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열반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0)
사전(85)
- 열반경종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 고승 원효(元曉)가 ≪열반경 涅槃經≫의 요지를 조직적으로 해설한 개요서(槪要書). [내용] 2권 1책.‘열반종요(涅槃宗要)’라고도 한다. 일본 닛코(日光)의 린오사(輪王寺)가 소장한 1124년본이 현존하고, 이것의 사본이...
- 대반열반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기 때문에 색신(色身)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래의 법신이 상락아정(常樂我淨)임을 밝혀서 『열반경』 이전의 부정적이고 소극적이었던 무상‧무아‧고(苦)‧공(空)의 입장을 긍정적이고도 적극적인 새로운 차원의 세계로 인도하고 있다. 또한, 여래의...
- 대반열반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석가모니불의 열반을 종교적‧철학적으로 깊이 이해시키기 위하여 편찬한 경전.정의석가모니불의 열반을 종교적‧철학적으로 깊이 이해시키기 위하여 편찬한 경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Daeban yeolban-gyeong | MR표기Taeban yŏlban’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반열반경집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구려의 승려 승랑(僧朗)이 지은 『대반열반경』에 대한 해설서. 71권. 만속장경(卍續藏經)과 대정장경(大正藏經) 등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양나라에서 활동할 때 무제(武帝)의 명을 받아 저술하였으며, 우리나라 승려의 문헌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 송광사대반열반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대반열반경소』. [내용] 권9‧10 1책. 목판본. 보물 제90호. 이 책은 『대반열반경』에 대한 당나라 법보(法寶)의 주석서로서, 세조 때 간경도감(...연계항목송광사대반열반경소(松廣寺大般涅槃經疏)
고서·고문서(14)
-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백제의 사신 파견 및 열반경 등 요청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4-29-1 『冊府元龜』 卷999 外臣部 請求 백제 백제의 사신 파견 및 열반경 등 요청 541년 대동(大同) 7년 11720~11721쪽 4039쪽 11557쪽 본 기사는 541년 백제가 사신을 파견하여 경전 등을 요청하자 양무제가 모두 내려주었다는 내용을 전하는...권차『冊府元龜』 卷999 外臣部 請求 | 연도541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541년 백제가 사신을 파견하여 경전 등을 요청하자 양무제가 모두 내려주었다는 내용을 전하는데, 『양서』 백제전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다.
- 人事門5_上元燃燈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上元燃燈 上元燃燈, 意者, 佛之餘俗也. 西域摩竭陀國, 正月十五日, 僧俗雲集, 觀佛舍利放光. 《涅槃經》: “以舍利罌置金牀上, 天人散花, 奏樂繞城, 步步燃燈十二里.” 自漢以後, 轉爲中國之俗, 遂不廢也. 我國必以四月八日燃燈, 與中國異, 蓋亦佛俗也. 或云: “佛以是日, 自母...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風堅卧不動賦詩不★(耒+敬)舟中特以為安宿戒左右船郤若如此問可如此對則亰果然一行皆㐲公曽於 神宗朝以書狀官賀節中朝人固聞公詩名亦有傾盖願交者相與居間奏覆無閡亟完封典䧺舌人老猾夤縁乾沒者無所容其計竟以槖中餘金累千還度攴復 命大悅頒慶行賞超階正憲 ...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92 B003992 강도 江都 정치행정 忠淸道邑誌 海美縣邑誌 海美縣 碑板 若如此問可如此對則亰果然一行皆㐲公曽於 神宗朝以書狀官賀節中朝人固聞公詩名亦有傾盖願交者相與居間奏覆無閡亟完封典䧺舌人老猾夤縁乾沒者無所容其計竟以槖中餘金累千還度攴復 命大悅頒慶行賞超階正憲賜臧獲田圡辞不許拜禮曹...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0)
- 大般涅槃經後分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영, 게재일 : 201819451 김지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18 大般涅槃經後分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8
- 『대반열반경집해(大般涅槃經集解)』에 나타난 『열반경』의 과문(科文)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3092 한국연구재단 불교학연구회 2014 『대반열반경집해(大般涅槃經集解)』에 나타난 『열반경』의 과문(科文)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慧遠 『大般涅槃經義記』의 성립과정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665259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慧遠 『大般涅槃經義記』의 성립과정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6
- 『大般涅槃経集解』を通して見た涅槃師の仏性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3311 한국연구재단 東洋大学東洋学硏究所 2014 『大般涅槃経集解』を通して見た涅槃師の仏性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4
- 『大般涅槃經集解』「如來性品」の佛性義につい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65263 한국연구재단 日本印度學佛敎學會 2013 『大般涅槃經集解』「如來性品」の佛性義につい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65)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1 湼槃經剛目 열반경강목 유통서지 湼槃經剛目 1 寶字7 記載 奈良朝現在一切經疏目錄 권16-374 동아...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1 | 대표서명湼槃經剛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2 湼槃經剛目 열반경강목 유통서지 湼槃經剛目 2 寂法師 天平20 記載 奈良朝現在一切經疏目錄 권3-84...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2 | 대표서명湼槃經剛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3 涅槃經綱目 열반경강목 유통서지 涅槃經綱目 2 義寂述 或一卷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3 | 대표서명涅槃經綱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4 湼槃經剛目 열반경강목 유통서지 湼槃經剛目 2卷 大日本古文書 748年(天平20) 正倉院 『大日本...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4 | 대표서명湼槃經剛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5 涅槃經綱目 열반경강목 유통서지 涅槃經綱目 1卷 寂法師 大日本古文書 753年(天平勝宝5) 正倉院...대표표제어열반경강목(湼槃經剛目) 5 | 대표서명涅槃經綱目 | 한글서명열반경강목 | 서지형태유통서지
