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여성제” 에 대한 검색결과 1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7)

사전(26)

  • 운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활자본. 영조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권5‧6인 제3책이 결본이다. 국민대학교 도서관에 유일본이 소장되어 있다. 권1∼3에 소차(疏箚) 75편, 서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5(인조 3)∼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희천(希天), 호는 운포(雲浦). 순원(順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우길(祐吉)이고, 아버지는 부사 이량(爾亮)이며, 어머니는 한...
    이칭별칭 희천(希天)| 운포(雲浦)| 정혜(靖惠)
  • 얼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위태로움. 小人情勢之.. 更加一層 尤異於前, (), 5-10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피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억지로 참여함. 論啓臺官 遭譴遞職 被參之人 復.其職決無是理, (), 5-10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하복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내려주신 답장. 상대방의 답장을 높여서 이르는 말. 謹伏承大監下覆書 伏切感慰, (), 5-10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79)

  • 210968 B210968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7年 3月 25日_002 ○海運判官, 漕運後入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10977 B210977 해운 海運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孝宗 7年 3月 25日_002 ○海運判官, 漕運後入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363 B048363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8年 3月 14日_013 ○傳于吏批曰, 前正言安塾, 大靜縣監除授, 前大靜縣監, 遞付京職, 以·蘇斗山爲副護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364 B048364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8年 3月 14日_013 ○傳于吏批曰, 前正言安塾, 大靜縣監除授, 前大靜縣監, 遞付京職, 以·蘇斗山爲副護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371 B048371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8年 3月 14日_013 ○傳于吏批曰, 前正言安塾, 大靜縣監除授, 前 大靜縣監, 遞付京職, 以·蘇斗山爲副護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25(인조 3)∼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순원 증손, 할아버지는 우길, 아버지는 이량, 어머니는 한효순의 딸이다. 이징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가 한백겸의 문인으로 영향을 받았고, 인조비인 인열왕후의 아버지 한준겸의 외손자로서 국척 관계에 있었다

  • 오명준 / 吳命峻 [종교·철학/유학]

    1662(현종 3)∼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달천의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의 딸이다. 우의정 명항의 형이다. 1694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에 척완의 세력이 팽배함을 탄핵하

  • 오명항 / 吳命恒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윤겸 현손, 달천 증손, 할아버지는 도융, 아버지는 수량, 어머니는 의 딸이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09년 교리를 거쳐 설서·사서 등을 역임하고, 이듬해 부수찬,

  • 도깨비굿 / [종교·철학/민간신앙]

    전라남도 진도군 일대에 전승되던 마을 의례. 여성들의 무속·유교적 제의로, 음력 2월 초하루에 행한 ‘하루달’이라는 도깨비 명절의 밤에 행한다. 전라도에는 마한시대부터 내려온 의가 있었다는 학설이 보편화되어 있다. 의인 도깨비굿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

  • 김진흥 / 金振興 [예술·체육/서예]

    )의 전결(篆訣)을 얻어 이를 꾸준히 연구하였다.마침내 38체(體)에 통달하여 전서(篆書)로 그 이름을 떨쳤다. 그가 쓴 것으로 『대학장구(大學章句)』·『전해심경(篆海心鏡)』이 간행되었는데, 송시열(宋時烈)·이서하(李瑞夏)·김만기(金萬基)·()의 서발(序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