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언양지석묘”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렷이 남아 있다. 는 현재 1기만 남아 있으며 상석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지석묘의 하부구조는 조사되지 않아 알 수 없으며 보존상태는 좋은 편이다. 원래는 ‘총’이란 명칭으로 경상남도 기념물 제25호였으나 해제되고, 행정구역 개편에...
    이칭별칭용바우|언양지석묘총(彦陽支石墓塚) | 연계항목언양지석묘(彦陽支石墓)
  • 울주군(울산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배‧사슴 등의 그림을 새겼으며, 고신라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명문도 있다. 언양읍 서부리의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2호)는 이 지역 최대의 지석묘이다. 두동면 은편리지석묘군은 모두 4기로 성혈이 새겨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 외에도 언양읍 송대...
  • 울산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삼남면의 방기리알바위(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0호) 그리고 언양읍성(彦陽邑城, 사적 제153호)등을 비롯한 다수의 불교유적과 유교유적이 다양하다.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는 삼남면 교동리에 언양향교가 있다. 서원으로는 1712년(숙종 38) 반구대 아래에 반...
    이칭별칭울산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2호. 언양에서 밀양방면으로 가는 도로변 아래쪽에 큰 바위처럼 우뚝 서 있는 지석묘로서 그 규모로 보아 경상남도 최대의 기반식지석묘라고 할 수 있다. 도로변에서 5m 정도 떨어진 밭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