기타자료(6)
- 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치고 문물을 얻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백제 백제→양 【번역】 중대통 7년에 거듭 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바쳤다. 아울러 열반경(涅槃經) 등의 경의(經義), 모시박사(毛詩博士) 및 공장(工匠)·화사(畫師) 등을 요청하자, 모두 그에게 주었다. (太平御覽 781 四夷部 2 東夷 2 百濟) ...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치고 문물을 얻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35년(乙卯/신라 법흥왕 22/고구려 안원왕 5/백제 성왕 13/梁 大同 1/倭 安閑 4)
- 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문물을 얻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2) 백제 백제→양 【번역】 왕이 사신을 파견해 양에 들어가 조공하였다. 겸하여 모시박사(毛詩博士), 열반경(涅槃經) 등의 경의(經義) 및 공장(工匠)·화사(畫師) 등을 표문으로 요청하자, 그에 따랐다. (三國史記 26 百濟本紀 4 聖王 19年) 【번...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문물을 얻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41년(辛酉/신라 진흥왕 2 建元 6/고구려 안원왕 11/백제 성왕 19/梁 大同 7/倭 欽明 2)
- 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문물을 얻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欽明天皇 2) 백제 백제→양 【번역】 왕이 사신을 파견해 양에 들어가 조공하였다. 겸하여 모시박사(毛詩博士), 열반경(涅槃經) 등의 경의(經義) 및 공장(工匠)·화사(畫師) 등을 표문으로 요청하자, 그에 따랐다. (『三國史記』 26 百濟本紀 4 聖王 19年)...대표표제어백제가 양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고, 문물을 얻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41년(辛酉/신라 진흥왕 2 建元 6/고구려 안원왕 11/백제 성왕 19/梁 武帝 大同 7/倭 欽明天皇 2)
- 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이 해에 탕창·연연(蠕蠕)·고(구)려·백제·활국이 각각 사신을 파견해 조공 조공(朝貢): 입조하여 공물(貢物)을 바치는 행위를 의미하며, 고구려의 토산물을 공물로 바친 것을 말한다. 하였다. 백제가 열반경(涅槃經) 등의 경소(經疏) 열반경 등의 경소(涅槃等經疏...대표표제어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41년(辛酉/신라 진흥왕 2 建元 6/고구려 안원왕 11/백제 성왕 19/梁 武帝 大同 7/倭 欽明天皇 2)
- 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제가 열반경 등의 경소(經疏) 및 의사, 공장, 화사, 모시박사 등을 요구하자, 모두 그에게 허락하였다. (南史 7 梁本紀 中) 【원문】 (大同)七年三月 高麗國百濟滑國 九月 芮芮國 遣使獻方物 (冊府元龜 968 外臣部 朝貢 1) 【원문】 是歲 宕昌蠕蠕高麗百...대표표제어사신을 파견해 토산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41년(辛酉/신라 진흥왕 2 建元 6/고구려 안원왕 11/백제 성왕 19/梁 大同 7/倭 欽明 2)
주제어사전(6)
-
열반경 / 涅槃經 [종교·철학/불교]
불교의 경전 가운데 하나.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열반경>으로는 <불반니원경> 등이 있다. 대승불교에는 <대반열반경>이 있다. 주요내용은 석가모니의 입멸에 대한 것이다. 소승불교 <열반경>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전후하여 그의 행적과 최후의 가르침, 입멸 후의 슬픔, 사
-
대반열반경 / 大般涅槃經 [종교·철학/불교]
석가모니불의 열반을 종교적·철학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하여 편찬한 불교경전. 담무참(曇無讖)이 416년에서 423년 사이에 번역한 40권본(北本)과 혜엄(慧嚴) 등이 420년에서 479년 사이에 번역한 36권본(南本)이 있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 널리 유통되어 왔던 것은
-
대반열반경 / 大般涅槃經 [종교·철학/불교]
1244년 대장도감에서 판각한 『대반열반경』을 후대에 인출한 불교경전. 몽골의 침략을 불력으로 물리치고자 1244년(고종 31)에 판각한 재조대장경 중 일부인 『대반열반경』의 판본이다. 충청북도 단양 구인사 소장 『대반열반경』은 지질이나 인쇄 상태를 고려해 볼 때
-
대반열반경소 / 大般涅槃經疏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석가류(釋家類) 법현(法賢) 술, 의천(義天) 교, 영인본, 조선총독부, 1924, 2권 1책(권9-10). 석사가 설법한 교의를 담은《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주석한 책이다. 순천송광사장본(順天松廣寺藏本)을 조선총독부에서 영인한 책이다.
-
대반열반경집해 / 大般涅槃經集解 [종교·철학/불교]
삼국시대 고구려승려 승랑이 『대반열반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71권. 만속장경(卍續藏經)과 대정장경(大正藏經) 등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가 양나라에서 활동할 때 무제(武帝)의 명을 받아 저술하였으며, 우리나라 승려의 문헌으로는 최초의 것이다. 내용은 삼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