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향” 에 대한 검색결과 1,1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8)

사전(535)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진소저의 여종이다. 장선결이 진소저에게 혼인을 거절당한 후 진소저의 집에 불을 놓자, 불을 피해 나온 진소저를 집으로 데려간다. 진소저와 함께 집에 불을 놓고 허술한 틈을 타 본댁으로 돌아온다. 월유촌에 사는 남소저에게 진소저의 분첩을 팔러 갔다가, 남소저가 이유를 묻...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J6_I_0004 왕조례 , 大酺, 三日, 宴, 群臣 眞平王 三十七年 二月, 閔中王 二年 三月 周, 新羅, 高句麗 周禮 I_01_08_04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8장 4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8장 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호 연호 일본(日本) 에도(江戶) 시대 사쿠라마치(櫻町) 천황 김가람 이범직 2009 일본 사쿠라마치 천황 1744년~1748년(사쿠라마치10~사쿠라마치14) [정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열대‧아열대지방에 서식하는데, 깊은 바다에서 생활하고 오징어를 즐겨 먹는다. 이 약은 열대 남방지방에서 생산되는 유향(乳香)‧몰약(沒藥)‧안식향(安息香)과 함께 고려시대에 아라비아 상인들에 의하여 들어온 것이다. 용은 포획 즉시 분비물을 수거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황해도지』(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장교 / 문루

단행본(1)

  • 조선왕실의 풍정 [왕실문화 대중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
    저자 : 김상보... | 출판사 : 민속원 | 출판일 : 2016.11.30
    유형단행본

고서·고문서(547)

  • 羣臣進天保詩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220 周羣臣進天保詩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영접도감색의궤(迎接都監色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34년(인조12) 6월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책봉을 전하러 온 명나라 사신의 영접을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색(色)에서 수행한 업무를 기록한 의궤이다. 소현세자는 인조의 맏아들로 정비(正妃)인 인열왕후(仁烈王后)의 소생이다. 부인은 민회빈(...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영접도감색의궤(迎接都監色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43년(인조21) 3월에 온 청나라 사신(使臣)의 영접을 위해 설치된 영접도감(迎接都監)의 색(色)에서 수행한 업무를 기록한 의궤이다. 청 사신의 입국 목적은 청에 적대 행위를 한 최명길(崔鳴吉), 김상헌(金尙憲), 고원충(高忠元), 신금(申金) 등의 신병...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宗親等謝旣飽以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430 周宗親等謝旣飽以德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인정전(仁政殿)에서 () 습의(習儀)를 해서 아침 일찍 나갔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45_254_138 1545년4월 ○인정전(仁政殿)에서 () 습의(習儀)를 해서 아침 일찍 나갔다 1545년 4월 20일 임자, 비가 골고루 내린 것 같음. ○인정전(仁政殿)에서 () 습의(習儀)를 해서 아침 일찍 나갔다. 제조 등이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기초학문(29)

  • 조선후기 지방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미선, 게재일 : 2009
    25226 임미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조선후기 지방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가야무 재현을 위한 기초토대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지원, 게재일 : 2013
    51844 김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13 가야무 재현을 위한 기초토대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奎章閣 所藏 관련 儀軌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
    01409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지사 2003 奎章閣 所藏 관련 儀軌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규장각 소장 관련 儀軌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5
    02810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5 규장각 소장 관련 儀軌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儀軌)의 음식 관련 차자표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37785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1 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儀軌)의 음식 관련 차자표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6)

  • 皇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일은 음력월팔일이라 황상폐하셔 기악을 궁로 부르시압고 명일지 압신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休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후일시에 궁부에셔 덕국인 손부인을 쳥야 휴게소에셔 연회데 경셩 기녀들이 참연야 가무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7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오후 오시에 일본 공 림권죠씨가 졔원호 함쟝이하 쟝관을 동야 폐현고 오후륙시에 비국령가 폐현엿데 칠시량에 궁부에셔 일 비 량국 공를 쳥야 연회엿더라
    게재일1902년 3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오후에 아공파후로우씨가 폐현후에 궁부에셔 연회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3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일본 후작 이등박문씨를 영졉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 후작 이등박문씨를 영졉야 을 셜 차로 삼쳔원을 지츌엿단 말은 젼보에 엿더니 다시 들은즉 륙쳔원이라 며 이등씨가 오 오젼 열시에 룡산에 도박야 시즘 입셩다더라
    게재일1898년 8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29)

  • ;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1049 남한 경북 대구신명여학교 2-18 信明제1호 1934―03―20 73면 서;徐 달성군 하빈면 무등동 475;대구부외 신암동 1196-2 21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신명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yy3-0183 유구 2014-02-20_0.9113428_영광 덕흥리 백자요지(부록 순천 동 와요지).jpg 순천 동 와요지 2008 (재)마한문화연구원 75/127~201 조근우, 박미라, 이미란, 김경미 이미라 마한문...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마한문화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금해형준;金海亨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7609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82면 금해형준;金海亨俊 함북 경성군 주을온면 제37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번역】 (원화) 9년 2월 기축일(11)에 인덕전(麟德殿)에서 발해사신 고례진 등 37명을 불러 만나보고 연회를 베풀고 차등있게 하사품을 내려주었다.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3) 【원문】 (元和)九年二月己丑 麟德殿召見渤海使高禮進等三十七人 賜宴有差 (...
    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元和 9/日本 嵯峨 弘仁 5)
  • 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라 하여 3천여 명에게 연회를 베풀고 있어 인덕전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贺从容, 2012, 『古都西安』, 淸华大学出版社, 119~122쪽).에서 발해사신 고례진 등 37명을 불러 만나보고 차등을 두어 연회를 베풀었다. (『冊府元龜』 111 帝王部 111 3) ...
    대표표제어당이 발해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4년(甲午/신라 헌덕왕 6/발해 僖王 朱雀 3/唐 憲宗 元和 9/日本 嵯峨天皇 弘仁 5)

주제어사전(24)

  • / [역사/조선시대사]

    연은 악을, 향은 헌을 뜻함. 은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군신이나 빈객을 대접하는 행사. 의 종류에는 군신을 위로하는 회례연, 80세 이상의 대소원인을 위한 양로연 및 단오·추석과 같은 명절, 행행, 강무와 같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의 과 충

  • 교 / 長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장연군 장연읍 읍동리에 있는 향교. 1400년경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좌우 협실(夾室)·동무(東廡)·서무(西廡)·신문(神門)·홍전문(紅箭門) 등이 있

  • 장련향교 / 長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 있는 향교. 1414년(태종 14)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좌우 협실(夾室)·

  • 예조 / 禮曹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예악·제사··조빙·학교·과거 등을 관장하던 관서. 고려 문종 이래로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 등에 관한 정사를 맡도록 규정. 조선시대는 1392년(태조 1)에 재향·빈객·조회·과거·진헌 등의 일을 보도록 규정. 1405년(태종 5)에는 예악

  • 관현방 / 管絃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음악기관의 하나. 대악서와 함께 궁중음악을 관장했던 왕립기관이다. 대악서는 왕의 전용으로 설립되었던 음악기관이었으나, 관현방은 다른 목적의 궁중 이나 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세운 음악기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