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하여” 에 대한 검색결과 6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4)

사전(332)

  • 동사구문사전 : 만연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1724 만연하다 만연하다I 만연-하다1 蔓延-- 만(만연해), 만연하니, 만연하고 일반동사 vi (전염병이나 좋지 않은 현상 따위가 어떤 곳에) 널리 퍼지다. (of epidemic or bad phenomenon) t...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금연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0836 금연하다 금연하다I 금연-하다1 禁煙-- 금(금연해), 금연하니, 금연하고 금연을 하다 일반동사 vi (원래 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더 이상 담배를 피우지 않다. (Of a smoker) Stop smokin...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연연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3153 연연하다 연연하다I 연연-하다1 戀戀-- 연(연연해), 연연하니, 연연하고 문어 일반동사 vi (사람이) 무엇을 버리거나 떠나거나 잊지 못하고 계속 미련을 가지고 집착하다. (of a person) to st...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출연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4374 출연하다 출연하다I 출연-하다1 出演-- 출(출연해), 출연하니, 출연하고 출연을 하다 일반동사 vi (공연 따위를 하기 위하여) 방송이나 무대에 어떤 역할로 나타나다. to act in a role in a...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주연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3928 주연하다 주연하다I 주연-하다1 主演-- 주(주연해), 주연하니, 주연하고 주연을 하다 일반동사 vi (극이나 영화 따위에서) 주인공으로 출 연기하다. to be featured as a hero in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고서·고문서(13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서로 도 남자 경상북도 청도군 흑룡강성(黑龙江省) 방정현(方正县) 림업공사 전산림장 2 2 서로,
    대표표제어서로연하여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질서정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동녕현(东宁县) 동녕진 민악남 사도가 24호 11 10 질서정, 경제동물,...
    대표표제어질서정연하여 | 성씨
  • 1878년 정기상(鄭璣相)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지와 문권을 점 올려 달라는 상서이다.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900년 김용철(金用轍) 등 소지(所志)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00년 2월에 부안군에 사는 김용철 등 52인이 작성하여 부안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원래 변산의 봉표 밖에 위치해있었는데, 최근 사검관을 칭하는 사람이 징색하였다. 이에 봉세관에게 하소도 소용없자 이들은 부안군수에게 소지를 올려 징세대상이 아닌 것에 대해서...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부안 취성재
  • 1900년 김용학(金用鶴) 등 소지(所志) 2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00년 10월에 부안군에 사는 김용학 등이 전북봉세관에게 올린 소지이다. 원래 문정공의 묘는 봉산으로 지정된 변산의 봉표 밖에 위치해있었는데, 최근 사검관을 칭하는 사람이 징색하였다. 이에 봉세관에게 하소도 소용없자 이들은 부안군수에게 소지를 올려 징세대상이...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부안 취성재

구술자료(9)

  • 을 이야기대회 다문화부문에서 〈낙타가 열두 띠에 들지 못한 이유〉를 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툽신자르갈 제보자는 조사자에게 조사 취지를 듣고 조사자를 자택으로 초대하여 이야기를 구연하였다. 어린 자녀가 동석한 가운데 몽골 문화와 이야기를 많이 전달하려는 적극성
    원국적몽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귀신 쫓는 풀 아드라스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데, 사니아도 이를 참조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이야기를 부 첨언하였다. 한국의 팥처럼 카자흐스탄에는 ‘아드라스판’이라는 풀이 나쁜 기운을 쫓아낼 수 있다고 여긴다. 아드라스판은 강한 냄새를 가지는데, 이 풀을 전해주면서 액운을 막기를 빈다. 아드라스판, 풀,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사니아 [카자흐스탄, 여, 1992년생, 유학생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제주 20190307_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리핀 자연에 대한 이야기에 대해 잠깐 대화를 나누었다. 제보자가 준비해 온 이야기를 다 구서 조사를 정리하려고 했으나, 조사자가 이야기를 더 요청했다. 그러자 제보자가 〈볼칸마이언 화산〉 전설을 구연하였다. 중간 중간 이야기 내용을 되짚어가며 구연하였다. 이 이야
    제보자마리사콘데(오혜진) [필리핀,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제보자는 그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제보자가 구연하는 동안 원황하이이옌 제보자는 이야기판에 청자로 참여하여 제보자의 구연을 경청하였다. 옛날에 용과 불사조가 결 불사조가 알을 백 개 낳았는데, 그 안에서 각 오십 명의 남성과 여성이 태어났다. 그 후
    국가베트남 | 제보자호민두 [베트남, 남, 1997년생, 유학 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서울 20161017_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이어서 태국의 민담 몇 편을 더 구 15시 30분경 이야기판을 마무리하였다. 와닛차진시리와닛 제보자가 이야기판에서 구연한 이야기 가운데 태국의 속담 22편을 포함한 민담, 전설 26편을 최종 DB화하였다. 20161017_002_1115_광진구_P01 20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41)

