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언해태산집요”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方≫‧≪벽역신방 僻疫神方≫ 등과 함께 합본으로 영인, 출판하였다. 韓國醫學史 全(金斗鍾, 探求堂, 1966)
    연계항목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088-1호. 1608년 허준(許浚, 1546-1615)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醫書).
    정의보물 제1088-1호. 1608년 허준(許浚, 1546-1615)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醫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Eonhae taesan jibyo | MR표기Ŏnhae t’aesan chiby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학국어학 문헌 한국 조선 선조(宣祖) 성낙수 박종국 2014 허준(許浚) 내의원 1608년(선조 41) 1책 훈련도감자(訓鍊都監字) ...
  • 언해납약증치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언해하였다고 생각된다.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과 더불어 한의학의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옛날의 한글을 연구하는 데에도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 태산집요(胎産集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과 질환에 대한 전문 의서로, 허준이 조선전기에 편찬한 『태산집』을 전범으로 한글로 언해하여 간행한 책. [개설] 『()』는 허준이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하기 두 해 전인 1608년(선조 41)에 부인병과 산과(産科)에 관한 내용을...
    상위어잡학(雜學), 의학(醫學) | 관련어허준, 『태산집』, 산과(産科), 부인과(婦人科)

고서·고문서(1)

  • 문적략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허준 허준(1539~1615). 조선 중기 의관. 『동의보감』뿐 아니라 한글 번역이 달린 『』·『諺解救急方』·『諺解痘瘡集要』 및 『新纂辟溫方』·『辟疫神方』 등의 전염병 전문의서, 의학교재인 『纂圖方論脈訣集成』 등을 저술하여 조선의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
    대표표제어문적략 | 편명_제목문적략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1608년(선조 41)에 허준(許浚)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 간행한 산부인과 계통의 의서. 1권 1책. 목판본. 원래 1434년(세종 16)에 노중례가 편찬한 ≪태산요록≫ 2권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유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