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남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1)
사전(29)
- 영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에서 확인된다. [연원 및 변천] 이후 영남도는 영동도(嶺東道) 및 산남도(山南道)와 함께 1106년(예종 1)에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로 불렸다. 1171년(명종 1)에는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晉陜州道)로 다시 나뉘어졌다. 1204년(신종 7...
- 嶺南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3_D_0264 嶺南道 지방 嶺南 成宗十年 高麗, 尙州 麗史 D_08_03_06 대동운부군옥 8권 3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3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귀덕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초에 두었던 12목(牧)을 12주 절도사로 개편하고, 여기에 절도사를 장관으로 하는 12군을 설치하였다. 이 때 영남도(嶺南道)에 속하는 상주절도사에 귀덕군을 두었다. 그 성격은 5도호부(都護府)가 국경지에서의 국방에 중심을 두고 있는 데 비해서 귀덕군을 위시한...
- 영동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변천] 그 뒤 영동도는 영남도(嶺南道) 및 산남도(山南道)와 함께 1106년(예종 1)에 경상진주도(慶尙晋州道)로 불렸다. 1171년(명종 1)에는 다시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晋陜州道)로 나누어졌으며, 1204년(신종 7)에 상진안동도(尙晋安東道)로 합...
- 십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11주 34현, 강남도는 전주(全州)‧영주(瀛州)‧순주(淳州)‧마주(馬州) 등 9주 43현, 영남도는 상주(尙州) 등 12주 48현, 영동도는 경주(慶州)‧김주(金州) 등 9주 35현을 각각 소관하였다. 그리고 산남도는 진주(晋州) 등 10주 37현을, 해양...
고서·고문서(61)
- 관덕정(觀徳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6573 B026573 관덕정 觀徳亭 사회교육 全羅道邑誌 珍島郡邑誌 珍島郡 形勝 望敵山在邑北三里登臨峯巒四海通達南眺耽羅北瞻蓮營南桃中山在邑南四十里一峯傍海特秀上有觀徳亭下臨滄波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산(桃中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14 B066714 도중산 桃中山 산악全羅道邑誌 珍島郡邑誌 珍島郡 形勝 望敵山在邑北三里登臨峯巒四海通達南眺耽羅北瞻蓮營南桃中山在邑南四十里一峯傍海特秀上有觀徳亭下臨滄波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914 B036914 내포 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年 6月 23日_021 垂察, 亟許遞改, 不勝幸甚。 抑臣竊有區區妄慮, 竝此附陳。 方今大亂之後, 湖·嶺兩路, 復多憂虞, 而嶺南道臣, 將趁盟祭上京, 此雖故事之不可廢者, 此時道臣離鎭, 但使一御史守之, 臣未知脫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985 B036985 내포 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英祖 4年 6月 23日_021 垂察, 亟許遞改, 不勝幸甚。 抑臣竊有區區妄慮, 竝此附陳。 方今大亂之後, 湖·嶺兩路, 復多憂虞, 而嶺南道臣, 將趁盟祭上京, 此雖故事之不可廢者, 此時道臣離鎭, 但使一御史守之, 臣未知脫有警...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緩, 萊府亦不檢察, 以致穀物之劣縮, 一任運監之殘敗, 事之寒心, 莫此爲甚。 今若嚴加提飭, 每於各邑下納之時, 一依稅納規例, ?無如前泛忽之弊, 則庶可爲一分矯?之道, 以此意分付嶺南道臣及東萊府使處,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당 태종이 발해 대무예에게 보내는 回書 / 발해 대무예가 당 태종에게 보내는 上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킨 것이다. 한편 唐 太宗의 貞觀 年間에 두었던 地方行政區域인 嶺南道는 이 五嶺의 南에 두었던 것이며, 여기에서는 지금의 廣東·廣西 全域과 安南都護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唐代의 嶺南은 廣東·廣西 뿐 아니라 越南 北部 地域까지 포괄한 명칭이었다. 으로 流配하였는...대표표제어당 태종이 발해 대무예에게 보내는 回書 / 발해 대무예가 당 태종에게 보내는 上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4)
-
영남도 / 嶺南道 [정치·법제/법제·행정]
지명. 고려시대 지방 행정구역인 10도의 하나. 현재 상주·대주(尙州)·강주·용주·계주·선주·길주만 ≪고려사≫ 지리지 등에서 확인된다. 이후 영남도는 영동도 및 산남도와 함께 1106년(예종 1)에 경상진주도로 불렸다. 1171년(명종 1)에는 경상주도와 진합주도로
-
경상도 / 慶尙道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경상’이라는 지명은 고려 때 이 지방의 대표적 고을인 경주와 상주 두 고을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이다. 995년(성종 14) 전국을 10도로 나눌 때 상주 관할을 영남도(嶺南道), 경주·김주(金州 : 지금의 김
-
동국여도 / 東國輿圖 [지리/인문지리]
「호서도 湖西圖」, 「호남도 湖南圖」, 「영남도 嶺南圖」, 「팔도관해방총도 八道關海防摠圖」, 「삼남해방도 三南海防圖」의 순서로 되어 있다.
-
곤암문집 / 困菴文集 [종교·철학/유학]
의 서문과 권말에 학규·상규의 발문이 있다. 권두에 그가 영남도사로 떠날 때 김정국(金正國)이 지은 「송소원우좌막영남서(送蘇元友佐幕嶺南序)」가 있고, 그 뒤에 후손 응천(凝天)의 지(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시 237수, 서(書) 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