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가지” 에 대한 검색결과 1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

사전(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99년에야 간행되었다. 권말에 간행 당시에 쓴 김도화(金道和)‧유도헌(柳道獻)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
  • 및책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8년(선조 41)과 1839년(헌종 5)에 각각 저술‧판각된 ≪≫ 및 책판.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4호. ≪≫는 권기(權紀)가 1602년(선조 35)에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의 지시에 따라 편찬에 착수,...
    연계항목영가지및책판(永嘉誌및冊板)
  • 권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또한 유성룡의 부탁을 받아 안동의 읍지인 『()』 8권을 편찬했다. 저서로는 『용만선생문집』 2권이 있다. 『()』 『용만문집(龍巒文集)』
    이칭별칭 사립(士立)| 용만(龍巒)
  • 봉안의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奉安儀)라고 한다. 전례서에 독립된 의주로 실린 봉안의(奉安儀)로는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에 나오는 「능소봉안의陵所奉安儀」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용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이밖에도 자기의 일생을 기록한 「자지(自誌)」와 안동권씨족보의 시말을 기록한 「권씨족보서(權氏族譜序)」, 안동의 역사‧풍물‧지리 등에 관하여 상세하게 기록한 『』를 만들고 쓴 「서(序)」가 있다. ...

고서·고문서(77)

  •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08년에 처음 편찬된 『()』를 1899년에 간행한 책이다. 『』는 안동(安東)의 읍지(邑誌)로, 영가(永嘉)는 안동의 옛이름 중 하나이다. 목판본 8권 4책이며, 서두에 본부도(本府圖)와 함께 안동부의 8개 속현(屬縣)과 2개 부곡(部曲)의 목판...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899년에 제작된 『()』의 목판(木版)으로 1970년에 다시 인출한 책이다. 8권 4책인데, 표제는 없고 뒷표지 이면에 발행소와 기증자 이름이 적혀 있는 쪽지가 붙여져 있다. 『』는 1608년에 처음 편찬된 안동(安東)의 읍지이며, 영가(永嘉)는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내용분류사회-지리-지지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 수록 1588년 안동부 유향소 향규구조(鄕規舊條)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조선시대 안동 지역 양반들의 자치 운영기구인 유향소(留鄕所) 및 향청(鄕廳)의 운영 규정이다. 1605년 만들어진 향규와 구분하여 향규구조(鄕規舊條)라고 부르고 있으며, 안동의 읍지인 『()』에 수록되어 있다. 향규구조에는 양반으로서 지켜야 할 규범들이 기...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절목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 수록 1605년 안동부 유향소 신정십조(新定十條)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定十條)라고 불렀다. 안동의 읍지인 『()』에 수록되어 있다. 신정십조에는 양반으로서의 행동규범, 일반 양민에게 세금을 배정하는 원칙, 향리(鄕吏)에 대한 통제 등이 기재되어 있다.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절목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신문·잡지(2)

  • 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 전 4책 미기재 권영도(權寧度)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길안면 대사동 567 조선_1937년 1월 28일 삭제 미기재 미기재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01호 영가지 | 출판물명영가지(永嘉誌) 전 4책
  • (젼호련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 우리 각에 아모리 공평고 문명 법률인듯나 지금 셰샹에 이거고 국민을 보호며 동등권리을 차질슈 업스니 닐바 그믈이 벼리잇셔도 고기를 못잡 모양과 이라 그런고로 불가불 법률을 밧비곳쳐야지니 우리 간졀히 라건 우리동포들은 이런말을 듯고...
    게재일1901년 4월 26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1)

  • 개목사 전탑지, 傳 옥산사 탑지 발굴 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한 또 한 예를 첨가하였고, 그 곳이 ()에 보이는 월천전탑(月川甎塔)일 것이라고 고증할 수 있었던 점을 성과라고나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목사전탑을 포함하여 안동 또는 그 인근지역에서 볼 수 있는 몇 곳의 예와 같이 특수한 점지의 건탑(建塔)인 점을...
    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2)

  •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권기(權紀) 저, 목판본, 1책(영본 전8권 4책). 영가(永嘉)는 안동의 옛 이름으로 1602년 유성룡의 명으로 그의 문인인 권기(權紀)가 1608년에 완성시킨 경상도 안동의 읍지이다.

  • 봉안의 / 奉安儀 [정치·법제]

    신주, 혼백, 책보 등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 선왕의 상징물이나 유물을 특정한 장소에 받들어 모시는 의식을 봉안의라고 한다. 전례서에 독립된 의주로 실린 봉안의로는 <국조속오례의>에 나오는 "능소봉안의"가 있다. 이것은 상여가 능소에 도달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