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4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37)
사전(2,913)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체적인 계층은 잘 알 수 없지만 문음(門蔭)을 받은 자와 역(役)을 마친 기인(其人)이 산직(散職)으로서 영사동정(令史同正)을 받은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데, 문음으로서는 전대(前代) 재신(宰臣)의 내ㆍ외손과 종3품의 수양자(收養者)와 내외손ㆍ생질이 행당되었다. ...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특수 부서에 두었다. 정원은 경연에 3인, 기타 부서에는 각 1인씩이었으나 대부분 겸직이거나 명예직이다. 영사‧판사‧지사 등의 직명은 보통 관서에 붙여서 영의정부사‧영중추부사‧영돈녕부사‧판중추부사 등으로 호칭하였다. 의정부 영사는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접수국에서 파견국의 경제적 이익과 자국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접수국에 파견되어 있는 공무원. [내용] 본국과 이해관계가 있는 산업‧경제‧통상상의 제반사항을 관찰, 보호하고, 자국민을 위한 특정행정사무를 취급한다. 영사에는 본...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은과 유황을 고아서 결정체로 만든 약. [내용] 맛이 달고 온(溫)하며 독이 없고, 곽란과 경기 등에 쓰이는 한약재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수은과 은주(銀朱) 및 영사와 같은 수은화합물들이 불로장생을 추구하던 연단술(練丹術)에서 일찍부터...
- 영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고맙게 받음. 寄席領謝 初冬間 家行醮禮 此樣一二件 可復得耶, 이덕형(李德馨), 3-4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단행본(3)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13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1051713권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부분은 1886-1903년 간 한국과 프랑스 관계를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1886-1910년간 한국 내 기독교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부분은 1887년부터 1910년간 한국 내 주재했던 외국대표부(공사, ...
- 경북 내방가사 3-송축가류, 영사가류, 기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저자 : 전재강 ... | 출판사 : 북코리아 | 출판일 : 20170130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독일외교문서 한국편 1874~1910, 14권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저자 : 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 출판사 : 보고사 | 출판일 : 2021051714권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1894~1910년 한국 주재 외국 외교관(공사, 영사)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1887~1905년간 한국이 유럽, 미국으로 공사를 비롯한 외교관을 파견한 일련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논문(1)
- 朝鮮中期 對明朝鮮使臣의 使行詠史詩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연구 — 山東 臨淄縣 소재 齊桓公 齊景公 陵墓 使行詠史詩를 대상으로 [중국내 근·현대한국학 및 한중관계학 선도 연구·교육 시스템 구축 | 北京大學 (Peking University)]저자 : 한종진 | 게재정보 : 중국문학
고서·고문서(4,875)
- 영사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영사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도리구(道里区) 알수없음 1 1 영사, 친척방문, 수고, 감사,...대표표제어영사 | 성씨이
- 녕라 咏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3799 잡가 歌詞[나손본] 13049 녕라 咏詞 [7] 어졔 탄 말니 오날이야 올 쥴 알고 갈건포의로 고원을 져간의 산쳔은 옛빗치요 송죽니 로워라 슈간모차의 집자리만 페고 쳥풍의 흥을 게워 북창의 누워신니 쳔엽도화은 졍변의 어리엇고 만지홍...구분잡가
- 궁여가라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36ㄱ 어와셰샹 람드라 이노 드러보소두산 일지 지맥: 지맥(地脈). 땅속 지층이 이어진 맥락. 풍수지리에서, 땅속의 정기가 순환한다는 줄. 토맥(土脈).이 각 삼계 삼계: 생겨. 삼기다: 생기게 하다. ‘생기다’의 옛말. 잇고쳔연 쳔연...가사유형내방가사, 영사가, 궁여가, 경복궁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 Милостивый Государь. Князь Валериан Сергеевич.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조선에서 러시아 부영사의 지역적 역할분담에 관한 보고. 제물포 항 조계지에 영사지부를 설치하고 부영사를 상시 체류시킬 필요성에 대한 보고.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제정러시아 대외정책문서보관소 | 발신일1901.09.01., 26
- Секретная депеша Д.С.С. Бахметева. Токио. 4 октября 1907 года №96.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1888년 조러육로통상조약과 관련하여 경흥에 러시아 영사를 두는것에 대한 일본과의 문제.작성국가러시아 | 원소장처제정러시아 대외정책문서보관소 | 발신일1907.10.04.
