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통제” 에 대한 검색결과 1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5)

사전(6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외 업무 연락을 위한 지하 비밀행정조직. 상해 임시정부가 국내외 국민간에 독립 의지를 상통하고 구국 사업의 완성을 기하며, 내외의 독립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내용] 는 임시정부 내무부 소관사항이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외의 독립운동을 지휘‧감독하기 위해 설치했던 비밀연락망.
    정의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외의 독립운동을 지휘‧감독하기 위해 설치했던 비밀연락망.[한국근현대사사전] | 문광부표기yeontongje | MR표기yŏnt’ong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윤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5(고종 22)∼1942.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철(喆). 서울 출신. 1917년 서울에서 제자들에게 배일사상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독립운동을 계획하였다. 1919년 4월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어 7월에 ()...
    이칭별칭철(喆)
  • 이종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부가 수립, 선포되었을 때 내무부참사로 참여하였다. 1920년 3월 임시정부의 특파원이 되어 귀국, 10개 도에 ()를 조직하고 정보수집ㆍ군자금모금ㆍ밀정제거 등을 현지주민과 협의하였다. 그 뒤 일본경찰에 잡혀 1920년 6월 대구지방법원...
  • 이규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決死斷指隊)를 조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긴밀한 연락을 통하여 ()에 가담, 활동하였다. 경성군에서 조직을 완료하고 임시정부와 업무연락, 군자금송달, 기밀문서의 수발 등 많은 활동을 하다가 일본헌병에게 잡혀 1920년 8월 15일...
    이칭별칭규상(揆常)

고서·고문서(77)

  • 40866 B040866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13年 11月 21日_013 ○呂聖齊, 以禮曹言啓曰, 卽接司饔院移文內, 今使所封生大口魚進上, 大殿·中殿處·世子宮, 初·二等, 竝爲減半來, 故令該曹査覈處置, 而遠道所封, 有難退送, 姑爲捧入等項事, 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0984 B020984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大東地誌 권7 전라도 康津 典故 ... 馬島加里浦 宣祖三十使李舜臣大捷珍島收散兵治戰艦備糧械翌年二月進陣于古今島時陳璘亦留屯于此舜臣宴享甚盛璘大喜上書於 上曰統制使有經天緯地之才補天浴日之功云云 四月倭將平行長領數百船大至圍古...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867 B040867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顯宗 13年 11月 21日_013 ○呂聖齊, 以禮曹言啓曰, 卽接司饔院移文內, 今使所封生大口魚進上, 大殿·中殿處·世子宮, 初·二等, 竝爲減半來, 故令該曹査覈處置, 而遠道所封, 有難退送, 姑爲捧入等項事, 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使李舜臣大捷珍島收散兵治戰艦備糧械翌年二月進陣于古今島時陳璘亦留屯于此舜臣宴享甚盛璘大喜上書於 上曰統制使有經天緯地之才補天浴日之功云云 四月倭將平行長 ...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박원혁 외 36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朴元赫 外 36人 判決文(大正9年刑控第563號, 京城覆審法院))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이후 상해임시정부의 ‘함북 () 사건’에 대한 대정8년(1919년) 제령 제7호 ‘정치에관한범죄처벌의건’ 위반사건 3.1운동, () 1. 제목 : 朴元赫 外 36人 判決文(大正9年刑控第563號, 京城覆審法院) 2. 내용 이 문서는 3.1운...
    제목 박원혁 외 36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朴元赫 外 36人 判決文(大正9年刑控第563號, 京城覆審法院)) | 사건유형대정8년(1919년) 제령 제7호 ‘정치에관한범죄처벌의건’ 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주제어사전(10)

  • / [역사/근대사]

    징모, 군수품의 조사 수렴, 시위운동의 계획, 애국성금의 모금 운동, 통신 연락, 정보수집 등 다양하였다. 의 비밀조직이 임시정부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 강제희 / 姜濟羲 [역사/근대사]

    1891-미상. 독립운동가. 평안북도 창성 출신. 1919년 3·1운동 때 향리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잡힌 일이 있으며, 그뒤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이동녕(李東寧)·안창호(安昌浩) 등과 연결되어 ()의 국내책임을 맡아 국

  • 김승학 / 金承學 [역사/근대사]

    1881-1965.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1907년 정미조약 체결 때 서울 종로에서 반대연설을 하였으며,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평북독판부 국내특파원으로 선발되어 평안도·황해도일대에 를 조직하고 88개소에 달하는 독립단 지단을 설치, 운영하였다.

  • 임영신 / 任永信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여성 지도자·정치가(1899∼1977). 3·1운동과 상해임시정부의 에 관여하였다. 이후 1948년 상공부장관, 1950년 민의원, 1953년 중앙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했고, 저서로 《My Forty Years Fight For Korea》가 있다.

  • 김문희 / 金文熙 [역사/근대사]

    단위까지 설치한다는 ()를 발표하였다. 이에 1920년 2월 평안북도 초산의 장서(掌書)를 지내면서 임시 정부 명령 및 공문 전달과 군자금 모금·공채 발매·구국재정단원 모집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24년부터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정원의원(議政院議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