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동향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영동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영동향교 / 대성전 충북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에 있는 향교.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99호. 영동향교는 조선 선조 때에 창건되어 1754년(영조 30)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연계항목영동향교(永同鄕校)
- 박연묘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문헌(文獻)이고,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문헌공의 시호는 영조 3년인 1767년에 내려졌다. 난계는 삼사좌윤(三司左尹) 박천석(朴天錫)의 아들이며, 어려서 영동향교에서 공부하였다. 28세(태종 5년인 1405)에 생원(生員)이 되었고, 34세에 문과급제하여...연계항목박연묘소(朴堧墓所)
- 영동군(충청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곡‧건천계곡 등이 훌륭한 등산 코스가 있다. 이 밖에도 양강면 남전리의 대암(臺巖)과 빙옥정, 영동읍 매천리의 이암(利巖), 화신리의 계곡과 송천교의 백사장 등도 훌륭한 관광지가 되고 있다. [교육‧문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영동향교와 황간향교가 있...
주제어사전(1)
-
영동향교 / 永同鄕校 [교육]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에 있는 향교. 조선 선조 때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60년(현종 1)에 성내(城內)로 이건, 복원하였다. 1676년(숙종 2)에 다시 구교리로 이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