구술자료(9)
- 한동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獻花), 함흥 반룡산 공원, 마전해수욕장, 엘에이(LA, 로스앤젤레스), LA 총영사관, 황광한 총영사, 중앙정보부, 악소문, 간첩 한글 연세대학교 증권업구술자한동상 | 직업증권업 | 지역함경도
- 정덕훈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주변 월남인들의 이산가족 상봉과 이남에서의 육영사업 - 대동상고 재직 당시 4.19의 경험 - 휘경여고의 교장을 역임하게 된 경위와 문천군수, 군민회장 역임 - 북한에 대한 견해와 향후 긍정적인 전망 제언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구술자정덕훈 | 직업교사 | 지역함경도
- 이정숙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영등포훈육소, 양정중학교, 함흥부청, 소련영사관, 감화원, 베를리츠 슐레, 한인연합교회, 몬트리올 은행, 조지 브라운 칼리지, 우체국, 제너럴 스토어, 1946년 대홍수, 9.28 서울 수복, 1.4후퇴, 인천상륙작전, 중공군(중국인민지원군), 전충림, 최기열, 이구술자이정숙 | 직업무직 | 지역함경남도
- 결혼으로 시작된 한국생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날?] 결혼식 날에요? 뭐 별로 크게 말도 안 통해서. 그냥 사진 촬영사가 ‘김치’ 그러면 웃고 그러면 대충대충 했어요. [조사자: 남편 분은 어땠대요? 그때? 결혼식하고 그럴 때? 남의 나라가서 아무 말도 못하잖아.] 네. 말 못하고 땀 막 뻘뻘 흘리고 가만있어도.국가베트남 | 제보자누구엔티미두이엔(원지영) [베트남, 여, 1989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이 경동(驚動)하여 복중(腹中)으서 난 병이요, 마음이 슬프고 두 눈이 어둡기는 간경(肝經) 음화(陰火)로 난 병이니, 약으로 논지허면, 주사(朱砂), 영사(靈砂), 구사(狗砂), 웅담(熊膽), 창출(蒼朮), 백출(白朮), 소엽(蘇葉), 방풍(防風), 육계(肉桂), 단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기초학문(65)
- 소영사와 그의 제자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은상, 게재일 : 201454572 조은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논역학회 2014 소영사와 그의 제자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옥소 영사시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창희, 게재일 : 200618383 이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6 옥소 영사시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晩唐 七絶 詠史詩에 나타난 藝術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창경, 게재일 : 201010254 김창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晩唐 七絶 詠史詩에 나타난 藝術美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10
- 初期佛敎의 經營思想 一考察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성우, 게재일 : 201561200 장성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보조사상연구원 2015 初期佛敎의 經營思想 一考察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 晩唐 七絶 詠史詩에 나타난 藝術美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창경, 게재일 : 201011592 김창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晩唐 七絶 詠史詩에 나타난 藝術美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1,526)
- 英師續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어교 부람돈씨를 학부에셔 속빙로 탁지부에 쳥의여 경의쥬얏 학부에셔 영령관으로 죠회야 그유를셩명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領事改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덕국졍부에셔 한국에 쥬챠 덕국공를 강등야 춍령로졍얏다더라게재일1906년 3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領事離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국춍령 무삼건인지 귀국로 십오륙일에 발졍고 미국춍령 십륙일 일본으로 발향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營舍奏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학부의 쳥구를 인야 대구부 젼장관쳥과 의쥬군 마산셩 젼호분영을 허급야 학교를 셥립 건으로 졍부회의에 졔츌야 경의후 상 쥬가가되얏 장학교를 확장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빙공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젹도라 륙츙 슈젼이라 삼강록 건은 일젼에 말얏거니와 근일 호즁소문을 들은즉 공부의 화상모시고 단이쟈와 륙츙슈젼러 단이자와 삼강록가지고 단이사이 관찰부훈령을가지고 군 향교에가셔 임을 돈을것어라즉 본 협잡됴화던 임들이 됴흔긔회를 맛낫다...게재일1907년 2월 7일 | 기사분류논설
멀티미디어(56)
