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영건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7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112)
- 영건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전‧묘사(廟社)‧성곽의 건축 공사를 관장하였던 임시관서. [내용] 영건도감의 건축 공사 내용은 그 성격에 따라 영건(營建)‧중건(重建)‧증건(增建)‧개수(改修)‧중수(重修)‧성역(城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건도감...
- 영건도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에 궁궐이나 사당 등을 짓는 국가적 건축 사업을 위해 임시로 마련된 관청. 공사의 성격에 따라 영건도감, 중건도감, 중수도감 등이 있다. 소속 관원으로는 최고 책임자인 도제조(都提調)를 비롯해 제조ㆍ낭청(郎廳)ㆍ감조관(監造官)ㆍ별간역(別看役)ㆍ도패장(都牌將)...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영건도감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국가적인 건축 공사를 관장하던 임시 관청정의국가적인 건축 공사를 관장하던 임시 관청 | 문광부표기Yeonggeon Dogam | MR표기Yŏnggŏn T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영건도감(營建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영건도감 영건도감 營建都監 도감(都監) 영건청(營建廳) 수개도감(修改都監), 조성도감(造成都監), 선수도감(繕修都監) 개수도감(改修都監), 수리도감(修理都監), 영건도감의궤(營建都監儀軌), 영건청의궤(營建廳儀軌) 정치행정/관청 집...상위어도감(都監) | 하위어영건청(營建廳) | 동의어수개도감(修改都監), 조성도감(造成都監), 선수도감(繕修都監) | 관련어개수도감(改修都監), 수리도감(修理都監), 영건도감의궤(營建都監儀軌), 영건청의궤(營建廳儀軌)
- 영건도감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라서는 주무관청인 선공감(繕工監)이나 호조‧공조 등에서 직접 맡아서 공사를 진행하였다. 공사를 집행한 기구의 이름이 다양한 만큼 의궤의 명칭도 여러 가지이므로 영건도감에 의하여 집행된 공사를 정리, 기록한 책만을 ≪영건도감의궤≫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넓...
고서·고문서(40)
-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33년 대조전 ․ 희정당 등이 소실되었다가 역시 이듬해인 1834년 중건하였다. 본서에서는 1833년 10월 창덕궁의 화재를 진화한 내용부터 이듬해 9월 모든 영건공사를 마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하고 있는데, 당시 사업을 주관했던 영건도감에 소속되었던 관원 ․ 공사...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창경궁영건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창경궁은 1484년(성종 15) 당시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 1418~1483), 예종비 안순왕후(安順王后, 1445?~1498), 덕종비 소혜왕후(昭惠王后, 1437~1504) 세 명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壽康宮) 터에 있던 건물을 헐고 새로 마련한 궁...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03년(순조3) 12월부터 1804년 12월에 걸쳐 창덕궁 인정전을 영건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1803년 12월 13일 밤 화재로 인정전이 연소되었다. 조선후기는 경복궁이 재건되지 못한 가운데 창덕궁이 법궁 역할을 하였는데, 법궁의 정전이 불타는 사태를 만나 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중화전영건도감의궤(中和殿營建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작업의 진행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상세하게 전하고 있다. 의궤 내에는 당시 공사를 담당했던 영건도감에서 정리한 각종 공문서와 수치 자료 뿐 아니라 6면의 도설(圖說)이 실려 있어 당시의 건축양식 및 제작기법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당시 건축된 중...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30년(순조30)부터 1831년까지 진행된 경희궁 영건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서궐은 경희궁을 말한다. 경희궁은 1829년(순조29)에 화재로 전각들이 불타버렸는데, 1830년∼1831년에 소실된 전각을 다시 영건하였다. 조선시대 왕궁은 경복궁이 북궐, 창덕궁‧창...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3)
- 󰡔서궐영건도감의궤󰡕의 철물류 어휘 분석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20548 한국연구재단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서궐영건도감의궤󰡕의 철물류 어휘 분석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08
- 1834년(순조 34) 昌慶宮의 복구 사업과《昌慶宮營建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호, 게재일 : 200313097 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34년(순조 34) 昌慶宮의 복구 사업과《昌慶宮營建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3
- 󰡔西闕營建都監儀軌󰡕 飜譯과 차자 표기의 解讀 오류에 대하여:건축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520547 한국연구재단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5 󰡔西闕營建都監儀軌󰡕 飜譯과 차자 표기의 解讀 오류에 대하여:건축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4)
- 영회던 영건도감에셔 이왕에 경비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회던 영건도감에셔 이왕에 경비됴 지츌엿스되 지금 영졍모사 대와 영건 역에 부죡이되여 만원을 더 탁지로 지츌더라게재일1900년 5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三個月停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건도감에셔 한 삼월 위한고 역를 졍지엿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工匠起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건도감에셔 경무쳥으로 훈령기를 즁화뎐역가 시급니 칭경례식 역외에는 비록 공역이라도 졍지고 각 △에 공쟝을 영건도감으로 긔송라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椽木買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건도감에셔 법뎐 건츅의 소용 연목을 포쳔군 불졍산 리승구씨의 림을 슈야 벌목다더로게재일1902년 5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照請許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궁부에셔 농상공부로 조회기를 영건도감에셔 광쥬그에잇 삼림을 △△거 리최하에게 득야 작벌터이니 허가라 엿더라게재일1902년 6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영건도감 / 營建都監 [예술·체육/건축]
조선 시대에 궁궐이나 사당 등을 짓는 국가적 건축 사업을 위해 임시로 마련된 관청. 공사의 성격에 따라 영건도감, 중건도감, 중수도감 등이 있다. 소속 관원으로는 최고 책임자인 도제조를 비롯해 제조ㆍ낭청ㆍ감조관ㆍ별간역ㆍ도패장 등이 있었다.
-
박제근 / 朴齊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9∼1885). 한성부주부를 거쳐 형조정랑을 지냈고 호조정랑에 기용되어 영건도감의 낭청으로 일하기도 하였다. 강화부판관을 역임하던 중 강화도조약이 체결 때 조선측 접견대관 신헌을 도왔다.
-
유효립 / 柳孝立 [종교·철학/유학]
찬·제용감정·군자감정, 1618년 영건도감도청·장악원정, 보덕, 호조참의를 거쳐 우부승지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