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제상훈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어제상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제상훈언해』도 『어제상훈』과 함께 1745년 간행되었다. 『어제상훈언해』는 한자 본문에 한글로 음과 토를 달고 한 항목마다 한자 본문 뒤에 한글 번역문을 한 칸 내려서 싣고 있다. 『어제상훈언해』의 간행에서 영조가 훈계하려 한 대상이 후세의 왕만이 아니라 일반 백성...
- 어제훈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6년(영조 32)에 영조가 써서 간행한 교훈서. [내용] 1권 1책. 개주갑인자(改鑄甲寅字) 활자본. 영조가 『어제상훈언해(御製常訓諺解)』를 지은 지 11년 만에 자기의 연만함(63세)을 생각하고, 또한 위무(衛武)나 한무제(漢武帝...
- 어제자성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술하였다. 끝에 영조의 소지(小識)가 있고 발문이 있으며, 고교신(考校臣) 13명의 직명을 기록하였다. 이 책은 ≪어제훈서언해 御製訓書諺解≫‧≪어제상훈언해 御製常訓諺解≫‧≪어제백행원 御製百行源≫ 등과 같은 종류로서, 이 시기 국어 특징을 밝히는 좋은 자료이다....
- 속명의록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다. 1981년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상훈언해(御製常訓諺解)』와 합책하여 영인된 바 있다. 『朝鮮國書解題』(朝鮮總督府, 1931) 『古鮮冊譜』(前間恭作, 1928) 「명의록언해(明義錄諺解) 해제(解題)」(홍윤표, 『명의록언...
- 어제백행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각활인제도장판(芸閣活印諸道藏板)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를 완성한 뒤 각 감영에 반포하였고, 다시 각 감영에서는 이를 출간하여 백성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이 문헌은 18세기 국어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영조의 기본정신을 파악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 『어제상훈언해...
주제어사전(3)
-
어제상훈언해 / 御製常訓諺解 [언어/언어/문자]
1745년(영조 21) 영조가 세자와 후세 임금들에게 내린 교훈서. 현재 전하고 있는 『어제상훈』(목판본, 22장)을 언해하여 간행한 것이다. 체재는 한문으로 된 본문과 그것을 언해한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한문 본문에는 토를 달고 본문이나 언해한 부분의 한자에는 모두
-
어제자성편언해 / 御製自省篇諺解 [언어/언어/문자]
어제상훈언해(御製常訓諺解)』·『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 등과 같은 종류로서, 이 시기 국어 특징을 밝히는 좋은 자료이다. 어두합용병서는 ㅄ을 제외하면 모두 ㅅ계의 ‘ㅼ, ㅺ, ㅽ, ㅆ, ㅾ ’ 등이 쓰였으며, 모음간 ‘○’은 ‘○’으로 쓰인 용례가 매우 많다.
-
어제훈서언해 / 御製訓書諺解 [언어/언어/문자]
훈서, 그리고 가색편(稼穡篇)을 부록으로 하고 있다. 그 차례를 보면 성도교도해(性道敎圖解)·성도교명해(性道敎銘解)·성도교도설해(性道敎圖說解)·어제훈서언해(敬天, 愛民, 禮臣)·어제가색편부(御製稼穡篇附, 御製原詩, 以頌奉和)·권말 발문으로 되어 있다. 『어제상훈언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