-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미 두 나라 대통령 간의 정상회담 소식을 전달하는 뉴스이다. 박정희 대통령의 샌프란시스코 도착과 환영식 장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닉슨 미국 대통령의 환영사와 박정희 대통령의 답사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어서 두 정상은 2회에 걸친 정상회담 후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9년 8월 2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2).jpg s1-0180_#4 유구 원색사진 2. 영사재지 전경(1), 영사재지 북쪽 담장지 등 전경(2) 2015-02-13_0.6877558_원색사진 2. 영사재지 전경(1), 영사재지 북쪽 담장지 등 전경(2).jpg s1-0180_1제목경복궁 태원전권역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소 건설과정 - 중화학공업화 정책 하의 국가와 기업」, 『한국경영사학회』 99, 93-116. 배석만 (2019), 「박정희정권기 경제개발을 둘러싼 한일교섭 - ‘4대핵심공장건설계획’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69, 43-77. 배석만 (2016), 「对日本請求権資金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소 건설과정 - 중화학공업화 정책 하의 국가와 기업」, 『한국경영사학회』 99, 93-116. 배석만 (2019), 「박정희정권기 경제개발을 둘러싼 한일교섭 - ‘4대핵심공장건설계획’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69, 43-77. 배석만 (2016), 「对日本請求権資金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 소 건설과정 - 중화학공업화 정책 하의 국가와 기업」, 『한국경영사학회』 99, 93-116. 배석만 (2019), 「박정희정권기 경제개발을 둘러싼 한일교섭 - ‘4대핵심공장건설계획’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69, 43-77. 배석만 (2016), 「对日本請求権資金강좌제목한국 조선산업 발전사 | 강의자배석만 교수
기타자료(889)
- 김영사;金泳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0280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92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14) 제14회 졸업생(1932년 3월 14일) 김영사;金泳思 경성부 蛤洞 79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영사;朴泳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618 남한 충남 강경공립상업학교 2-01 강경공립상업학교교우회지 제12호 1936―03―25 124면 박영사;朴泳思 공주군 계룡면 유평리 제1회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강경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국원영사;國原英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109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47면 국원영사;國原英司 전남 광양군 광양면 목성리 732 제19회 194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영준;宋榮俊;삼금영사랑;三錦(ミシキ)榮四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4646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48면 송영준;宋榮俊;삼금영사랑;三錦(ミシキ)榮四郞 제17회 1929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자칼라 총영사 보고 내용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주자칼라 총영사 보고 내용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67/02/03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H-0009-04) [2215] UN(유엔)...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외무부 장관 | 수신자주국련 대사
연구과제(1)
-
술라이마니의 이라크 아메리칸 유니버시티 (AUIS) 중동의 대표적 한국학 연구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Gianluca Spezza | American University of Iraq, Sulaimani (AUIS) | 2023 | 국외
주제어사전(138)
-
영사 / 領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주요관서의 정1품 관직. 의정부·중추부·돈녕부 등의 정1품 아문과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 등의 특수 부서에 두었다. 정원은 경연에 3인, 기타 부서에는 각 1인씩이었으나 대부분 겸직이거나 명예직이다. 영사·판사·지사 등의 직명은 보통 관서에 붙여
-
영사공신 / 寧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인조 때 유효립의 모반사건을 고변한 사람에게 내린 훈호. 1등의 허계에게 갈충효성병기익명영사공신을 내리고, 2등의 홍서봉·허계·황진·허선에게 갈충효성익명영사공신을 내렸다. 3등의 김득성·김진성·신서회·최산휘·이두견에게 갈충효성영사공신을 내리는 등 모두 11인이
-
영사재판 / 領事裁判 [정치·법제/정치]
다른 나라에 머무르는 자기 나라 국민에 대하여 자기 나라 법률을 적용하여 영사나 기타 관리가 재판하는 제도. 영사재판권은 조선 말기까지 서양, 청, 일본인 등의 활동에 대한 법적 보장이 되었는데, 우리나라는 청나라의 종주권행사와 일본의 적극적인 대한정책으로 더욱 불리
-
복령사 / 福靈寺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박은(朴誾)이 지은 한시. 칠언율시로 정조가 증정한 『읍취헌유고 挹翠軒遺稿』 권3과 역대의 여러 시선집에 실려 있다. 박은의 시명은 당시부터 널리 알려졌다. 이 「복령사」는 인구(人口)에 회자된 절창이다. 「복령사」 첫째 연의 “절채는 신라의 옛적 것이고,
-
서령사 / 書令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서리직. 행정실무의 말단을 담당하는 도필지임이었다. 중서문하성·상서도성·형부·상서도관·어사대에 각 6인, 상서고공·공부·전중성·상식국·상의국·상사국·상승국에 각 4인, 액정국에 3인, 동궁·삼사·이부·병부·예부·상약국·도교서에 각 2인, 호부에 10인이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