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3,3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4,263)
사전(168,855)
- 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구려시대의 승려. [내용] 고구려 연가(延嘉) 7년에 낙랑동사(樂良東寺)의 주지(主持)인 경(敬)의 제자로서 스승 및 사제(師弟) 40인과 더불어 현겁(賢劫)의 천불(千佛)을 만들어 유포하는 불사를 추진하였다. 그...
- 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종이에 가는 댓가지[竹骨]를 붙여 실로 꿰어 공중에 날리는 놀이 용구. [내용] 바람을 이용하여 하늘에 띄우는 민속놀이 용구이다. 연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사기≫ 열전(列傳...
- 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왕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내용] 불교의식에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원래 연과 여 (輿)는 구별이 있어, 연은 임금이 타는 것으로 밑에 수레를 달아 말이 끌게 되어 있고, 여는 사람이 어깨에 메고 다니는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 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연막(蓮幕). 막부(幕府)의 미칭(美稱). 남제(南齊) 때 장군 왕검(王儉)의 막부를 연화지(蓮花池)라고 일컬은 고사에서 유래함. 李安興令蓮卽展靑左謝書, 김정희(金正喜), 33-61 (봉투)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연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 왕이나 왕비, 세자, 세자빈 등이 사용하였다. 왕실의 가마를 지칭하는 연(輦)과 함께 쓰인 말로, 연(輦)이 지붕이 있는데 비해 여(輿)는 지붕이 없다. 궁궐 안에서는 여를 타지만 정전바깥으로 나갈 때에는 지붕이 있는 가마인 연(...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단행본(416)
- 燕行錄硏究論集 [중국 내 최고 수준의 '인문한국학' 교육연구모델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저자 : 장백위 ... | 출판사 : 鳳凰出版社 | 출판일 : 201612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공적 연금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김도형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31027대다수 선진국에서 공적 연금은 지출 비중이 가장 큰 단일 정부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이다. 그뿐만 아니라, 다수의 공적 연금 조항들은 사람들의 노동 공급, 저축과 같은 핵심적 경제적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적 연금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는...
- 中朝關係硏究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장소문... | 출판사 : 中國文化大學華岡出版部 | 출판일 : 2016.02.01유형단행본
- 와룡학술강연집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전영... | 출판사 : 사회과학저서출판사 | 출판일 : 20150201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 倭語類解硏究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저자 : 정광... | 출판사 : 臨川書店 | 출판일 : 201601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논문(422)
- 고은 시 번역 연구 [류블랴나의 한국학 발전 방안 연구 - 신설과목 개설 및 교재 개발 (문학을 중심으로) | University of Ljubljana (University of Ljubljana)]저자 : Eva VUČKOVIČ | 게재정보 : Acta Linguistica Asiatica
- 국내 한국어교육 양적 연구 통계 기법 사용의 동향과 제안점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김중섭 | 게재정보 : 한글
- 2017년 중국학계의 고구려 및 발해 연구 목록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정경일 | 게재정보 : 고구려발해연구유형논문
- 조선어 관계단문구조 언어유형의 특징 분석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최연희, 안펑춘 | 게재정보 : 동강학간유형논문
- 2019년 북한학계의 고구려 및 발해사 연구 목록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정경일 | 게재정보 : 고구려발해연구유형논문
고서·고문서(582,513)
- 蜒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40_0560 蜒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煙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40 詩集 卷四 ITKC_MP_0597A_0040_010_0310 煙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권차명詩集 卷四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634 창가 羅馬字 新編唱歌集 22033 1915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 연 〈mn〉오선보, 가사가 반복해서 기록됨〈/mn〉 〈#40〉 [ 一 ] 연아 연아 올너라 부는 바람 잘 밧어 구름지 올너라 하날지 올너라. [ 二 ] 저것 저...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5668 창가 普通學校唱歌書 第一學年用 22041 1920 朝鮮總督府 凸版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井上源之丞 연 〈mn〉오선보 있음〈/mn〉 〈#4〉 [ 一, ] 연아 연아 올너라 부는 바람 잘 바더 구름지 올너라 하날지 올너...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 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6224 창가 普通學校 補充唱歌集 22064 1926 朝鮮總督府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朝鮮總督府 井上主計 연 〈#6〉 [ 一, ] 연아 연아 올나라, 부는 바람 잘 바다, 구름지 올나라, 하날지 올나라. [ 二, ]...구분창가 | 편저자朝鮮總督府
구술자료(17,092)
- 연산군과 최연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에게 다른 이야기를 청했더니, “아, 그란디 이야기를 나만 할 것이 아이라 교수님 이야기도 듣고 싶구만.” 조사자가 며느리 방귀 뀌는 이야기를 짤막하게 들려 주었더니 박장대소를 했다. 이런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청하자, “교수님이 나보다 낫구만 뭣 할라고….”...조사일시1983-02-04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 제보자김원채
- 연분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박헌이
- 연분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이기술
- 연군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8-02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연초면 | 제보자김정옥
- 연년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락노인들이 모이는 사목제(四睦祭)에 나왔다가 노래를 불렀다.*조사일시1980-02-27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 제보자변극문
기초학문(72,442)
- 연쇄극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희문, 게재일 : 200013771 조희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영화학회 2000 연쇄극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3ffde90유형논문 | 게재일2000
- 燕巖學派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오수경, 게재일 : 199901248 오수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1999 燕巖學派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8b7afda유형논문 | 게재일1999
- 한국어 연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근석, 게재일 : 200611538 임근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06 한국어 연어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유형논문 | 게재일2006
- 陽羨派 詞論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현석, 게재일 : 200008261 신현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인문학회 2000 陽羨派 詞論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5유형논문 | 게재일2000
