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후천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승언(李承彦)‧이장곤(李長坤)‧성안의(成安義)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
  • 금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 21)에 이승언ㆍ성안의(成安義)와 같이 에 배향되었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시에 이 없어졌다. 금호재는 1695년까지 존재했던 용흥사의 부속건물을 이곳으로 이건하여 이장곤의 재실로 삼은 것이라 한다. 가구구조가 용흥사 본래의 형식인 17세기...
    연계항목금호재(琴湖齋)
  • 성안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常寺)의 정(正)에 옮겼다가 이괄(李适)의 난 때 국왕을 공주로 호행하였다. 1624년(인조 2)에 제주목사를 제수받고, 1628년 우부승지에 임명되었지만 병을 핑계로 사양하였다. 후일 이조판서ㆍ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을 추증받고, 창녕의 ()ㆍ물계...
    이칭별칭 정보(精甫)| 부용당(芙蓉堂)
  • 성안의(成安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이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사후에 이조판서(吏曹判書)‧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에 추증되었고, 창녕의 ()‧물계서원(勿溪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부용당일고(芙蓉堂逸稿)』가 있다.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亂中...
    유형분류인물
  • 이장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녕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금헌집≫이 있다. 시호는 정도(貞度)이다.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海東名臣錄 國朝榜目 順菴文集 燃藜室記述 雲石遺稿 己卯錄補遺 ...
    이칭별칭 희강(希剛)| 학고(鶴皐), 금헌(琴軒), 금재(琴齋), 우만(寓灣)| 정도(貞度)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후천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승언(李承彦)·이장곤(李長坤)·성안의(成安義)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