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단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연단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에서는 연금술보다는 불로장생의 약, 즉 단을 구하려는 노력으로 연단술이 크게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역사에서는 연금술은 물론 연단술도 별로 발달한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연단술은 원래 도교의 근본사상을 이루는 부분이기도 하여 우리 나라의 도교사(道敎...
- 연단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로장생의 약으로 믿었던 단(丹)을 만드는 기술의 하나.정의불로장생의 약으로 믿었던 단(丹)을 만드는 기술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yeondansul | MR표기yŏndansu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州中醫學院, 1983) 『中國煉丹術輿丹葯』(四川 人民出版社, 1981)
- 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수은과 유황을 고아서 결정체로 만든 약. [내용] 맛이 달고 온(溫)하며 독이 없고, 곽란과 경기 등에 쓰이는 한약재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수은과 은주(銀朱) 및 영사와 같은 수은화합물들이 불로장생을 추구하던 연단술(練丹術)에서 일찍부터...
- 종유(鐘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광물성 약재는 고려시대 이전에 동아시아 연단술(鍊丹術)의 영향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후 점차 부작용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면서 사용량은 점차 줄어들었고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본초강목(本草綱目)』상위어약재(藥材), 석종유(石鐘乳)
기초학문(2)
- 상청파 연단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우진, 게재일 : 201660497 정우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교문화학회 2016 상청파 연단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형, 게재일 : 201816746 김우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8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https://www.krm.or.kr/krm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1)
- 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觀所緣緣述論疏 관소연연술론소 유통서지 觀所緣緣述論疏 1 卌紙 大小乘經律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대표표제어관소연연술론소(觀所緣緣述論疏) | 대표서명觀所緣緣述論疏 | 한글서명관소연연술론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1)
-
연단술 / 燃丹術 [종교·철학/도교]
불로장생의 약인 단을 만드는 기술. 연단술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금속을 이용해서 불로장생의 약을 구하려는 기술이다. 연단술은 중국에서 발달하였다. 연단술은 내단과 외단으로 나누인다. 진나라 갈홍의 <포박자>가 외단법의 고전이다. 위백양의 <주역참동계>가 내단법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