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단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8)
- 연단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에서는 연금술보다는 불로장생의 약, 즉 단을 구하려는 노력으로 연단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역사에서는 연금술은 물론 연단술도 별로 발달한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연단술은 원래 도교의 근본사상을 이루는 부분이기도 하여 우리 나라의 도교사(道敎...
- 연단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로장생의 약으로 믿었던 단(丹)을 만드는 기술의 하나.정의불로장생의 약으로 믿었던 단(丹)을 만드는 기술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eondansul | MR표기yŏndans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州中醫學院, 1983) 『中國煉丹術輿丹葯』(四川 人民出版社, 1981)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은과 유황을 고아서 결정체로 만든 약. [내용] 맛이 달고 온(溫)하며 독이 없고, 곽란과 경기 등에 쓰이는 한약재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수은과 은주(銀朱) 및 영사와 같은 수은화합물들이 불로장생을 추구하던 연단술(練丹術)에서 일찍부터...
- 종유(鐘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물성 약재는 고려시대 이전에 동아시아 연단술(鍊丹術)의 영향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후 점차 부작용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면서 사용량은 점차 줄어들었고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본초강목(本草綱目)』상위어약재(藥材), 석종유(石鐘乳)
고서·고문서(2)
- 歷史輯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丁巳]十二年[周惠王十三年]春三月甘露降于宮苑羣臣進頌王謙讓不受◯冬十月北狄酋長吉利都頭來朝王賞賜而送之 [壬戌]十七年[周惠王十八年]王有疾屢月不視朝有漂海人伯一淸者自言周人得軒轅煉丹術有回生延壽之妙訪東海神山而來羣臣聞而異之引一淸見王請試其術王曰人之壽夭不在天乎遂却之旣而王昇遐太子孝卽位是爲...서명歷史輯略 | 자료명朝鮮記
- 大東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朝鮮懷遠之化駕於虞商逈矣故特書以美之 [正義]凡正統之世來朝曰某來朝書美德敎誕敷而遠人來服也 [壬戌]十七年[周惠王十八年, 日本神武天皇二年, 西曆紀元前六百五十九年]周人伯一淸進煉 丹方 王有疾屢月不視朝有漂海人伯一淸自稱周人以爲學軒轅煉丹術於華山[在支那陜西省]道士訪東海神山而來有回生延壽之術...서명大東歷史 | 자료명後朝鮮紀
기초학문(2)
- 상청파 연단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우진, 게재일 : 201660497 정우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상청파 연단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형, 게재일 : 201816746 김우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8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https://www.krm.or.kr/krm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1)
- 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觀所緣緣述論疏 관소연연술론소 유통서지 觀所緣緣述論疏 1 卌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대표표제어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 대표서명觀所緣緣述論疏 | 한글서명관소연연술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1)
-
연단술 / 燃丹術 [종교·철학/도교]
불로장생의 약인 단을 만드는 기술. 연단술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금속을 이용해서 불로장생의 약을 구하려는 기술이다. 연단술은 중국에서 발달하였다. 연단술은 내단과 외단으로 나누인다. 진나라 갈홍의 <포박자>가 외단법의 고전이다. 위백양의 <주역참동계>가 내단법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