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제” 에 대한 검색결과 1,3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2)

사전(285)

  • 박등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상대의 귀족. [내용] ‘등허(登許)’라고도 한다. 모량부(牟梁部) 출신이다. 지증마립간의 장인이다. 딸은 부인(夫人, 혹은 迎帝夫人)으로서, 지증마립간의 왕비이자 법흥왕의 생모이다. 벼슬은 이찬(伊飡)에 이르...
    이칭별칭등허(登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아버지 생전에 죽은 어머니 소상(小祥) 형식을 11개월 만에 치르는 일. [내용] 사(祀)‧연사(練祀)라고도 한다. 본래 오복제(五服制)에 따르면 아버지상에는 참최(斬衰) 3년으로 되어 있지만 아버지는 살아 있고 어머니가 먼저 죽...
    이칭별칭연제사(練祭祀)|연사(練祀)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소상(小祥) 凡喪 朞以上不計閏 大功以下 乃計閏者 乃通行之禮耶今次 當從朞以上不計閏, 미상, 45-28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왕래. 只是無 吾殊鬱鬱耳, 정경세(鄭經世), 3-2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자(死者)의 사망일로부터 만 일 년이 되는 첫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 는 초상(初喪)에서부터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13개월이 되는 첫 기일에 지낸다. 다만 아버지가 생존해 계신 가운데 어머니의 상이 난 경우에는 윤달을 계산하지 않고 11개월 되면 날을 정하...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927)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면 유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흥륭공사 3 1 면, 상봉, 기쁨, 반백, 머리, 기구, 인생,
    대표표제어연제면 | 성씨
  • 父在爲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sl_00134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四 喪禮_小祥 父在爲母說 父在爲母說 이익(李瀷, 1681~1763) 父在爲母說 DRAC_4:1:9:19 余旣考定爲妻無練之說. 然父在, 爲母, 則固有 有: 《星湖全集》에는 ‘無’로 되어 있다....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상제제복 발기(祥祭祭服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大禮書類六・大正四印刷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8842016101884_069 大禮書類六・大正四印刷 賢所ニ期日奉告ノ儀外各儀次第書 현소에 기일 봉고 의례 이외 각 의례 순서서 국립공문서관 禮00017100 0356 1 문서 1915.99.9...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14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大禮書類十・大正四印刷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1018862016101886_033 大禮書類十・大正四印刷 京都ニ行幸ノ儀以下各儀次第 교토에 행행하는 의례 이하 각 의례 순서 국립공문서관 禮00021100 0358 1 문서 1915.10.99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1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3)

  • 산 모야 앞이루 밤이믄 이르케 기일 삼면 기일 그러니까 우리가 삼 죽으믄 무슨 기일 있잖아요. 고애가 큰기리 십사기일 가서 그 똥그래미 치구 그 안에 나오지 말구 앉아서 종이를 태아라. 그리니까 종이두 무슨 돈으루, 돈 모양처럼 해는 거 종이 있어요. 태우는 거.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서청록 [중국(한국계), 남, 1962년생, 이주노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빨간 종이로 물리친 괴물 니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 사자, 뿔, 이빨, 눈, 바다, 육지, 가축, 마을, 설날, 산, 노인, 배낭, 수염, 할머니, 빨간 종이, 폭죽, 부적, 촛불, 풍습, 도깨비, 리하이리엔, 이해련, 중국, 조선족, 경기도, 오산시 옛날 중국에 괴물 연, 보자가 ‘연(年)’으로 표현했으나 제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리하이리엔(이해연) [중국(한국계), 여, 1982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야? 이렇게까지 물어보더라구요. 그러면 2년제야. 하면 쪼금 더 그렇게 또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조사자1: 제가 쓰는 논문, 구상하는 논문이 뭐냐 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님들에 대한 편견에 대한 글을 쓸려구 그래요. 근데 실제루 저희가 느끼는 거는 이 조사를 통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류정애 [중국(한국계), 여, 1980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 유이(油井) 豊 ‘줄자르기(綱切り)’성격과 ‘탯줄자르기(へその緒切り)’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1494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13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 유이(油井) 豊 ‘줄자르기(綱切り)’성격과 ‘탯줄자르기(へその緒切り)’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05)

