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어제경민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어제경민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제경민음 1762년(영조 38)에 영조가 금주령에 대한 시행을 백성들에게 경계하기 위하여 내린 조칙으로, 교서관에서 간행하였다. 개주갑인자 활자본. 규장각도서. 어제경민음...
- 어제백행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 등과 함께 하나의 연관성을 가진다. 규장각 도서에 있으며, 1982년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훈서언해』‧『어제경민음』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한 바 있다. 어제백행원 / 본문 첫머리 17...
- 어제훈서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주격은 ‘-이’, ‘ㅣ’가 쓰이며 ‘-가’는 나타나지 않는다. ‘-더시-’의 전위현상(轉位現象)도 보인다.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982년에 홍문각(弘文閣)에서 『어제경민음(御製警民音)』‧『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 등과 함께 합책하여 영인한 바 있다.
주제어사전(1)
-
어제경민음 / 御製警民音 [언어/언어/문자]
1762년(영조 38)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1책. 선 후기 영조가 백성들에게 내린 금주령(禁酒令)이 잘 시행되지 않는 것을 개탄하며 백성들을 경계하기 위하여 내린 조칙을 간행하였다. 10장밖에 안 되는 매우 작은 분량이며,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