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90)
사전(535)
- 연향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진소저의 여종이다. 장선결이 진소저에게 혼인을 거절당한 후 진소저의 집에 불을 놓자, 불을 피해 나온 진소저를 집으로 데려간다. 진소저와 함께 집에 불을 놓고 허술한 틈을 타 본댁으로 돌아온다. 월유촌에 사는 남소저에게 진소저의 분첩을 팔러 갔다가, 남소저가 이유를 묻...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燕享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I_0004 燕享 왕조례 燕饗, 大酺, 三日, 宴, 群臣 眞平王 三十七年 二月, 閔中王 二年 三月 周, 新羅, 高句麗 周禮 I_01_08_04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8장 4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8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연향(延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연향 연향 延享 연호 연호 일본(日本) 에도(江戶) 시대 사쿠라마치(櫻町) 천황 김가람 이범직 2009 일본 사쿠라마치 천황 1744년~1748년(사쿠라마치10~사쿠라마치14) [정의] ...
- 용연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다. 열대‧아열대지방에 서식하는데, 깊은 바다에서 생활하고 오징어를 즐겨 먹는다. 이 약은 열대 남방지방에서 생산되는 유향(乳香)‧몰약(沒藥)‧안식향(安息香)과 함께 고려시대에 아라비아 상인들에 의하여 들어온 것이다. 용연향은 포획 즉시 분비물을 수거하...
- 장연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장연향교 / 문루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풍정연향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김상보...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569)
- 당의 신라 사신 연향(宴享)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1-29 『冊府元龜』 卷111 帝王部 宴享3 신라 당의 신라 사신 연향(宴享) 815년 원화(元和) 10년 1316쪽 1204쪽 원화 10년 정월 당이 신라와 남조만의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고 물품을 하사한 기사이다. 十年 正月 丁酉 召見新羅及南詔蠻使 宴賜有差 (원화...권차『冊府元龜』 卷111 帝王部 宴享3 | 연도815년 | 기사해제원화 10년 정월 당이 신라와 남조만의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고 물품을 하사한 기사이다.
- 周燕饗羣臣進天保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220 周燕饗羣臣進天保詩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영접도감연향색의궤(迎接都監宴享色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34년(인조12) 6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책봉을 전하러 온 명나라 사신의 영접을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연향색(宴享色)에서 수행한 업무를 기록한 의궤이다. 소현세자는 인조의 맏아들로 정비(正妃)인 인열왕후(仁烈王后)의 소생이다. 부인은 민회빈(...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접도감연향색의궤(迎接都監宴享色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643년(인조21) 3월에 온 청나라 사신(使臣)의 영접을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연향색(宴享色)에서 수행한 업무를 기록한 의궤이다. 청 사신의 입국 목적은 청에 적대 행위를 한 최명길(崔鳴吉), 김상헌(金尙憲), 고원충(高忠元), 신금(申金) 등의 신병...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周燕饗宗親等謝旣飽以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430 周燕饗宗親等謝旣飽以德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29)
-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미선, 게재일 : 200925226 임미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조선후기 지방의 연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가야연향무 재현을 위한 기초토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원, 게재일 : 201351844 김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13 가야연향무 재현을 위한 기초토대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奎章閣 所藏 연향 관련 儀軌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01409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지사 2003 奎章閣 所藏 연향 관련 儀軌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규장각 소장 연향 관련 儀軌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02810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규장각 소장 연향 관련 儀軌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연향의궤(宴享儀軌)의 음식 관련 차자표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37785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1 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연향의궤(宴享儀軌)의 음식 관련 차자표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6)
