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악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83) 경북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창건되었으며, 경내의 건물로 묘우 자리에는 단소로 되어 있고, 4칸의 강당과 3칸의 고직사가 있으며, 동재, 서재는 유허만 남아 있다...
  • 강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鄭起龍)이 이끄는 의병과 뜻을 같이하여, 여러 곳에서 왜적들과 싸워 이를 무찔렀다. 벼슬은 찰방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폭정에 분개하여 은퇴하고 고향에서 독서와 저술로 일생을 보냈다. 상주의 ()에 배향되었다. [저술활동] 저서로는『...
    이칭별칭 명보(明甫)| 남계(南溪)
  • 김언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를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1624년(인조 2) 효행으로 읍인이 정표할 것을 청하므로 그에게 감찰을 증직하였으며, 박언성(朴彦誠)ㆍ남응철(南應哲) 등과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운정유집』이 전한다.
    이칭별칭 정보(精甫)| 운정(芸亭)
  • 강응철(康應哲)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방어하였다. 이후 정기룡(鄭起龍)이 이끄는 의병과 합세하여 여러 지역에서 일본군을 무찔렀다. 이후 찰방(察訪) 벼슬을 지냈지만, 광해군의 폭정에 분개하여 관직에서 물러났고, 고향에서 독서와 저술로 일생을 보냈다. 상주의 ()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 『남계...
    유형분류인물
  • 조광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마다 나라를 위해 솔선하여 창의를 일으켜 몸소 적들과 대적하여 싸웠다. 이러한 공헌으로 200여 년 후에 ()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북계집』 2권이 있다. 『북계집(北溪集)』 ...
    이칭별칭 여완(汝完)| 북계(北溪)

고서·고문서(5)

  • 상주박물관 南溪集은 南溪 康應哲의 시문집이다. 목판본이며, 辛丑年 5월 하순에 玄孫 康萬元이 쓴 발문이 있다. 발문에 따르면, 봄에 의 享禮日에 사림들이 公議로 간행하였다고 하였다. 신축년은 1841년이다. 강응철(1562-1635)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러 보네. ”라고 하였다. 追享奉安文 15 金彦健‧趙光璧‧康用良을 에 추향 할 때 봉안문이다. 은 1702년(숙종 28)지방유림의 공의로 朴彦誠‧金彦健‧康應哲‧趙光璧‧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金彦健 (151...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鄕兵을 모집하여 尙州를 지켰다. 후에 鄭起龍의 의병과 합세하여 각지에서 왜병을 무찔렀다. 벼슬은 察訪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亂政에 분개하여 은퇴하고, 향리에서 독서와 저술로 일생을 보냈다. 상주의 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世祠를 지어 季氏와 幷享하려는 일을 계획하 자, 이를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북계는 에 모셔졌으므로 이미 조성된 사 당을 헐고 새로이 사당을 만들 수는 없으며, 계씨를 병향하는 것은 좋은 일이기는 하지만 생시에 함께 지냈던 일과는 사안이 다른 것이므로 역시...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자 鄕兵 을 모집하여 경상도 상주를 지켰다. 그 뒤 鄭 起龍이 이끄는 의병과 뜻을 같이하여 여러 곳에서 왜적들과 싸워 이를 무찔렀다. 벼슬은 察訪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폭정에 분개하여 은퇴하고 고향에서 독서와 저술로 일생을 보냈다. 尙州의 에 배향되었다. 祭...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김언건(金彦健)·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

  • 남계문집 / 南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전(箋)·소(疏), 권2에 서(書)·잡저·제문·지·행장·서(序)·정문(呈文), 권3·4는 부록으로 붕우증시(朋友贈詩)·행장·묘갈명·상량문(上樑文)·봉안문(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제문·만사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친구들과 수창왕복(酬唱往復)한 것으로

  • 강응철 / 康應哲 [종교·철학/유학]

    광해군의 폭정에 분개하여 은퇴하고 고향에서 독서와 저술로 일생을 보냈다. 상주의 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남계문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