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여유당전서” 에 대한 검색결과 9,3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70)

사전(16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는, ≪목민심서 牧民心書≫‧≪흠흠신서 欽欽新書≫‧≪경세유표 經世遺表≫‧≪아언각비 雅言覺非≫‧≪이담속찬 耳談續纂≫‧≪강역고 疆域考≫‧≪마과회통 麻科會通≫ 등이 있다. [서지적 사항] 신조선사판 ≪≫를 저본으로 한 영인본에는 2종이 있다. 하나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문집.
    정의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문집.[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eoyudang jeonseo | MR표기Yŏyudang chŏ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소학지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이 『소학』 가운데 의문점이 있거나 난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붙이고 자신의 견해를 밝힌 책. [내용] 1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의 「대학강의」에 수록되어 있는데 규장각 도...
  • 단궁잠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상례외편(喪禮外編)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공의중자지상단궁문언(公儀仲子之喪檀弓免焉) 등 44항목, 권2에 공자지상문인의소복(孔子之喪門人疑所服) 등 27항목, 권3에 송양공장기부인(宋襄公葬其夫人) 등 34항목, 권4에 유...
  • 노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휘(李行輝) 등과 함께 먼 변방에 유배시킬 것을 상소하자, 이로 인하여 위원(渭原)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저서로는 한문소설로 「화사(花史)」를 지었다. 『호보(號譜)』 『(...
    이칭별칭 여림(如林), 신중(愼仲)| 한원(漢源)

단행본(38)

  • 정본 2-문집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文集 卷八 (1)對策 2.文集 卷九 (1)策問 (2)議 (3)疏 3.文集 卷十 (1)原 (2)
  • 정본 3-문집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文集 卷十三 (1)序 (2)記 2.文集 卷十四 (1)記 (2)跋 (3)題 3.文集 卷十五 (1
  • 정본 4-문집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詩文集 第十八卷 (1)贈言 (2)家誡 (3)書 2.詩文集 第十九卷 (1)書 3.詩文集 第二十卷 (1)書
  • 정본 5-잡찬집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1.附 雜纂集 一 (1)文獻備考刊誤 2.附 雜纂集 二 (1)雅言覺非 (2)耳談續纂 3.附 雜纂集 三 (1)小學珠串
  • 정본 6-대학공의 외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
    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
    1.大學公議 (1)大學公議 一 (2)大學公議 二 (3)大學公議 三 2.大學講義 3.小學枝言 4.心經密驗 5.中庸自箴

고서·고문서(9,161)

  • 公兄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530 公兄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定本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都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10 補遺○題雅言覺非後 ITKC_MP_0597A_1710_010_0050 都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定本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題雅言覺非後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10 補遺○題雅言覺非後 ITKC_MP_0597A_1710_020_0020 楡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定本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題雅言覺非後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牛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10 補遺○題雅言覺非後 ITKC_MP_0597A_1710_020_0030 牛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定本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題雅言覺非後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一出令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40 補遺○備禦撮要 ITKC_MP_0597A_1840_020_0130 一出令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定本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備禦撮要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2)

  • 민세안재홍전집 : 茶山漢詩와史話片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54 1934 12 15 1 1 逵堂處士 안재홍 茶山硏究 (1) 茶山漢詩와史話片片 詞藻에빗나는先生의人格 잡지 신조선 7호 35~44쪽 논문 역사 직접자료 4권 茶山, , 李蘖, 李瀷,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雅號를通하여본茶山先生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858 1934 12 15 1 1 安在鴻 안재홍 茶山硏究(2) 雅號를通하여본茶山先生 와그表題의解說 잡지 신조선 7호 45~49쪽 논단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B19341215신조05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연구결과보고서(2)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의 저술을 총정리한 문집. 154권 76책. 활자본. 1934∼1938년에 걸쳐 신조선사에서 발행되었다. 이 책의 편자는 외현손 김성진, 정인보와 안재홍이 교열에 참여하였다. 제1집은 25권 12책으로 시문집, 제2집은 48권 24책으로 경집,

  • 아방강역고 / 我邦疆域考 [지리/인문지리]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로 책명을 바꾸어 황성신문사(皇城新聞社)에서 활자본 9권으로 간행하였다. 그 뒤 1936년에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활자본으로 간행된 154권 76책의 『()』 제6집 지리집에 『대동수경(大東水經)』과 같이 『강역고(疆域考)』

  • 단궁잠오 / 檀弓箴誤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예기』 단궁편의 상례 내용에서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대하여 논변한 예서. 6권 2책. 필사본. 1802년(순조 2)에 편정(編正)하였다. 『()』 상례외편(喪禮外編)에 수록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공의

  • 물명고 / 物名攷 [언어/언어/문자]

    00개 정도의 표제어가 실려 있는데, 초목류(草木類)·조수류(鳥獸類)·충어류(蟲魚類) 등 18개의 부류로 분류되어 있다. 이 『물명고』는 아마도 정약용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정약용의 『()』에 필사본 『청관물명고(靑館物名考)』가 전하고 있고 진동혁(

  • 대학강의 / 大學講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대학』의 강의를 정리하여 1936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1책. 『()』 제2집 제2권에 있다. 이 책은 저자가 1789년 28세 때 전시(殿試)에 차석으로 합격하여 경의진사(經義進士)가 되자, 정조가 희정당(熙政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