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역학훈도”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 각 1인씩을 두었다. 조선 후기에는 제포의 왜학훈도를 혁파하고 대신 경상도 통영 및 전라도 좌수영‧우수영 그리고 제주에 한학‧왜학훈도 각 1인씩을 두었다. 또, 함경도와 평안도의 안주‧선천‧강계에 각 1인의 한학훈도와 의주에 여진학훈도 1인을 증치하...
  • 장응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도 감히 함부로 토색질을 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1583년(선조 16)에 의주의 ()로 부임하여 갔는데, 그 곳 목사가 일찍이 달밤에 통군정(統軍亭)에 올라 시를 짓는데 손에 잡은 술잔이 채 식기도 전에 끝을 맺자 즉시 부(賦)로 답...
    이칭별칭 여원(汝元)
  • 훈도(訓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훈도 훈도 訓導 관상감(觀象監), 사역원(司譯院), 전의감(典醫監), 팔도(八道), 형조(刑曹), 호조(戶曹) 산학훈도(算學訓導), (), 율학훈도(律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상위어관상감(觀象監), 사역원(司譯院), 전의감(典醫監), 팔도(八道), 형조(刑曹), 호조(戶曹) | 하위어산학훈도(算學訓導), 역학훈도(譯學訓導), 율학훈도(律學訓導), 의학훈도(醫學訓導), 지리학훈도(地理學訓導), 천문학훈도(天文學訓導), 한학훈도(漢學訓導)
  • 중강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分定)하고, 별장(別將)을 따로 정해 의주에서 모여 기다렸다가 기일이 되면 별도 차사원(差使員)이 ()와 함께 중강에 가서 봉성통관(鳳城通官)과 값을 정하고 서로 교환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들은 점점 해이해졌다. 반면 사상은 성행...
  • 훈도(訓導)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學) ∙ 왜학(倭學), 혜민서(惠民署)의 의학(醫學) 훈도가 있고, 지방에는 종9품의 ()가 있다. 1466년 4부학당을 4학으로 개칭하고 훈도관을 훈도라 개칭하였다. 지방향교에도 교수와 훈도를 두어 교육하였다. 법제도 정비에 따른 외국어로는 한학 ‧ 청...
    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12)

  • 75079 B075079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1月 11日_019 ○吳挺緯, 以義禁府言, 啓曰, 東萊府使李萬雄, 崔裕立, 別差韓時說, 竝爲先拿問事, 啓下, 而政院, 以交代後拿來事, 入啓蒙允矣。 新府事[使]旣已辭朝, 依例發遣府書吏, 趁卽拿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141 B07514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1月 11日_019 ○吳挺緯, 以義禁府言, 啓曰, 東萊府使李萬雄, 崔裕立, 別差韓時說, 竝爲先拿問事, 啓下, 而政院, 以交代後拿來事, 入啓蒙允矣。 新府事[使]旣已辭朝, 依例發遣府書吏, 趁卽拿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6105 B066105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0月 30日_007 有害事理, 後弊亦不可不慮, 府使李萬雄及別差等, 竝爲先拿問, 在所不已, 其代, 令該曹·該院, 速爲差出, 令赴任, 交代後拿來, 而譯官金謹行, 以別遣首譯, 少無擔當盡力之狀, 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6137 B066137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顯宗 0年 10月 30日_007 有害事理, 後弊亦不可不慮, 府使李萬雄及別差等, 竝爲先拿問, 在所不已, 其代, 令該曹·該院, 速爲差出, 令赴任, 交代後拿來, 而譯官金謹行, 以別遣首譯, 少無擔當盡力之狀, 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早欲請罪, 而姑觀其畢竟如何矣。 今見東萊府使李萬雄, 本月二十成貼狀啓, 則成般乃曰, 俺等出此久滯之意, 必已狀啓, 待朝廷回下云云。 朝廷旣知此事, 而猶視尋常, 非但有害事理, 後弊亦不可不慮, 府使李萬雄及別差等, 竝爲先拿問, 在所不已, 其代, 令該曹·該院, 速爲差出, 令赴...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한성의 사역원 및 지방 관서의 외국어 통역 및 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던 종9품 관직. 사역원에 한학훈도 4인, 몽학·왜학·여진학훈도 각 2인씩을 두었고, 부산과 제포에 왜학훈도 1인, 평양과 의주에 한학· 각 1인씩을 두었다. 조선 후기에는 제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