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21)
사전(3,633)
- 연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의 사람들만을 따로 모아서 잔치하는 것이고, 소연은 필요에 따라 지극히 국한된 인물만을 모아 베푸는 잔치다. 규모는 국가의 형편에 따라 정해지는 것으로, 천자의 잔치는 크고 화려하며 제후국의 잔치는 규모가 비교적 작다. 문헌에 나타난 연례의 행사를 보면 그 행...
- 宴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11_D_0008 宴禮 관례1 卜晝, 列炬, 伴送, 夜餞, 燃炬, 禮樂, 王府, 勸酒, 夜宴, 張燈, 王者, 大昕, 賓客, 燃燭, 燈燭, 民膏血, 儉德 契丹, 金郊驛, 中華, 我朝 文宗, 王宗亮, 崔尙 麗史 D_17_04_18 대동...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연례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중요한 연례악곡을 들면 현악 「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및「평조회상(平調會相)」‧「여민락」‧「수제천(壽齊天)」‧「보허자(步虛子)」‧「낙양춘(洛陽春)」등이 있다. 『악학궤범(樂學軌範)』 『한국음악논고(韓國...
- 연례악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중에서 연향과 조의 때 아뢰던 음악의 총칭정의궁중에서 연향과 조의 때 아뢰던 음악의 총칭 | 문광부표기yeollyeak | MR표기yŏllye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계술수연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66년(영조 42) 영조가 연례를 베풀면서 숙종 때 자신이 연례에 참석하였던 기억을 되살려 연례의 내용을 규정한 책. [내용] 1책. 활자본. 성인들이 연례를 기록하여 군신간의 의(義)를 밝혔다는 고사에 따라 1706년(숙종 32)
고서·고문서(1,072)
- 李肯翊이 편찬한 조선시대 史書 [연려실기술]을 영인출판한 것이다.자료구분문헌 | 저자朝鮮古書刊行會(編) | 출처朝鮮群書大系[續] 제11~16집, 19~21집 | 발행년도1912~1913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18세기 中國社會의 吸煙文化 硏究 ― 담배의 사회문화적 영향과 吸煙禮俗의 형성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원정식, 게재일 : 200836071 원정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명청사학회 2008 18세기 中國社會의 吸煙文化 硏究 ― 담배의 사회문화적 영향과 吸煙禮俗의 형성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34)
- 設宴禮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특 뎐즁씨 작일하오칠시에 그려관 손랑부인집에셔 만찬회를 셜고 각대관을 쳥요야 회례를 표고 작별을 연슐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 揀禮収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황비 삼간일 음본월십륙일노 뎡얏 그날간을맛츤후 그간되신 이 즉시별궁으로 들어가계마련얏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辛年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辛年禮(-) 원산 辛年禮 - 上里1洞 - - 요리옥,음식점,카페 - 7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辛年禮(-)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옥,음식점,카페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언커크」연례보고서(전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9) 경제개발계획 「언커크」연례보고서(전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0년 9월 17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6 이 글은 언커크 제10차 연례보고서의 내용을 담고 있음. 언커크 보고서는 한국의 통일문제, 대한민국의 유엔...대표표제어「언커크」연례보고서(전문)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언커크 보고서, 한국 경제발전, 경제개발 장기계획, 경제개발계획, 외국원조
- 博士試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균관에셔 일간에 년례로시난 합시셜고 거난유 삼십여인즁에셔 우등을갈희여 박구인을 쳔보터이라더라게재일1906년 12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1)
- 심년풍;沈年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年豊 경기도 고양군 漢芝面 新堂里27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년풍;沈年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심년풍;沈年豊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54. 데라우치 백작이 주재한 도장관 연례회의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4. 데라우치 백작이 주재한 도장관 연례회의 n°30. Assemblée annuelle des gouverneurs provinciaux sous la présidence du comte Teraoutchi A, C, D, E, N 지리, 정치 법제, 경제...집필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8년 | 작성월일4월 21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G. 두메르그,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 한국문제의 연례적 자동상정 지양을 위한 하나의 방안 연구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한국문제의 연례적 자동상정 지양을 위한 하나의 방안 연구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05/07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7] U...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한국문제의 연례적 자동상정 지양을 위한 하나의 방안 연구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한국문제의 연례적 자동상정 지양을 위한 하나의 방안 연구 정치·법제 기타 현대 1970/05/11 국립외교원 국립외교원 [3677] U...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연구과제(21)
-
한국학 프로그램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Chong Eun Ahn |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 2019 | 국외 | 해외
-
교육에 기반한 인도네시아 말랑의 한국학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Gonda Yumitro | Universitas Muhammadiyah Malang | 2023 | 국외 | 해외
-
Developing Korean awareness at th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Ryota Nishino |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 2014 | 국외 | 해외
-
미국 중서부 한국학 공동 연구 및 교육 플랫폼 구축
한국학 전략연구소 육성사업 | 유영주 | University of Michigan | 2021 | 국외 | 해외
-
술라이마니의 이라크 아메리칸 유니버시티 (AUIS) 중동의 대표적 한국학 연구소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Gianluca Spezza | American University of Iraq, Sulaimani (AUIS) | 2023 | 국외
주제어사전(31)
-
연례 / 燕禮 [종교·철학/유학]
조정에서 군신 상하간의 친목을 도모하면서 그 구분을 분명히 하는 잔치 의식. 참가 범위는 연회의 규모에 따라 다르다. 그 규모는 세 가지로 대연(大宴)·중연(中宴)·소연(小宴)이 있다. 대연은 국가의 큰 경사가 있을 때 이루어지는 행사로 문무의 제신과 종친(宗親)·비빈
-
연풍 / 延豊 [지리/인문지리]
충청북도 괴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고구려의 상모현(上芼縣)이었는데, 1018년(현종 9) 장연현(長延縣)으로 고쳐 장풍현(長豊縣)과 함께 충주에 속하였다. 1394년(태조 3) 두 현을 합하여 장풍현이라 하고 감무를 두었으며, 1403년(태종 3) 연풍현으로 고치고
-
연풍 / 連豊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은율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연풍현은 고려 때 연풍장(連豊莊)으로 안악(安岳)에 속하였는데, 1390년(공양왕 2) 감무가 설치되어 장명(長命)을 함께 다스렸다. 1396년(태조 5) 장명진(長命鎭)을 없애고 연풍현에 속하게 하였다가, 1414년(태종 14)
-
연풍향교 / 延豊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에 있는 향교. 1515년(중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 6·25사변 때 명륜당이 소실되었으며, 1978년에 대성전을 중수하고 1979년에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현존
-
연풍호 / 延豊湖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안주군(지금의 안주시)와 개천군에 걸쳐있는 호수. 넓이 15.02㎢, 둘레 89.3㎞, 길이 16㎞, 너비 0.8㎞이다. 이 호수는 평안남도 지역의 관개를 목적으로 1956년 5월에 완공되었으며, 대동강의 물을 기본 수원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청천강의 물을 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