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영가” 에 대한 검색결과 1,9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98)

사전(37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장 발인(發靷) 의식 때의 행렬을 지칭하는 말. 국장 발인(發靷) 의식을 거행할 때 국왕의 재궁(梓宮)을 안치한 가마를 중심으로 한 전체 행렬 혹은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지칭하여 라 부른다. 발인 행렬에는 재궁을 안치하는 대여(大轝), 능소(陵所)에 올라갈 때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TD_C3_D_0476 지방 南方最, 勤儉之俗, 忠義之烈 勝覽 D_14_03_27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2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C3_D_0571 지방 水淪山拔, 萬壑, 羣巒 潢池, 太白 勝覽 D_19_04_03 대동운부군옥 19권 4장 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4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C3_D_0156 지방 莫莫, 江南, 花山 鷄林 三都賦, 洪崖 D_06_02_25 대동운부군옥 6권 2장 2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2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S_0270 인물 女眞, 契丹, 桓 烏雅束, 遼, 劾里鉢, 烏雅束, 阿骨打, 烏雅束, 劾里鉢, 烏雅束, 阿骨打 東史 S_23_01_54 성호사설 23권 1장 54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3권 1장 5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한국신종교사전 [한국신종교사전(韓國新宗敎事典) | 원광대학교]
    저자 : 한국신종교사전편찬위원회 ... | 출판사 : 도서출판 한맘 | 출판일 : 20180625
    근대에 발생한 한국 신종교들은 근대 대중·민중의 삶을 읽어낼 수 있고, 현대 신종교들은 또 다른 종교문화의 삶을 읽어낼 수 있는 재료가 되기에 중요하다. 근현대 한국 종교문화의 흐름은 먼저 유·불·도 삼교를 주축으로 하는 전통 종교문화의 근현대적인 변모를 담고 있다. ...

고서·고문서(1,369)

  • 10053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斷髮 〈mn〉숫자악보〈/mn〉 〈#10〉 [ (1.) ] 웅장하고 긔려하다 단발영이여 절정곡게 쳔신만고 당도...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10061 창가 朝鮮名勝地理唱歌音譜 22192 1921 鄭敬惲 廣文書市 鄭敬惲 朴仁煥 實價 四十五錢 (郵稅金 二錢) 內霧 〈mn〉숫자악보〈/mn〉 〈#18〉 [ (1.) ] 내외 금강 교환하는 내무령이여 장군대에 놉흔 봉이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02471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探 [93] 천생아재(天生我才) 쓸 곳 없다. 세상 공명 하직하니 인간 영화 몽중사(夢中事)라 죽장망혜(竹杖芒鞋)로 백이숙제(伯夷叔齊) 보려...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지(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608년에 처음 편찬된 『지(誌)』를 1899년에 간행한 책이다. 『지』는 안동(安東)의 읍지(邑誌)로, ()는 안동의 옛이름 중 하나이다. 목판본 8권 4책이며, 서두에 본부도(本府圖)와 함께 안동부의 8개 속현(屬縣)과 2개 부곡(部曲)의 목판...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지(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1899년에 제작된 『지(誌)』의 목판(木版)으로 1970년에 다시 인출한 책이다. 8권 4책인데, 표제는 없고 뒷표지 이면에 발행소와 기증자 이름이 적혀 있는 쪽지가 붙여져 있다. 『지』는 1608년에 처음 편찬된 안동(安東)의 읍지이며, ()는
    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15)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개관-제물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굿에서의 제물은 신령을 대접하는 음식이다. 따라서 굿에 등장하는 여러 신령에 따라 그 신령을 대접하는 상이 따로 차려진다. 제물이 진설된 상차림은 굿을 청한 집 혹은 굿당의 공간구획에 의해서 의례 및 신령에 알맞도록 차려진다. 영암 삼우씻김굿에서의 상차림은 크게
    분야제물 | 지역전라도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⑧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No. 3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음반번호: Z-KA-1/7) 중 동해안 오귀굿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오귀굿 배놀이굿 보상개 등놀이굿 길갈림굿 이운굿 뒷풀이 지신 무속음악 2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석출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⑧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No. 3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음반번호: Z-KA-1/7) 중 동해안 오귀굿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오귀굿 배놀이굿 보상개 등놀이굿 길갈림굿 이운굿 뒷풀이 지신 무속음악 2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영숙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⑧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No. 3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음반번호: Z-KA-1/7) 중 동해안 오귀굿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오귀굿 배놀이굿 보상개 등놀이굿 길갈림굿 이운굿 뒷풀이 지신 무속음악 2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유선
  •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 음반녹음 ⑧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No. 3 동해안 별신굿과 오귀굿(음반번호: Z-KA-1/7) 중 동해안 오귀굿을 녹음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오귀굿 배놀이굿 보상개 등놀이굿 길갈림굿 이운굿 뒷풀이 지신 무속음악 29: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송동숙

