잡지(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源樑(木店 ) 수원 李源樑 木店 細柳町 279 - - 목재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源樑(永山材木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목재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103호 종산문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東華冠帶朝天去, 寧有狂氣到玉樓. 11. 偕趙國魯, 至, 希胤, 贊玉, 聖涵來話. (上略)百年畏壘滄桑後, 數架齋廚鞠草間, 吾道如今危欲墜, 誰敎志士濟時艱. 12. 挽李正言仲寬 微箕高去伯夷歌, 廉立淸風較孰多, 東方千載綱常重, 華在山南##歌, 13. 挽族兄德懋 堂堂志...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3호 종산문집 | 출판물명종산문집(鍾山文集)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불교]

    49재 가운데 하나. 죽은지 49일이 되는 날에 죽은 영혼의 명복을 비는 불교의례가 49재이다. 이 49재에는 상주권공재, 시왕각배재, 가 있다. 이 중에서 는 가장 규모가 큰 의례이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는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영산회상

  • 불모산 / 佛母山 [종교·철학/불교]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불모산 일대의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불교의식. 는 전통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지 49일 만에 지내는 불교의식으로, 불모산 는 창원 불모산 일대의 사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범패와 작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2년 2월 9일 경상남

  • 시다림법 / 尸陀林法 [종교·철학/불교]

    림법은 49재(齋) 등의 천도의식과는 구분된다. 천도의식은 ()·각배재(各拜齋)·상주근공재(常住勤供齋)와 같이 몇 가지 형식을 갖추고 거행하지만, 시다림법은 일정한 의식절차를 갖추고 있지 않다.

  • 나비춤 / 나비춤 [예술·체육/무용]

    불교의식무용의 하나. 행위동작으로 불법(佛法)을 상징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불교의식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식 가운데 대개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수륙재(水陸齋)·각배재(各拜齋)·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등의 중간중

  • 법고춤 / 法鼓춤 [예술·체육/무용]

    불교의식무용의 하나. 장중한 멋을 지닌 북춤의 일종이다. 범패(梵唄)가 성음(聲音)으로 불전에 공양을 드리는 것이라면, 동작을 지어 불전에 공양을 드리는 것을 작법(作法)이라고 한다. 법고춤은 작법의 하나로 조석의 예불 때나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