- 도와 차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원재, 게재일 : 200206067 박원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비교문학회 2002 도와 차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5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127,400)
- 민세안재홍전집 : 朝鮮의新認識에의精進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867 1935 1 15 1 1 安在鴻 안재홍 新年의祈願 朝鮮의新認識에의精進 잡지 신동아 39호,5권1호 생활문 사회 직접자료 6권 新年 B19350115신동02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連日慶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원유회난 참졍대신이 쥬무야 외각국 신를 쳥야 경츅엿고 작일에난 궁부대신이 쥬무야 졍동손부인집에 만찬회를셜고 외국대관을 쳥야 연회경츅엿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忘年宴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하오열시반에 일본인 구락부에셔 젹십샤 경셩지부 망년회[무근를 이져바리 회)를 셜고 한일량국 고등관인을 다슈히 쳥요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2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蓮峯設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고문관 목하뎐씨가 작일 하오일시에 련화봉 민병셕씨 졍에 연회 셜하고 문무 각대관을 청연하엿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摠長鍊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에 원슈부쟝관들이 홍졔원에 나가셔 방포며 연죠엿다더라게재일1902년 3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4,283)
- 18세기 중반 연(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28_18세기_중반_연(蓮) 경제_1728_18세기_중반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연[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820_16세기_초반_연[蓮] 경제_875_16세기_초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7세기 중반 연(鉛)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7세기 중반 O/X 없음 동국여지지 없음 경제_1210_17세기_중반_연(鉛) 경제_1210_17세기_중반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동국여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이 영상은 1948년 4월 북한 평양의 모란봉극장에서 남북한 제 정당 사회단체 대표들의 참석 하에 개최된 남북연석회의를 소개하고 있다. 영상 초반부에는 민족의 자주독립과 통일에 있어 남북연석회의의 의의가 안내되고 있으며 이어 김월송의 개회로 주석단을 선출한 후 본격적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8년 5월 | 제작북조선 국립영화촬영소
- 전염병을 연구하는 국립중앙방역연구소의 업무를 소개하는 영상이다. 뇌염, 콜레라, 발진티푸스, 천연두 등 전염병 연구하는 장면과 전염병 예방약을 포장하는 장면, 그리고 중독 문제를 연구하는 검정실과 사용한 기구를 소독하는 준비실의 모습이 뉴스에 담겨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6년 9월 9일 | 제작공보처
연구결과보고서(133)
- 제 5 공화국 연구 [제 5 공화국 연구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연변대학 결과보고서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현대 고려인 인물 연구 [현대 고려인 인물 연구 | 동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고종시대 인물연구 [고종시대 인물연구 | 청암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120,707)
- 김연연;金娟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41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60면 김연연;金娟娟 제12회 1946년 3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연학년;延鶴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095 일본 東京 東京高等商業學校 東京高等商業學校一覽 大正8年~大正9年 1919―12―18 131면 연학년;延鶴年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商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연귀년;延龜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798 일본 東京 東京高等工業學校 東京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2年~大正3年 1913―12―22 74면 연귀년;延龜年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연귀년;延龜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802 일본 東京 東京高等工業學校 東京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3年~大正4年 1914―12―20 68면 연귀년;延龜年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연귀년;延龜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806 일본 東京 東京高等工業學校 東京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4年~大正5年 1915―12―20 64면 연귀년;延龜年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68)
-
근대 장애인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정창권 | 고려대학교(조치원캠퍼스) | 2014 | 국내 | 충남
-
한국의 소프트 파워와 하드파워에 대한 재고: 사회과학과 인문학에 있어서 동아시아의 국제화에 대하여
한국학 세계화 랩사업 | Rhacel Parrenas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2015 | 국외 | 해외
-
학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전통의 백미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Miriam Lowensteinova | Charles University | 2015 | 국외 | 해외
-
연변대학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김강일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 2009 | 국외 | 해외
-
남경대학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 윤해연 | 南京大學 (Nanjing University) | 2008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8,234)
-
연 / 輦 [과학기술/과학기술]
왕실에서 사용하는 지붕이 있는 가마. 왕이나 왕비, 세자, 세자빈 등이 용하였다. 왕실의 가마를 지칭하는 연과 함께 쓰인 말로, 연이 지붕이 있는데 비해 여는 지붕이 없다. 궁궐 안에서는 여를 타지만 정전바깥으로 나갈 때에는 지붕이 있는 가마인 연을 이용했다. 또
-
남연년 / 南延年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두명이다.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727에 청주영장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다.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난을 진압하던 중, 청주성이 함락되면서 절도사 이봉상과 함께
-
경연 / 經筵 [역사/조선시대사]
국왕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는 일. 국왕에게 경사(經史)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실제로는 왕권의 행사를 규제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
굉연 / 宏演 [문학/한문학]
저술하였고, 원나라 사람 가수(可遂)가 지은 『장승법수(藏乘法數)』의 고려 간행본에 서문을 썼다. 굉연은 당시 시승(詩僧)으로 활동하였다. 『동문선』에 시 10수가 실려 있고, 『대동시선(大東詩選)』에 2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1수는 새로운 것이다. 이색(李穡)과 긴밀하
-
김연 / 金演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부장 두문,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뛰어나 그의 백형 길과 재종형 면과 합하여 김씨 삼군자라 칭송되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면이 조종도·곽준·문위 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