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돈녕부사” 에 대한 검색결과 3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3)

사전(12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관되면서 혁파되었다가 1470년(성종 1) 4월에 영사(領事)로 명칭이 바뀌어 다시 설치되었지만, 영부사나 영사의 정식칭호는 로 표기한다. 그러나 영사가 복치될 때 돈녕부가 서반에서 동반(東班)으로 이관되었는지는 실록에 언급이 없다. 생각컨대, 앞서...
    이칭별칭영부사|영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종친의 일을 담당하던 돈녕부(敦寧府)의 정1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종친의 일을 담당하던 돈녕부(敦寧府)의 정1품 관직.[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eong Donnyeongbusa | MR표기Yŏng Tonnyŏngbu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1421년에 로 치사(致仕)하자, 종2품의 과(科)에 의거하여 녹을 받았다. 1425년 원종공신인 로 치사하였다. 1433년에 죽으니 왕은 3일을 철조(輟朝)하고, 조의를 표현하였으며, 특별 부의(賻儀)로 쌀과...
    이칭별칭 양정(良精)|안천군(安川君)
  • 김석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8(인조 26)∼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여백(汝伯). 아버지는 () 우명(佑明)이며,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의 동생이다. [내용]
    이칭별칭 여백(汝伯)| 정희(貞僖)
  • 최화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직접 가서 모셔와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이 상소로 인하여 서소문(西小門) 밖에서 참형(斬刑)을 당하게 되었으나 당시 () 김병학(金炳學)과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홍순목(洪淳穆), 박규수(朴珪壽) 등이 연차상소(聯箚上疏)하여 참형중지를 거듭...

고서·고문서(172)

  • 十二月。 冊朴氏爲王妃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十二月。 冊朴氏爲王妃 28_119_088.jpg 十二月。 冊朴氏爲王妃。 王妃父應順以例拜。 應順之弟應男有時名, 處要地, 與沈義謙甚密, 朴氏之冊封, 義謙之力爲多。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68권, 영조 24년 12월 17일 정유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영조 24년 12월 17일 정유(1748) 1748 十里堡 燕京 燕 十里堡 외교 丁酉/鄭錫五,奉...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영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69367 B06936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成宗實錄 十一年(1480) 三月 성종실록_11103027_005 ○以判敦寧府事朴仲善爲義州宣慰使, 彦陽君金瓘安州宣慰使, 知中樞府事李坡平壤宣慰使, 全義君李德良黃州宣慰使, 盧思愼開城府宣慰使, 領議政鄭昌孫碧蹄宣慰使, 副提...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宜審利害之分, 若移統禦之號於江都, 則江都有統領之權, 京畿水使, 仍置喬桐, 則海防無疎虞之患, 伏願更加博詢而處之焉。 臣鄭存謙以爲, 論喬桐營統禦使之當爲移屬於江都者, 皆曰喬桐則處在一偏, 兩西船路雖近, 而三南船路, 邈然不相關渉, 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仍置喬桐, 則海防無疎虞之患, 伏願更加博詢而處之焉。 臣鄭存謙以爲, 論喬桐營統禦使之當爲移屬於江都者, 皆曰喬桐則處在一偏, 兩西船路雖近, 而三南船路, 邈然不相關渉, 江都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돈녕부에 소속된 정1품 관직. 정원은 1원이다. 영돈녕은 돈녕부에서 서열이 가장 높은 정1품이며, 왕비부는 국구로서 가장 존대하여야 할 위치에 있었다. ≪경국대전≫에 보이는 것처럼 영사 1원, 왕비부초수자역수(王妃父初授者亦授)라는 입법사항이 실록에 보이지

  • 중종 / 中宗 [역사/조선시대사]

    1488(성종 19)∼1544(중종 39). 조선 제11대 왕. 성종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씨이다. 비는 신수근의 딸이다. 제1계비는 윤여필의 딸 장경왕후, 제2계비는 윤지임의 딸 문정왕후이다. 1494년 진성대군에 봉해졌다. 150

  • 김진규 / 金鎭圭 [종교·철학/유학]

    1658(효종 9)∼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영의정 익겸, 아버지는 만기, 어머니는 한유량의 딸이다. 누이 동생이 숙종비 인경왕후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1686년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대사성, 예조

  • 노공필 / 盧公弼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16(중종 11).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물재, 아버지는 사신, 어머니는 경유근의 딸이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 공조판서, 경기도관찰사, 의정부우참찬, ,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14년

  • 영사 / 領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서 영의정부사·영중추부사··판중추부사 등으로 호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