- 皇室宴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금일은 음력월팔일이라 황상폐하셔 기악을 궁로 부르시압고 명일지 연향압신다더라게재일1906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休憇宴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오후일시에 궁부에셔 덕국인 손부인을 쳥야 휴게소에셔 연회데 경셩 기녀들이 참연야 가무엿다더라게재일1902년 7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陛見宴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오후 오시에 일본 공 림권죠씨가 졔원호 함쟝이하 쟝관을 동야 폐현고 오후륙시에 비국령가 폐현엿데 칠시량에 궁부에셔 일 비 량국 공를 쳥야 연회엿더라게재일1902년 3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陛見宴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오후에 아공파후로우씨가 폐현후에 궁부에셔 연회엿다더라게재일1902년 3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 후작 이등박문씨를 영졉야 연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후작 이등박문씨를 영졉야 연향을 셜 차로 삼쳔원을 지츌엿단 말은 젼보에 엿더니 다시 들은즉 륙쳔원이라 며 이등씨가 오 오젼 열시에 룡산에 도박야 시즘 입셩다더라게재일1898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
- 순천 연향동 와요지 yy3-0183_#1 유구 사진3 1 2호 가마 조사 후 전경(남에서) 2014-10-06_0.3146173_사진3 1 2호 가마 조사 후 전경(남에서).jpg yy3-0183_#2 유구 사진4. 1호 가마 조사제목순천 연향동 와요지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29)
- 서연향;徐年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1049 남한 경북 대구신명여학교 2-18 信明제1호 1934―03―20 73면 서연향;徐年香 달성군 하빈면 무등동 475;대구부외 신암동 1196-2 21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신명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천 연향동 와요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yy3-0183 유구 2014-02-20_0.9113428_영광 덕흥리 백자요지(부록 순천 연향동 와요지).jpg 순천 연향동 와요지 2008 (재)마한문화연구원 75/127~201 조근우, 박미라, 이미란, 김경미 이미라 마한문...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마한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금해형준;金海亨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609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82면 금해형준;金海亨俊 함북 경성군 주을온면 연향 제37회 1943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원화) 9년 2월 기축일(11)에 인덕전(麟德殿)에서 발해사신 고례진 등 37명을 불러 만나보고 연회를 베풀고 차등있게 하사품을 내려주었다.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宴享 3) 【원문】 (元和)九年二月己丑 麟德殿召見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 賜宴有差 (...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元和 9/日本 嵯峨 弘仁 5)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라 하여 3천여 명에게 연회를 베풀고 있어 인덕전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贺从容, 2012, 『古都西安』, 淸华大学出版社, 119~122쪽).에서 발해사신 고례진 등 37명을 불러 만나보고 차등을 두어 연회를 베풀었다.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宴享 3) ...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憲宗 元和 9/日本 嵯峨天皇 弘仁 5)
주제어사전(24)
-
연향 / 宴享 [역사/조선시대사]
연은 악을, 향은 헌을 뜻함. 연향은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군신이나 빈객을 대접하는 행사. 연향의 종류에는 군신을 위로하는 회례연, 80세 이상의 대소원인을 위한 양로연 및 단오·추석과 같은 명절, 행행, 강무와 같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의 연향과 충
-
장연향교 / 長淵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장연군 장연읍 읍동리에 있는 향교. 1400년경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 협실(夾室)·동무(東廡)·서무(西廡)·신문(神門)·홍전문(紅箭門) 등이 있
-
장련향교 / 長連鄕校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 있는 향교. 1414년(태종 14)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좌우 협실(夾室)·
-
예조 / 禮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예악·제사·연향·조빙·학교·과거 등을 관장하던 관서. 고려 문종 이래로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 등에 관한 정사를 맡도록 규정. 조선시대는 1392년(태조 1)에 재향·빈객·조회·과거·진헌 등의 일을 보도록 규정. 1405년(태종 5)에는 예악
-
관현방 / 管絃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음악기관의 하나. 대악서와 함께 궁중음악을 관장했던 왕립기관이다. 대악서는 왕의 전용으로 설립되었던 음악기관이었으나, 관현방은 다른 목적의 궁중 연향이나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세운 음악기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