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열양세시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118)
- 열양세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세시풍속(韓國歲時風俗)의 연구(硏究)』(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한국세시풍속(韓國歲時風俗)』(임동권, 서문당, 1973) 열양세시기 ...
- 열양세시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19년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이 지은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정의1819년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이 지은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eoryang sesigi | MR표기Yŏryang ses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용알뜨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는 이러한 풍속이 황해도와 평안도지방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에는 이 물 한 그릇 긷는 것을 ‘노용자(撈龍子)’라고 하고 있다. 『열양세시기(冽陽歲時記)』 『동국세...이칭별칭노용란(撈龍卵)|노용자(撈龍子)
- 복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陽歲時記≫에는 많이 먹어야 좋다고 하였고, 농가에서는 첫 숟갈을 쌈 싸 먹어야 좋다는 말도 있다. 洌陽歲時記 東國歲時記
- 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깨가 수입되면서 본래의 것은 들깨, 새로 들어온 것을 참깨라고 부르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은 ‘깨’라 하면 참깨를 가리키게 되었다. 깨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으로 『동국세시기』나 『열양세시기』 등에도 깨를 이용한 엿강정, 깨를 소로 넣은 상화...
고서·고문서(3)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432014300143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4호 洌陽歲時記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6 자료 제73호와 마찬가지로 제주도에서 진상하는 감귤에 대한 내용으로...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482014300148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79호 洌陽歲時記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1 正月 元朝에 임금이 勸農綸音을 八道觀察使와 四都留守에 내린다는 내...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1492014300149_001 李熹公實錄資料 2 자료제80호 洌陽歲時記 궁내청 공문서관 85351 02 12 조선왕조의 家法이 謙儉으로 相承하여 그 문채를 드러내면서도 禮制를...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4)
-
열양세시기 / 洌陽歲時記 [생활/민속]
1819년(순조 19)김매순(金邁淳)이 지은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1권. 인본(印本) A5판 22면. 열양은 한양, 곧 오늘의 서울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 책은 서울의 세시풍속 80여 종을 월별로 구분, 해당절후와 그에 따른 풍속을 간략히 적은 것이다.
-
동국세시기 / 東國歲時記 [생활/민속]
기증함으로써 1911년 김매순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유득공의 <경도잡지(京都雜志)와 합본하여 최남선이 활자본으로 간행하였다.
-
경도잡지 / 京都雜志 [생활/민속]
조선 후기에 유득공(柳得恭)이 지은 세시풍속지. 2권 1책. 필사본. 완성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내용으로 보아 정조 때 쓰여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같은 세시기(歲時記)인 ≪열양세시기 洌陽歲時記≫·≪동국세시기≫ 보다 먼저 집필된 것이다.제1권 풍속에는 건복(巾
-
김매순 / 金邁淳 [종교·철학/유학]
유수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대산집』·『대산공이점록』·『주자대전차문목표보』·『궐여산필』·『열양세시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