  • 有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긔독쳥년회에셔 금일 하오 칠졈반에 회학관 일어교 징뎐가이지씨가 션우후락(먼져근심나 후에 질거온말]이란 문졔로 연셜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쳥국직예 농무춍국에셔 권연초를 졔조 계획으로 농무국 춍판 송환조를 일본에 파송야 권연초 만드는 필요 긔계 이십륙와 각항 죠희를 사다가 근일 시터인 담 쳥국 호광과 역쥬소산으로 쓰기로 다더라
    게재일1903년 3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普通敎育과 機會均等 問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普通學校 A19280325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仁川商工會議所 五十週擧行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仁川商工會議所 五十週擧行 1934년 9월10일 인천 인천 인천상공회의소는 개설 50주년 제전을 29일 인천공회당에...
    대표표제어仁川商工會議所 五十週年祭擧行 | 연월일1934년 9월10일 | 지역인천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은策士를 찻느냐, 富者를 찻느냐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757 1932 2 15 1 1 三千里社主催誌上 靑年學徒雄 辯大會 朝鮮은策士를 찻느냐, 富者를 찻느냐 잡지 삼천리 23호, 4권2호 86~88 연설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靑年學徒雄辯大會, 策士, 富者,...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기타자료(41)

  • ;白연(亢-궤/兌)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745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77면 9. 졸업생;37) 1931년 졸업생 (78명) 백;白연(亢-궤/兌)濟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白연(亢-궤/兌)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79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96면 36. 생도 씨명;7) 제1학년 백;白연(亢-궤/兌)濟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白연(亢-궤/兌)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61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77면 46. 졸업생;37) 1931년 졸업생 (78명) 백;白연(亢-궤/兌)濟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白연(亢-궤/兌)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4939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0 137면 44. 생도 씨명;1) 제4학년 백;白연(亢-궤/兌)濟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白연(亢-궤/兌)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4083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8 106면 39. 생도 씨명;5) 제2학년 백;白연(亢-궤/兌)濟 (원적)평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0)

  • / [사회/가족]

    祥)까지 치러야 하므로 11개월이 지나 날을 택하여 소상을 지내고 13개월 될 때 대상의 형식을 갖추고 15개월에 담제(禫祭)를 지내게 된다. 소상 형식의 를 지낼 때는 궤연(几筵: 죽은 사람의 혼령을 모셔둔 곳)을 치우고 상주는 연복(練服)을 입는다.

  • 만년제 / 萬 [경제·산업/산업]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있는 제방(堤防). 경기도 기념물 제161호. 조선시대 정조는 경기도 양주군배봉산에 있는 사도세자의 영우원(永祐園)을 수원시 화산(華山) 아래로 옮기고 화산 북록에 있던 기존의 수원읍을 현재의 수원성으로 옮겨 신도시를 조성하였다. 이에 따라 정조

  • 정년제 / 停 [사회/사회구조]

    정규직원이 일정한 연령이나 정해진 근무기간에 달하면 직장에서 자동적으로 퇴직시키는 제도. 종업원이 장기간 근속하여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거나, 일정한 기간 동안 승진하지 못하고 동일 계급에 머물 경우 자동적으로 퇴직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정년퇴직 제도에는 미리 정해진

  • 조석곡 / 朝夕哭 [생활/주생활]

    국상에서 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과 같이 조석곡을 행하지만 반우한 이후에는 전의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때에 그만둔다.

  • 대산평야 / 大山平野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과 낙동강 사이에 발달된 퇴적평야. 대산평야는 거의 범람원으로 이루어진 낙동강 하류의 내륙평야로 면적이 약 3,400ha에 이른다. 낙동강 변에는 해발고도 약 8m의 자방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남쪽과 서쪽 주변의 구릉지 또는 산지 밑에는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