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여우길” 에 대한 검색결과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1)

사전(12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7(명종 22)∼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상부(尙夫), 호는 치계 (稚溪, 痴溪). 첨정 세침(世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승지 숙(淑)이고, 아버지는 증 영의정 순원(順元)이...
    이칭별칭 상부(尙夫)| 치계(稚溪), 치계(癡溪)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586 인물 () 1567 163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상부(尙夫), 호는 치계(稚溪, 痴溪). 1591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병조정랑 ∙ 평안도도사...
    유형분류인물
  • 이재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許通)되어 1599년(선조 32) 정시문과에 장원하였다. 출신문벌이 천한 사람은 비록 과거에 급제하여도 관직을 주지 않고 승문원의 한이학관(漢吏學官)으로 삼았는데 그런 예에 따라 그도 한이학관이 되었다. 1606년(선조 39) 회답사(回答使) ()이...
    이칭별칭 여인(汝仁)
  • 다이렌지(大蓮寺)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111 유적 다이렌지(大蓮寺) 다이렌지 大蓮寺 가나가와현(神奈川縣) 오다와라시(小田原市)에 위치한 정토종(浄土宗) 사원. 1607년 정사 ()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정호관(丁好寬)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
    유형분류유적
  • 통유사(通諭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침략한 이후 외교가 단절되었는데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는 조선과의 국교를 수복하기 위해 조선에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하였다. 조선 조정에서는 1607년 () 등 사절을 일본에 파견할 때 통신이라는 칭호를 꺼리고 명나라에도 알릴 수 없다는 이유로 사신의 호칭을...
    유형분류개념용어

단행본(1)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고서·고문서(13)

  •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126권, 선조 33년 6월 23일 갑오 2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선조 33년 6월 23일 갑오(1600) 1600 惠山鎭 惠山 老 행정 ○持平洪遵·大司憲尹承吉·掌令ㆍ權慶祐...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야 進講케ᄒᆞ시고 關王廟ᄅᆞᆯ 建ᄒᆞ다 三十九年에 日本이 使ᄅᆞᆯ 遣ᄒᆞ야 求和ᄒᆞ거ᄂᆞᆯ 等을 遣ᄒᆞ야 報ᄒᆞ다 四十一年에 上이 昇遐[壽五十七]ᄒᆞ시니 世子琿이 立ᄒᆞ다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五十八節 日本請和
  • 68783 B068783 동래 東萊 정치행정 光海君日記 十年(1618) 六月 광해군일기_11006008_012 ○以柳公亮爲刑曹判書,李偉卿爲右承旨,李命男爲左副承旨,鄭逵爲右副承旨,金緻爲同副承旨,白大珩爲刑曹參議,金質幹爲判決事,李昌後爲全羅監司,爲公洪監司,朴慶新爲慶尙監司...
    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新撰初等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南海에셔 防禦ᄒᆞ야 西으로 向치 못ᄒᆞ게 ᄒᆞᆫ 功이 居最ᄒᆞ니라 舜臣은 맛참내 日軍에게 中丸ᄒᆞ야 卒ᄒᆞ니라 此後에 日將德川家康이 秀吉을 代ᄒᆞ야 執政ᄒᆞᆷ애 我國과 舊交을 回復코져ᄒᆞ야 使를 遣ᄒᆞ야 講和ᄒᆞ거날 等으로 ᄒᆞ야곰 此를 報ᄒᆞ니 自此로 使聘의...
    서명新撰初等歷史 | 자료명本朝紀續第三十九課
  • 1731년 서악서원(西岳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퇴계는 ‘서악정사’라는 현판을 써주었다. 이후 서악정사는 1623년(인조 1) 진사 최동언 등이 부윤 을 통해 조정에 사액을 청하였고, 조정에서는 서악서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서악정사에서 서악서원으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보...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567(명종 22)∼1632(인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세침 증손, 할아버지는 숙, 아버지는 순원, 어머니는 이영의 딸이다. 1591년(선조 24)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병조정랑, 평안도안무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