기초학문(3)

  • 흑인의 버내큘라 전통 연구: 가사의 맥락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독고현, 게재일 : 2015
    16417 독고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흑인의 버내큘라 전통 연구: 가사의 맥락적 고찰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승남, 게재일 : 2007
    ry=ResearchPaper&m201_id=10016961&local_id=10042509 17세기 강호가사의 전환기적 서정 - 정훈의 &#65378;용추유&#65379;와 &#65378;수남방옹가&#65379;를 중심으로 -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by amino acid asparagine: selective sensing of arsenic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Gajanan Ghodake, 게재일 : 2015
    rsenic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38132&local_id=10051262 나노 입자 금속을 이용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1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외방각군수령들이 상납밧 대야 악화이오 졍젼이업셔셔 공젼을수새수 업다 보고가답지은 다알거니와 려항젼셜을들은즉 탁지에셔 부임러가 수령에게 동화갑을병삼죵으로 셰식주며 갑죵은 신화 이젼오리리오 을죵은 일젼에뎍탕고 병죵은 불용건이니 그로 알아지라 ...
    게재일1905년 10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不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명을보젼치못하고 을 앗기고 △지 못하야 경셩에 모뒤여 명을 보호하기로 목뎍하고 회의하 셩을 병뎡을파송하야 란타하다가 일병에계 겨가고 잡혀가고 혹은 십리만콤 셔셔 관광만 하지라 그런병뎡은 파송치이하거시올타고들하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保護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참모부에셔 군부와 경무쳥으로 공문하기 참졍 찬졍 각대신즁 군인에게 친위병뎡 륙명식 보호차로 파송하엿거니와 문관에게 헌병삼명 슌검삼명식 파송하야 보호하라신 쳐분을 봉승하엿시니 엄신칙하야 극력보호하되 소홀이 업게하라 하엿다더라
    게재일1904년 12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弊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옥구항 립학교에 보죠금 일쳔원을 각 쥬에게 징츌고로 쥬등이 학부에 쳥원말은 이왕 긔 엿거니와 감리 리겸씨가  학부로 보고기를 그 보죠금 건으로 각쥬가 환산 지경이라니 그런즉 그학교 곳 폐지거시 가다고엿더라
    게재일1903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鄭漢洙(昌具店 ) 수원 鄭漢洙 昌具店 本町 2町目 90 - - 가구점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鄭漢洙(昌永家具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가구점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기타자료(28)

  • 노식;魯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487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8면 노식;魯植 김제군 죽산면 신흥리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순익;權淳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955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61면 - 권순익;權淳翊 소화18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미지자;美智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325 남한 충남 공주고등여학교 2-07 졸업증서대장 1945―03 55면 미지자;美智子 충청남도 제13회 1944년 3월 24일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윤혁;權允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255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昭和18年-昭和19年 n.r. 105면 권윤혁;權允赫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윤혁;權允赫;權允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00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61면 권윤혁;權允赫;權允赫 東京 中央대학 제2예과 제22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2)

  • /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 때의 행렬을 지칭하는 말. 국장 발인 의식을 거행할 때 국왕의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중심으로 한 전체 행렬 혹은 재궁을 안치한 가마를 지칭하여 라 부른다. 발인 행렬에는 재궁을 안치하는 대여, 능소에 올라갈 때 쓰는 견여, 혼백함을 안치하는 신연

  • 지 /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권기(權紀) 저, 목판본, 1책(영본 전8권 4책). ()는 안동의 옛 이름으로 1602년 유성룡의 명으로 그의 문인인 권기(權紀)가 1608년에 완성시킨 경상도 안동의 읍지이다.

  • 도령가 / 徒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흥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제목과 창작연대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악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 17에 옮겨져 있다. 노래의 가사·해설이 전하지 않으므로, 내용은 물론 형식을 전혀 알

  • 선종집 / 禪宗 [언론·출판/출판]

    당나라 현각(玄覺)이 찬술하였으며, 송나라 행정(行靖)이 주를 달고 정원(淨源)이 수정과문(修定科文)한 책. . 목판본, 상하 2권 1책이다. 범어사에는 1542년(중종 37) 간행본과 1525년(중종 20)에 만든 판본을 후대에 인쇄하여 펴낸 두 종류가 소

  • 용추유 / 龍湫游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저자가 살던 방장산(方丈山) 아래 용추동(龍湫洞)일대의 뛰어난 경관을 읊은 작품이다. 조선시대의 가사 중에는 서경류의 작품이 많으나 지리산을 소재로 지은 것은 「용추유」가 초기작품에 속한다. 전 120구에 9단으로 이루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