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연등회” 에 대한 검색결과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

사전(97)

  • 답사행가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문종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내용] 『고려사』악지(樂志)에 1073년(문종 27) 2월 을해에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진경(眞卿) 등 13인이 답사행가무를 ()에서 공연하기로 임금에게 허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訓要十條』에 의거하여 가 거국적인 행사로서 성대하게 시행되었다. 고려 초기에는 정월 15일에 연등이 있었으며, 정월 15일의 연등이 987년(성종 6) 10월에 정회(停會)되었다가 현종 때 2월 15일로 복설해서 그 뒤 고려멸망 때까지 열렸다. 이 행사에 관한 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국가적 행사로 자리잡은 불교행사.
    정의신라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국가적 행사로 자리잡은 불교행사.[두산백과] | 문광부표기Yeondeunghoe | MR표기Yŏndŭng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B3_D_0071 풍속 樂聲轟轟 高麗 補閒 D_07_01_69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6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6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일반용어 아 () 【정의 및 이칭】 ()는 등불을 밝히고 부처에게 복을 비는 불교적 성격의 행사로, 불교가 토착 종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창출된 의례이다. 【유래 및 역사】 석가의 공덕을 찬양한 초기 소승경전에 연등 공양에 관한 기록들이 발...
    대분류일반용어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고서·고문서(5)

  • 3705 중국 총서 전송문 056 기타 全宋文6350 要序 達摩西來 不立文字 直指人心 見性成佛 只要當人具決定志 有大力量 不思前算後 直下一刀兩斷 到頂到底 無第二見 無第二人 便與從上佛祖無異無別 自曹谿而下 得其傳者千有餘數 凡垂一言半句 如同電拂...
    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 車及隣里品官等牛隻。陵軍十一名、塋洞奴三名、京中婢夫數名、石年‧石萬‧莫山‧金玉同‧安訥隱同‧尹貴助。無事載輸, 乃樹之一隻。未及畢造, 立而正之。○延佸、金川、鄭光祖及品官子弟等來見去。○姊氏奴千年來問而去。 1536년 5월 11일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來見之。城主遂登亭, 以馬致民, 民乃往參重九席。衙子弟與監校官李榮、生員李泰集, 乃作重九宴。吾亦愁憂中, 盡量飮酒。牧伯次板上韻贈民, 夜深辭退, 不飯而宿。○金宗連現牧使許退云, 辭去。○子婦乳瘡未合。○二道遺名日餠、酒、雞。○李璈來謝, 蒙力免笞解去云云。 1551년 9월 ...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垂盡매 王氏가 代興니 五百年 高麗朝 松京이 都城이라 尹瓘의 遠征이며 崔瑩의 大經綸은 百代의 快擧이니 永世傳美 것이오 姜邯贊의 武勳이며 李奎報의 文學이며 鄭夢周의 大道義야 언젠들 니즈리만 鄭仲夫의 긔운 부림 이 사이에 快여라 八關會  繁華도 결갓다 仙李...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古國이오 寒烟四十 王陵이라 興亡을 각니 그 아니 셔허가 敬順王 歸服 後에 王氏의 高麗로다. 松京에 建都니 五百年 享國니 엇지야 末世風俗 尙佛은 무 일고 城內에 老大峰은 禮佛形이 아니런가 上元에  繁華도 暫間이라 松岳에 山이 울고 三角山에 돌이 나니...
    구분잡가 | 편저자이왕직아악부

기초학문(1)

  • 조선시대 의 존폐와 불교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9042 한국연구재단 한국불교연구원 2012 조선시대 의 존폐와 불교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멀티미디어(1)

  • 포,무신도(민화동양화) 4주차. 샤마니즘과무속2:무가개괄,무속사상/풍류도와선(도교와구분(옥추경)) 5주차. 민간신앙가정신앙(애니미즘) 6주차. 민간신앙마을신앙(마나이즘) 7주차. 불교,원효와의상,탈춤과중(사당패-안성바우덕이) 8주차. 성리학,종묘제례악과국행의례(민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불교]

    불교의례 가운데 하나. 등공양을 주요 의례절차로 한다. 등은 어두운 무명을 제거하여 지혜의 밝은 광명을 비추고자 하는 하는 염원을 나타낸다. 특히 <법화경> 약왕보사살본사품에는 등공양의 공덕이 무량하고 위대함을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 는 신라시대부터 열렸을 것으

  • 답사행가무 / 踏沙行歌舞 [예술·체육/무용]

    고려 문종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고려사』악지(樂志)에 1073년(문종 27) 2월 을해에 교방여제자(敎坊女弟子) 진경(眞卿) 등 13인이 답사행가무를 ()에서 공연하기로 임금에게 허락을 얻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 만등회 / 萬燈會 [종교·철학/불교]

    등공양(燈供養)을 하면서 행하는 불교의식. ()와 맥락을 같이 하는 행사로서, 보다 많은 등을 공양하면 큰 공덕을 쌓게 된다는 데서 이 행사가 유행하게 되었다. 만등회라 하여 1만개의 등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등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시대

  • 관등놀이 / 觀燈─ [생활/민속]

    사월초파일에 석가의 탄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등에 불을 밝혀 달아매는 행사. 통일신라시대부터 행하였으나, 성행된 것은 고려조에 들어와서이다. 10세기에 고려 태조가 등놀이를 포함한 팔관회와 를 국가적으로 장려하자, 이 행사는 고려조의 전체 시기를 통하여 온 나라의

  • 비신장군 / 備身將軍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시 의장행렬에 참여하던 무반직의 하나. ≪고려사≫ 여복지 의위조를 보면, 국왕이 사찰에 행차하는 경우의 법가의장에서는 천우비신장군·비신장군 각 4인이 자갑의를 입고, 장도를 차고, 기를 들고, 말을 타고 좌우에 섰으며, 때 봉은사의 진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