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창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3)
- 연창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阿膠一兩松煙五合明油一升正鐵一斤翣扇實預差竝十二部;有兩角高二尺四寸廣二尺用禮器尺裹以草注紙再裹煙窓紙三裹進獻白苧布;;兩面畵黼雲邊兒畵雲氣皆用朱砂柄用烏竹長五尺用布帛尺;, (국장1776/018ㄴ08~10)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연창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주로 창호에 바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 덧문이나 덧창 등의 창호에 바르는 용도, 즉 창호지로 사용하는 종이이다. 그러나 연창지(煙窓紙)를 만드는 재료나 제작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연창지(烟窓紙)와 같다. 綿紙三張式再褙白紙六張式印本後褙草注紙三張式再褙草注紙三張...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도배(塗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紙), 천장을 도배하기 위한 반자지(斑子紙), 창과 문을 도배하기 위한 연창지(烟窓紙)와 백면지(白綿紙), 주로 과거 시험을 위한 시권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소호지(小好紙)와 대호지(大好紙) 등이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 [변천] 도배의 변화는 도배지...상위어영건(營建), 영조(營造) | 하위어도배지(塗褙紙), 삼배(三褙), 재배(再褙), 정배(正褙), 초배(初褙) | 관련어각장(各張), 괴화(槐花), 교말(膠末), 귀얄(歸也), 낙폭지(落幅紙), 능화지(菱花紙), 들기름(法油), 명유(明油), 소나무 기름[松脂], 유둔(油芚), 유지(油紙), 자저모(家豬毛), 장지(壯紙), 장지(狀紙), 전지(箋紙), 주지(注紙), 촛농(滓燭), 콩가루[太末], 콩가루[太汴], 호미(糊米), 휴지(休紙)
고서·고문서(2)
- 천목중봉화상광록_天目中峯和尚廣錄29 書問 答高麗白尙書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天之法耶 答 敎中有緫別二義 緫者諸佛所致之一心也 別者乃諸佛隨宜演唱之方便事也 須知緫佛異別 卽一心現萬法也 別不離緫惟 萬法皆一心也 法無心外之法 心非法外之心 但迷悟之自分耳 心迷故但見 別法無緫名 心悟故惟知一切皆緫 名佛法 更無一物非緫也 但除却佛法大緫持相 不問生天生人生十法界中 皆是階...국가중국 | 서명천목중봉화상광록 | 왕대기타
- 추안급국안 : 저주 역적 의정(義貞)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荊蘭等眼有 淚痕矣身恠問其此書何出則義貞答曰此乃關公前祭文也矣身曰 然則何以眼有淚痕耶義貞曰有然愴之事而然矣同封書乙荊蘭 持去時矣身明白見知同參遺書的只罪 ○ 인숙의 최후진술서 同日仁淑更推白等矣 身以本處內人移送不久凡干下問所宜直告而兇詐特甚與廢朝 人無異此豈人情哉遺書在處從實直招爲白乎矣...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6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연창지 / 煙窓紙 [생활/주생활]
주로 창호에 바르기 위해 사용하는 종이. 덧문이나 덧창 등의 창호에 바르는 용도, 즉 창호지로 사용하는 종이이다. 그러나 연창지를 만드는 재료나 제작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