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역어유해” 에 대한 검색결과 4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0)

사전(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 책의 편찬에 참여한 김지남의 손자 홍철(弘喆)에 의하여 그 보편(補篇)이 1775년(영조 51)에 편찬되어 ≪補≫라는 이름으로 간행되었다. ≪≫가 간행된 뒤에 사역원 사학, 즉 한학‧몽학‧왜학‧청학에서 각기 유해라는 이름의 유별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682년 사역원에서 편찬한 중국어 어휘사전.
    정의1682년 사역원에서 편찬한 중국어 어휘사전.[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eogeo yuhae | MR표기Yŏgŏ yuh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5년(영조 51)에 김홍철(金弘喆)이 『()』를 보궐(補闕)하여 간행한 책. [내용] 1권 1책. 목판본. 이 책의 끝에 있는 발문에 의하면, 『』가 간행된 지 100년의 세월이 흘러 고금(古今)의 차이와 시용...
  • 射垜子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射垜子 射垜子 사타자 솔 다 살 쏘다 敎閱 군 射垜子[○솔 다]( 상:20b) _상_20b 『』上:20b, 4행 신은애
    현대음사타자 | 현대대응어살 쏘다 | 키워드
  • 中了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中了 中了 중료 맛다 명중하다 敎閱 군 中了[○맛다〇一云 着了]( 상:20b) 상_20b 『』上:20b, 5행 신은애
    현대음중료 | 현대대응어명중하다 | 키워드

고서·고문서(384)

기초학문(2)

  • ‧補》상업어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1
    59021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1 《‧補》상업어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 ‘買賣’門商業語彙의 분류와 풀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0
    39606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0 ≪≫ ‘買賣’門商業語彙의 분류와 풀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5)

  • / [언론·출판/출판]

    편찬하게 한 것으로 중국인 문가상·정선갑 등의 수정을 받아 1690년에 역시 사역원의 정창주·윤지흥·조득현으로 하여금 간행하게 하였다. 이 책의 편찬에 참여한 김지남의 손자 홍철(弘喆)에 의하여 그 보편(補篇)이 1775년(영조 51)에 편찬되어 ≪

  • 보 / [언어/언어/문자]

    1775년(영조 51)에 김홍철(金弘喆)이 『()』를 보궐(補闕)하여 간행한 책. 1권 1책. 목판본. 이 책의 체재는 『』에 비하여 표제어에 구(句)와 절(節)이 더 많이 보인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국어사의 자료로서도 『』와 비교할

  • 동생 / 同生 [사회/가족]

    같은 어버이에게서 태어난 아우와 손아래누이, 또는 같은 항렬에서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사람을 일컫는 친족용어. ≪ ≫에는 친동생을 ‘동아’라 하였다. 아우와 손아래누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남동생’·‘여동생’이라 일컫는다. 남동생을 한자말로

  • 목도 / [경제·산업/산업]

    무거운 물건이나 돌덩이를 밧줄로 얽어 어깨에 메고 옮기는 일, 또는 그 일에 쓰는 둥근 나무 몽둥이. 목도채는 굵고 납작하며 길이는 1m쯤 된다. 1690년에 간행된 『()』에서는 목도채[扁擔]를 ‘짐메 나모’로 새기고 1779년경에 나온 『한한청문감(

  • 팽이치기 / [생활/민속]

    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밖에 조선조 숙종 때의 저작인 ≪ ≫나 영조 때의 ≪한청문감 漢淸文鑑≫에도 이에 관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들 문헌에는 ‘핑이’로 기재되어 있다. 팽이는 박달나무·대속나무와 같이 무겁고 단단한 나무나 소나무의 관솔 부분을 깎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