  • 2월 20일 6 김한성 교육신문사 평양제3중학교 공화국의 영예스러운 모범 소년단으로 불리워지는 평양 제3중학교 소년단에서는 조선인민군 창립 2주년을 경축하여 인민군대 및 그 가족 위안사업으로 『대관령을 넘는 소년들』이라는 소년극을 공 대환...
    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50_0220_02 | 날짜1950년 2월 20일 | 책임주필김한성
  • 출판경찰보 125호 화자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수용소의 극단이 나주(蘭州)에 가서 상연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는 지나군의 포로가 된 우리 병사가 포로수용소에서 조직한 극단에 출 반전선전을 하고 있는 것처럼 곡설하는 것으로 「지나사변외출금지표준(支那事變外出禁止標準) 3의 (6)」에 해당함. 한국학분야 토대연...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25호 화자일보 | 출판물명화자일보(華字日報) 1939년 11월 2일
  • 출판경찰보 125호 성주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전쟁, 포로, 반전 “적(賊) 포로 반전회(反戰會)를 조직하고 중경(重慶)에서 화극(話劇)을 상 전 세계에 방송”이라는 제목의 기사는 「지나사변외출금지표준(支那事變外出禁止標準) 3의 (6)」에 해당함.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25호 성주일보 | 출판물명성주일보(星洲日報) 조판(早版) 1939년 11월 15일
  • 75 이영조 황해도 황해로동신문사 예맹 제1 직장음악경연대회 지난 3월 29일 해방□장에서 예맹주최로 개최된 인민대중의 음악을 진급향상시키기 위한 제1 동직장음악경연대회는 12개 직장에서 21명이 출 대성황을 이□었는데 동 음악경연대...
    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403_02 | 책임주필이영조
  • 731 강길모 함흥시삼일리3구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리결모 한학진 직맹 한학진 동무는 함흥시 당부 직외 강사의 한 사람이다. 그는 항상 당의 위임 집행에 대하여 충실하였으며 강연 사업으로서 많은 직장에 강사로서 출 다른 강사에 비하여...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427_02 | 책임주필강길모

멀티미디어(1)

  • 자유의 소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서울방송국의 방송 제작 과정과 송출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기본적인 편성 회의에 대한 언급으로부터, 뉴스 편집과 방송 녹음, 청중들과 함께 녹음하는 공개방송인 ‘스무고개’, 일반인이 출 노래하는 ‘노래자랑’ 방송 녹음, 녹음된 방송에 대한 음향 편집과 연희․수원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7년

기타자료(27)

  • 형식주의의 폐-도의교육의 진로에 관련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형식주의의 폐-도의교육의 진로에 관련하여 형식주의의 폐-도의교육의 진로에 관련하여 形式主義의 廢-道義敎育의 進路에 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기석 | 사료철명교육
  • 교육과정의 정상화문제-대학입시과목과 관련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정상화문제-대학입시과목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정상화문제-대학입시과목과 관련하여 敎育課程의 正常化問題-大學入試科目과 關 교육 문헌 현대 교육기회확대 고등...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황정환 | 사료철명교육평론
  • 중고등학교교육개혁을 위한 제언-현행교육법과 관련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중고등학교교육개혁을 위한 제언-현행교육법과 관련하여 중고등학교교육개혁을 위한 제언-현행교육법과 관련하여 中高等學校 敎育改革을 위한 提言-現行敎育法과 關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주기용 | 사료철명교육평론
  • (특집 64년 강원교육의 반성) 수재교육을 이렇게 본다-중고등학교학력대회와 관련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大會와 關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평가 취학전ㆍ특수교육 영재교육 잡지 김남하 金南夏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남하 | 사료철명강원교육
  • 25. Statement from major general Archer L. Lerch, military governor Korea, to the newspapermen of Korea : 발표문, 1946.01.29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Lerch 군정장관 기자단과 회견. Hodge 미군사령관의 성명에 부 금후 15일간 특별 경계가 필요함을 강조 statement, Archer L. Lerch, newspapermen, Korea, Gen...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연구과제(1)

  • 21세기 한국 포스트휴먼 SF 서사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노대원 | 제주대학교 | 2023 | 국내 | 제주

주제어사전(22)

  • /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대체로 편지의 앞부분에 나타난다. 이어서, 즈음하여 정도로 파악할 수 있는 용어이다.

  • 창극좌 / 唱劇座 [예술·체육/연극]

    있었던 동양극장에서 공 대단한 인기를 얻었고 전국의 지방도시를 순회 공연하였다. 청극좌는 창극운동을 본격화하고 1년에 2편씩의 창극을 공 오다가 1942년 일본경찰의 간섭과 탄압으로 화랑창극단과 병합하여 조선창극단이라 개칭하였다.

  • 금척대훈장 / 金尺大勳章 [역사/근대사]

    왼쪽 옆구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슴 밑에 단다.

  • 옥소전 / 玉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옥소전」은 중국소설 「소지현나삼재합(蘇知縣羅衫再合)」을 개작한 것이다. 「소지현나삼재합」이 부모를 해친 원수의 손에 길러진 주인공이 나삼을 인 부모를 찾고 원수를 갚는 인간의 기구한 운명을 그린 작품이라면, 「옥소전」은 주인

  • 고루가 / 枯髏歌 [문학/고전시가]

    암(大源庵)의 비구 법장(法藏)이 이들 세 노래를 부 『보제존자삼종가(普濟尊者三種歌)』로 내놓았는데, 이때 「고루가」는 144구로 늘려졌다. 수도, 정진으로 수척해진 몸의 보기(寶器)임과 불타와 조사도 이를 의지하여 성도(成道)하였음을 노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