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어정규장전운”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7)

  • 협음(叶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는 자음들 사이에 교체가 일어난 것도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협음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정조의 명에 따라 1796년(정조 20)에 간행된 『()』에서는 과거장에서 선비들이 통운과 협음의 격식을 몰라서 운을 달지...
    상위어빈운(貧韻) | 관련어협운(協韻), 협자(協字)
  • 전운옥편(全韻玉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正祖) 대에 『()』의 부록으로 편찬된 옥편. [개설] 『전운옥편(全韻玉篇)』은 엮은이나 간행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름으로 미루어 보아 1796년(정조 20) 서명응(徐命膺)·이덕무(李德懋) 등에 의하여 편찬된 『...
  • 통운(通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운용법에 가깝게 운을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동국정운(東國正韻)』과 『()』 등의 운서 발간을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은 편찬 동기가 증운(增韻)과 통운에 적응하지 못하는 현실을...
    상위어압운(押韻) | 관련어운찰(韻攝), 운률(韻律), 협운(協韻), 압운(押韻)
  • 韻通考, 字彙, 通志·六書略, 四聲譜, 洪武正韻, 韻譜, 唐韻, 龍龕手鏡, 音論, 玉海, 禮部韻略, 申明續降, 韻會擧要凡例, 韻略, 集韻, 六書略, 音韻日月燈, 洪武正韻, 通韻, 韻考, , 康熙字典, 正字通, 字貫 O_12_14_02 오주연문장전산고 ...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14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증운(增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래서 조정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서를 편찬하였다. 우리말로 운목을 제시한 최초의 운서인 『동국정운(東國正韻)』을 비롯해 정조 때 편찬된 『()』 등에 이르기까지, 운서 편찬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정조실록...
    상위어운자(韻字) | 동의어증입(增入), 중증(重增) | 관련어운통(韻統), 운자(韻字)

고서·고문서(7)

주제어사전(3)

  • / [언어/언어·문자]

    소학류(小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0.0×15.7cm, 반곽은 16.0×12.6cm이다. 판심제는 규장전운(奎章全韻) 上下 1책이다.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韻書)이

  • /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정조(正祖) 명찬, 목판본, 2권 1책. 표제와 판심제는 규장전운(奎章全韻)이다. 정조가 규장각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표지 우측 상단에 '내사(內賜)'가 필사되어 있다.

  • 전운옥편 / 全韻玉篇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편자미상, 목판본, 2권 2책. 정조(正祖)의 명으로 편찬한《()》을 바탕으로 만든 부획사전(部劃辭典)이다.