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엄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릅 /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수평적으로는 전국에 분포하며, 한방에서는 수피를 채취하여 약재로 이용하는데 활혈.진통.소종에 효능이 있다.
    이칭별칭음나무
  • 신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읍에 있는 음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61호. 는 음나무의 이칭이다. 신흥읍 공원 안에서 자라며 떡갈나무‧잣나무 등의 나무와 더불어 자라고 있다. 주변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
  • 평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평산군 산성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88호. 는 태백산성 안의 해발 500m 둔덕진 곳에 있는 휴양각 마당에 있다. 태백산성은 고구려 때에 쌓은 성이고 나무는 1780년경부터 저절로...
  • 신방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신방리에 있는 군. [내용] 천연기념물 제164호. 면적 661㎡. 5그루가 현재 자라고 있다. 수령은 약 700년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18∼19m, 가슴높이둘레는 가장 큰 것이 5.4m, 4그루...
  • 청원강외면의음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청원군 강외면 공북리에 있는 . [내용] 천연기념물 제305호. 높이 8.5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4.5m이며, 가지는 동서로 21.2m, 남북으로 19.2m 정도 엉성하게 퍼져 있다. 나무의 나이는 700년...
    연계항목청원강외면의음나무(淸原江外面의음나무)

고서·고문서(10)

  • 어머니, 김씨, 80여세, 강원도, 원주군, 살다, 1949년, 소식, 원주군, 골, 이사, 큰녀동생, 조가, 58세, 원주군, 살다, 서울, 시집, 둘째동생, 53세, 원주군, 골, 륙촌오빠, 조씨, 68세, 일본, 명치대학, 정경부, 필업, 서울,...
    대표표제어어머니 | 성씨
  • 저, 조가, 60세, 1944년, 고향, 강원도, 원주군, 사림동, 떠나, 중국, 오게되, 1949년, 소식, 의하면, 어머니, 동생, 원주군, 판부면, 골, 이사, 제, 떠날때, 가정, 친척, 명함, 주소, 어머니, 김씨, 강원도, 원주군, 녀동생, 조가, 강원...
    대표표제어 | 성씨
  • 찾는, 사람, 조씨, 원주소, 강원도, 원주군, 찾을, 사람, 모친, 김씨, 80세, 큰여동생, 조씨, 58세, 충주, 시집, 서울, 산다, 들었, 작은여동생, 50세, 골, 륙촌오빠, 조씨, 67세, 1944년, 서울시, 명륜동, 살었, 1949년, 원주읍,...
    대표표제어찾는 | 성씨
  • 沖阿會同穆克登額嚴切究訊.將如何勾通販運私買違禁貨物·及是否尚有合夥逸犯.徹底根究.嚴行定擬.並將從前在獐子島私與朝鮮貿易之在逃奸民朱張兩姓·究出實在下落.獲.研訊彼時坐卡官兵等·有無賄縱脫逃情獘.至此案該管之邊門章京禮部贊禮郎吉蘭圖·署界官驍騎校達蘇泰·毫無知覺.非尋常失察可比.吉蘭圖·達蘇...
    출처전거『淸實錄』 仁宗睿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굿(초가망,넉)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신 가망이 아니시리 (올소이다) 허씨의 계쥬야 붓두막에 조그만 쥐야 (쥐로구료) 너히 부리가 엇더한 부리실가 (도아줍쇼) 대대로 텁석부리 것고 토산부리 것고 가시 것고 대츄나무 옹두라지 것구나(올소이다) 좌우정성 굽어보시니 업는 것은 만어 놋코 엇는 건 적엇구...
    구분잡가

구술자료(2)

  • 법<속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0-11-03 | 조사장소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 제보자김문현
  • 가시에 뒹굴어 집문서 지키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09. 2. 5(목)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상곡2리 안골내미길 35번지 | 제보자박복현

신문·잡지(1)

  • 쳥쥬군슈 김명슈씨의 치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 일은 일호도 업고 리민간에 포흠이 잇게드면 그 포흠진 사을 불너다가 안치고 로 발을 만드러셔 그 사을 그발에 말나고 호통소에 졍신이 아득게고 그 포흠진 사에게 친밀고 요부 사을 불너다가 그포흠진 사이 당 광경을 보게 며 은헤와 위염을...
    게재일1900년 1월 15일 | 기사분류기타

멀티미디어(3)

  • 18세기 중반 껍질[海桐皮]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8세기 중반 껍질[海桐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O/X 없음 여지도서 없음 경제_1727_18세기_중반_껍질[海桐皮] 경제_1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쥐열매[皀莢]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쥐열매[皀莢]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96_약재_15세기_중반_쥐열매[皀莢]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껍질[海東皮]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 고려대학교]
    15세기 중반 껍질[海東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560_약재_15세기_중반_껍질[海東皮]
    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주제어사전(3)

  • / Kalopanax pictus (THUNB.) NAKAI [과학/식물]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는 거목으로 군집성이 없는 수목이다. 수평적으로는 전국에 분포하며, 표고 100∼1,800m 사이에서 자라나 해발 400∼500m부근의 지대가 중심지이다. 어려서는 내음성이 있어서 다른 나무 밑에서도 천연

  • 신흥 / 新興─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흥군 신흥읍에 있는 음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61호. 신흥읍 공원 안에서 자라며 떡갈나무·잣나무 등의 나무와 더불어 자라고 있다. 주변의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충적토이며 모래메흙이다. 이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8.8℃이고 연평균 강수

  • 용수폭포 / 龍水瀑布 [지리/자연지리]

    계곡으로 흘러내린다. 시루봉 맞은 편에는 둥지봉이 있으며, 폭포 주변은 기암절벽으로 둘려 있고 바위틈과 골짜기에는 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이곳에는 400여 년 자란 를 비롯하여 단풍나무들이 자라고 있으며, 주위의 기암절벽과 어울려 경치가 아름답다. 폭포에서 흘러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