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국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당함을 말하여 그 해 6월 다시 책정하였는데, 1등은 구인후‧김류 등 2인으로 효충분위병기결책(效忠奮威炳幾決策)이라 하였고, 2등의 황헌‧이원로에게는 효충분위병기이라 하였다.공신으로 1‧2등만 책정하고 3등은 모두 삭제하였는데, 이는 태종 때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신(功臣) 효충분위병기결책(效忠奮威炳幾決策), 효충분위병기(效忠奮威炳幾) 심기원(沈器遠)의 역모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인조 신명호
    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효충분위병기결책영국공신(效忠奮威炳幾決策寧國功臣), 효충분위병기영국공신(效忠奮威炳幾寧國功臣) | 관련어심기원(沈器遠)의 역모
  • 구인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호란 때는 군사 3,000 명을 거느리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국왕을 호위했으며, 그 공으로 어영대장이 되었다. 전후로 도총부도총관ㆍ비변사제조ㆍ판의금부사 등을 겸임했으며, 1644년에는 심기원(沈器遠)의 모역 사건을 적발, 처리한 공으로 () 1등에...
    이칭별칭 중재(仲載)| 유포(柳浦)| 충무(忠武)|능천군(綾川君)|능천부원군(綾川府院君)
  • 황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어긋난다는 이유를 들어 2등으로 감해져 효충분위병기(效忠奮威炳幾)으로 회흥군(檜興君)에 봉해지고 자급은 가의대부에 올랐다. 그의 아버지 득중도 가선대부에 승진되었다. 경상좌병사‧어영대장을 거쳐 병조참의‧도총부부총관 등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6...
    이칭별칭회흥군(檜興君)
  • 영국원종공신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44년(인조 22) 3월 심기원(沈器遠) 등의 모란(謀亂)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녹훈된 사실을 기록한 녹권. [내용] 즉 의 원종공신들을 1646년 11월에 녹훈한 사실을 기록한 녹권이다. 1책. 목활자본. 영국녹훈도감(寧國錄...

고서·고문서(2)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4년(인조22) 심기원(沈器遠) 모반(謀叛) 사건의 평정에 공을 세운 구인후(具仁垕)와 김류(金瑬), 이를 고변(告變)한 황익(黃瀷)‧이원로(李元老) 등을 ()으로 녹훈(錄勳)하고, 1646年(仁祖24) 3월 유탁(柳濯), 권...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산림 소유권 확인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判決야 쥬심을 望이다이고 被告의 陳供은 下道面 杻里 所在 曺益喆六代祖賜牌之地一廤과 田四日耕廤을 往在辛巳年分에 被告父生時에 給價買得於金源鼎處와 于今無弊守護이올더니 忽於今者에 金源禧가 肆然突出와 宣言기를 當初渠兄源鼎이가 田四日耕 買渡고 山坂은 不爲兼賣...
    재판기관고양군재판소(高陽郡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9월 09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주제어사전(3)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인조 때 심기원사건을 다스리는데 공을 세운 이에게 내린 칭호 또는 칭호를 받은 사람. 역모사건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운 사람으로서 1등은 구인후·김류 등 2인으로 효충분위병기결책이라 하였고, 2등의 황헌·이원로에게는 효충분위병기이라 하였다.

  • 20공신회맹축 - 영국농신녹훈후 / 二十功臣會盟軸 - 錄勳後 [역사/조선시대사]

    1646년 제12대 왕 인조가 을 녹훈한 이후에 20공신 및 그 자손들과 함께 회맹하여 천지산천과 종묘사직에 고하고 연명한 것을 모아 엮은 관찬서. 1644년(인조 22) 3월에 심기원(沈器遠) 등이 인조를 제거하고 회은군(懷恩君)을 왕으로 추대하려 한다는 고

  • 이십공신회맹축 / 二十功臣會盟軸 [정치·법제]

    인조조에 행해진 20공신의 회맹 문서. 권축(卷軸) 형식이고 어람용이다. 1646년(인조 24) 심기원(沈器遠) 역모 사건을 다스린 공으로 ()을 녹훈하면서 개국공신으로부터 에 이르는 20공신 및 그 자손들이 참여한 회맹제를 기념해 제작한 회맹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