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제백행원”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 등과 함께 하나의 연관성을 가진다. 규장각 도서에 있으며, 1982년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한 바 있다. / 본문 첫머리 17...
  • 어제경민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가 ‘ㅣ’모음 뒤에서 비i계모음 뒤에서도 보인다〔어가 니며(9b), 경고가 거의 이경이 넘엇더라(10b)〕. 서울대학교 일사문고본으로 1982년 홍문각에서 『어제훈서언해(御製訓書諺解)』‧『()』과 함께 한 책으로 묶어 영인하였다.
  • 어제자성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술하였다. 끝에 영조의 소지(小識)가 있고 발문이 있으며, 고교신(考校臣) 13명의 직명을 기록하였다. 이 책은 ≪어제훈서언해 御製訓書諺解≫‧≪어제상훈언해 御製常訓諺解≫‧≪ ≫ 등과 같은 종류로서, 이 시기 국어 특징을 밝히는 좋은 자료이다....
  • 어제훈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주격은 ‘-이’, ‘ㅣ’가 쓰이며 ‘-가’는 나타나지 않는다. ‘-더시-’의 전위현상(轉位現象)도 보인다.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982년에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경민음(御製警民音)』‧『()』 등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한 바 있다.
  • 고담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黃石公素書>나 < >과 같은 논변류의 글도 섞여 있다. 뿐만 아니라 <부휴자담론 浮休子談論>의 일부도 실려 있고 <부고령진선생선거권유문 附古靈陳先生仙居勸諭文)>이나 <기와김공언행록서 棄窩金公言行錄序>‧<효자김공정려비명 孝子金公旌閭碑銘>과 같...

주제어사전(3)

  • / [언론·출판/출판]

    1765년(영조 41)에 영조가 지은 교훈서. 1권 1책. 갑인자 활자본. 영조가 나이 72세 되던 해에 지은 책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효행이 백행의 근원임을 강조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이를 깨달아 실천에 옮기도록 권장한 글이다. 영조는 증자(曾子)의 『효경』을 근간으

  • 고담요람 / 古談要覽 [문학/고전산문]

    字)도 적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편·저자나 연대를 확정적으로 추단할 수는 없다. 이 책에는 「위경천전 韋敬天傳」을 비롯하여 「운영전 雲英傳」·「영영전 英英傳」·「허생전 許生傳」과 같은 한문소설이 실려 있으며, 「황석공소서 黃石公素書」나 「

  • 어제자성편언해 / 御製自省篇諺解 [언어/언어/문자]

    어제상훈언해(御製常訓諺解)』·『()』 등과 같은 종류로서, 이 시기 국어 특징을 밝히는 좋은 자료이다. 어두합용병서는 ㅄ을 제외하면 모두 ㅅ계의 ‘ㅼ, ㅺ, ㅽ, ㅆ, ㅾ ’ 등이 쓰였으며, 모음간 ‘○’은 ‘○’으로 쓰인 용례가 매우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