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제훈서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어제훈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설명과 훈서, 그리고 가색편(稼穡篇)을 부록으로 하고 있다. 그 차례를 보면 성도교도해(性道敎圖解)‧성도교명해(性道敎銘解)‧성도교도설해 (性道敎圖說解)‧어제훈서언해(敬天, 愛民, 禮臣)‧어제가색편부(御製稼穡篇附, 御製原詩, 以頌奉和)‧권말 발문으로 되어 있다.
- 어제백행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 등과 함께 하나의 연관성을 가진다. 규장각 도서에 있으며, 1982년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한 바 있다. 어제백행원 / 본문 첫머리 17...
- 어제경민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가 ‘ㅣ’모음 뒤에서 비i계모음 뒤에서도 보인다〔어가 니며(9b), 경고가 거의 이경이 넘엇더라(10b)〕. 서울대학교 일사문고본으로 1982년 홍문각에서 『어제훈서언해(御製訓書諺解)』‧『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과 함께 한 책으로 묶어 영인하였다.
- 어제자성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술하였다. 끝에 영조의 소지(小識)가 있고 발문이 있으며, 고교신(考校臣) 13명의 직명을 기록하였다. 이 책은 ≪어제훈서언해 御製訓書諺解≫‧≪어제상훈언해 御製常訓諺解≫‧≪어제백행원 御製百行源≫ 등과 같은 종류로서, 이 시기 국어 특징을 밝히는 좋은 자료이다....
주제어사전(2)
-
어제훈서언해 / 御製訓書諺解 [언어/언어/문자]
훈서, 그리고 가색편(稼穡篇)을 부록으로 하고 있다. 그 차례를 보면 성도교도해(性道敎圖解)·성도교명해(性道敎銘解)·성도교도설해(性道敎圖說解)·어제훈서언해(敬天, 愛民, 禮臣)·어제가색편부(御製稼穡篇附, 御製原詩, 以頌奉和)·권말 발문으로 되어 있다. 『어제상훈언해』와
-
어제자성편언해 / 御製自省篇諺解 [언어/언어/문자]
점인 기(幾)에 대하여 말하고 역대 임금들의 치적의 선·악, 호(好)·불호(不好)를 자신의 마음에 비추어 109장에 걸쳐 서술하였다. 끝에 영조의 소지(小識)가 있고 발문이 있으며, 고교신(考校臣) 13명의 직명을 기록하였다. 이 책은 『어제훈서언해(御製訓書諺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